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재유행 오는데..팬데믹에 약 팔수록 손해보는 제약사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50

코로나19 재유행 속도가 빨라지면서 감기약 수급에 빨간 불이 들어왔지만 많이 팔수록 약값이 깎이는 구조 때문에 제약업체가 마음껏 생산을 늘리지 못하고 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약국가는 일부 주요 감기약의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확진자 증가로 처방용 감기약의 수요가 급증한 데다, 상비약 수요도 급증해서다. 지난 3월처럼 감기약 품절 대란이 또 일어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서울시 소재 약사는 “특히 처방용(전문의약품)과 비처방용(일반의약품)으로 모두 나오는 아세트아미노펜(해열진통제)의 경우 처방용 재고가 현저히 부족한 반면 비처방용은 원활한 편이다”며 “제약업체가 약가 인하 대상인 처방용의 생산을 줄이고 비처방용을 늘려서다”고 지적했다. 제약업체가 건강보험 적용을 받는 감기약들의 생산 증대에 열을 올리지 않는 것은 많이 팔수록 약값을 깎는 ‘사용량약가 연동제’(PVA) 때문이다. 정부는 올 상반기 재택치료로 판매량이 늘어난 호흡기 치료제에 대해 내년 PVA를 통한 약가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 PVA란 건강보험을 적용받는 의약품의 실제 사용량이 당초 예상을 초과하면 협상을 통해 약가를 조정할 수 있게 한 제도다. 문제는 정부의 생산 독려와 약가 제도가 엇박자를 내고 있어 재유행이 확산되는 국면에서 생산 증대의 동기 부여가 안 된다는 것이다. 앞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3월부터 확진자 급증으로 감기약 품절사태가 잇자 제약기업들에 감기약 생산량을 독려했고 제약기업들은 공장을 풀가동하며 증산에 나섰다. 일부 기업은 생산라인도 증설했다. 그러나 생산량 증대에 동참한 결과 내년 제품의 약값이 깎이게 된 셈이다. 특히 감기약과 함께 처방되는 위장약, 항생제 등도 PVA 약가 인하 대상이 될 수 있어 파장은 더 커질 전망이다. 코로나19 상병코드로 처방된 이력이 있는 항생제, 위장관치료제, 해열진통제, 호흡기 치료제도 사용량약가연동 보정 대상 약제 종류다. 재확산 국면에 들어서면서 식약처는 제약업체의 감기약 생산 증대 지원방안을 오는 10월15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감기약 수급 모니터링 사이트 개설 등 모니터링 재개도 검토 중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재유행까지 겹치면 사용량은 더 늘어날텐데 정부가 감기약 생산 많이 하라고 독려해도 동기 부여가 안 된다”며 “위장약처럼 감기약과 묶음 처방되는 품목들도 사용량 약가인하 대상이어서 업계에 파장이 더 커질 것 같다”고 우려했다. 제약업계는 정부와의 민·관협의체에서 사용량·약가연동제 대상에서 코로나19로 생산량이 늘어난 호흡기 치료제 등은 제외해달라고 건의했다. 또 팬데믹 같은 특수한 상황에는 사용량·약가 연동 적용을 배제하는 근본적인 대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재유행 오는데..팬데믹에 약 팔수록 손해보는 제약사들재유행 오는데..팬데믹에 약 팔수록 손해보는 제약사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