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외계인 손 증후군.. 내 손이 제멋대로 움직인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48

우리 몸의 왼손과 오른손은 늘 긴밀한 협력관계다. 눈치 채지 못한 순간에도 두 손은 항상 서로를 돕는다. 오른손으로 단추를 채우면 자연스럽게 왼손이 단추가 들어갈 틈을 열어주고, 오른손으로 펜을 쥐면 왼손은 펜 뚜껑을 열어 펜 뒤에 꽂는 식이다. 그런 두 손의 관계에 문제가 생길 때가 있다. 움직임에는 이상이 없지만 일상적인 협력이 이뤄지지 않는다. 오히려 반대쪽 손이 하는 일을 방해하기도 한다. 그 모습이 이상해 ‘외계인 손 증후군(Alien hand syndrome)’이란 이름까지 붙었다. ◇좌뇌·우뇌 연결 끊어지며 발생… 전두엽 문제일 수도 외계인 손 증후군은 한쪽 손이 의지와 상관없이 움직여 조절·통제되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 그 자체가 질환을 의미하진 않으며, 구체적인 유병률이나 환자 수를 추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드물게 확인된다.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뇌량’이 끊어지면 이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몸이 정상적으로 인지·행동하기 위해서는 좌뇌와 우뇌가 원활하게 소통해야 하는데, 둘을 연결하는 다리(뇌량)가 사라지면 소통에 문제가 생기고 한쪽 손이 의지와 상관없이 움직이게 된다. 주로 뇌출혈, 뇌경색 등 뇌졸중 환자에게 발생하는 문제로, 뇌전증 환자 또한 수술 과정에서 뇌량을 절제하면 좌뇌와 우뇌가 분할돼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일부 환자는 전두엽 기능 이상으로 인해 외계인 손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겪기도 한다. ◇오른손 방해하는 왼손, 공격적인 모습은 드물어 외계인 손 증후군은 한쪽 손이 분명한 ‘목적’을 갖고 의지와 상관없이 움직인다는 점에서 다른 운동장애와 차이를 보인다. 오른손으로 단추를 잠그면 왼손이 단추를 풀고, 오른손이 옷장에서 옷을 꺼내면 왼손이 옷을 다시 옷장에 걸어놓는 식이다. 양손이 모두 필요한 행동을 할 때 주로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발생하는 손은 우성반구(優性半球)에 따라 다르다. 좌뇌가 더 발달한 오른손잡이는 왼손이, 왼손잡이는 오른손이 의지와 상관없이 움직인다. 전두엽 이상에 의해 증상이 생긴 경우에는 손의 움직임이 억제되지 않고, 영유아처럼 한 번 잡은 물건을 놓지 않으려 한다. 과거 일부 방송에서는 환자가 갑자기 한쪽 손으로 자신의 목을 조르고 남을 공격하는 등 증상을 위협적으로 묘사하기도 했으나,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자극적·단편적 모습일 뿐 실제 확인되는 증상들은 대부분 한쪽 손이 반대쪽 손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정도다. 엄밀히 말해 ‘외계인 손 증후군’이란 이름 역시 ‘에일리언 핸드 신드롬(Alien hand syndrome)’이라는 영문 명칭을 다소 자극적이고 과장스럽게 번역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핵심은 우성반구와 병변에 따라 손이 자신의 뜻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한쪽 손이 공격적인 의도를 갖고 움직이는 경우는 흔치 않다”고 말했다.

[뇌 생각엔] 외계인 손 증후군.. 내 손이 제멋대로 움직인다?[뇌 생각엔] 외계인 손 증후군.. 내 손이 제멋대로 움직인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