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우영우'의 일터 '한바다'를 보라.."이 기업들은 재미있습니다!"

울트라맨8

Lv 116

22.07.21

view_cnt

664

“저는 똑바로 읽어도 거꾸로 읽어도 우영우입니다. 기러기, 토마토, 인도인….” ‘장애'에 대한 신선하고, 따뜻한 화두를 던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ENA)라는 드라마 속 주인공의 자기소개다. 그녀는 딱 봐도 이상하다. 그녀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졌다. 이 드라마는 그런 그가 변호사가 되어가는 과정과 변호사로서 ‘한바다’라는 일터에서 팀을 이루어 사건을 해결하며 성장하는 과정,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한 사람의 이야기와 주변 사람들이 겪는 이야기들을 다루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작품에 감탄하는 이유 중 하나는 극 중 영우의 회사 ‘한바다'와 소속 동료나 선배들이 영우에게 보여주는 따뜻함. 단순히 장애인을 돕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의 동료로 인정하고 ‘함께 일하고자 하는' 노력들에 있다. 장애인이지만, 자신의 동료로 인정하고 함께 일하는 사람들. 회사와 자신을 위해 자신에게 맡은 일을 서로의 다른 역할과 재능을 인정하는 동료 대 동료로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참으로 바람직하다. ‘우영우'와 그의 일터 ‘한바다’는 드라마 속에나 있는 이야기일까? 천만의 말씀. ‘사회적경제 현장’ 속 실력 있고, 따뜻한 ‘한바다’를 만나보자. #사례1. 전국 최고 품질의 새싹 재배 사업장 “내 일(역할)은 세금이 들어가는 장애인이 아니라, 일해서 세금을 내는 근로자로 변화시키는 일이다.” 2008년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은 이종만 유은복지재단 나눔공동체 대표의 회사 소개 첫 마디다. 직원도 벌써 50명. 그 중 33명이 자폐 등 장애인이다. 자기 이름도, 나이도 모르는 정신 장애인, 전혀 들리지 않아 수화가 아니면 소통이 불가능한 농아인 등 중증 장애인이 대부분이다. 직원들은 근무일의 단 하루도 예외 없이 청결을 위해 우주복 같은 작업복으로 갈아입고 작업장으로 출동한다. 마치 우주 공간에 숨겨놓은 씨앗을 주으러 가는 우주비행사 같은 느낌이다. 회사 내부 분위기도 예사롭지 않다. 알록달록 총천연색으로 가득하다. 초록, 노랑, 연두, 보라…. 이토록 선명한 색깔을 뿜어내는 이유는 이 곳이 새싹과 어린잎 채소를 키우는 농장이기 때문이다. 건강하고 맛있는 급식 제공은 물론 하루 종일 있어도 먼지 한 톨 마실 일 없는 깨끗한 근무 환경을 자랑한다. 새싹과 어린 잎 채소 재배엔 청결과 무공해 과정이 생명과도 같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곳에서 장애인들이 어떻게 일하게 된걸까. 우선 대표 내외가 한국 최초의 부부 수화통역사다. 농아인들과의 소통이 가능하다. 정신장애인들은 지적 능력이 크게 떨어지는 점을 감안해 작업 과정을 극도로 단순화·반복화 시켰다. 언어소통이 불가능하니, 배추는 ‘하트', 콜라비는 ‘별'. 이처럼 버튼이나 간략한 기호로 의사를 전달한다. 그럼 이들도 자기 역할을 해낼 가능성이 생긴다. 깨끗하고 정성껏 길러진 채소들은 마지막 작업인 포장실로 이동한다. 간혹 봉사 직원들이 와서 이들과 경쟁하면 100전 100패다. 특정 업무에 집중하는 자폐 장애인들의 특성을 잘 살려 반복적인 일을 실수없이 하도록 조직되어 있다. 비장애인 동료들도 여기선 누구나 예외없이 자기역할에 충실한 나눔공동체라는 생태계의 구성원일 뿐이다. 장애인들이 키운다고 해서 시장에서 겨우 버텨내는 수준의 생산성 정도를 추측한다면 오산이다. 이 곳은 전국 생산량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여전히 시장 요구 물량의 3분의 1을 채우지 못하는 ‘레어 아이템'을 가진 기업. 경쟁자들이 따라붙을 수 없는 업계 최상위 기업이다. 심지어 배송 중에도 콩나물이 자라는 최고 품질의 생산품을 만들어내는 혁신기업이다. 권남규 유은복지재단 나눔공동체 사무국장의 이야기는 한결같다. “장애인 근로자들을 내보내고, 비장애인으로 인력을 대체하면 당장 매년 십수억원의 추가 이윤이 발생하지만, 그것은 우리의 목적이 아니다. 덜 벌어도 우리는 우리가 할 일을 해 나갈 것이다.”
'우영우'의 일터 '한바다'를 보라..'이 기업들은 재미있습니다!'

'우영우'의 일터 '한바다'를 보라..'이 기업들은 재미있습니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HOT
자유주제

현대자동차...사실일까.....이것도 복지일까...

이게 사실일까요 사실이라면 짤리겄는디유

thumbnail
GoFoward|22.07.21
like-count4
commnet-count22
view-count5,744
22.07.21
자유주제

안녕 나는 모델3

테슬라의 s3xy 중 3을 담당하고 있지ㅎㅎ 판매가는 계속 올라가는 중이야 테슬람들아 나 많이 사서 호갱 인증좀 꼭 해줘!!!!

thumbnail
욤뇸뇸뇸|22.07.21
like-count3
commnet-count14
view-count1,311
22.07.21
자유주제

718박스터 구매하려고 알아보는중인대요

키 187에 110키로 남자입니다. 덩치가 좀 있는편인데 718박스터 타기에 많이 작을까요?ㅜㅜ

유퀴|22.07.21
like-count0
commnet-count7
view-count1,795
22.07.21
HOT
자유주제

디젤차 지금 시점에 사도 될까요?

내년이면 둘째아기가 태어나서 이번에 차량 기변을 하려고합니다. 진짜 사고싶은 차는 가솔린 모델은 너무 비싸고 예산이 딱 디젤모델 까지 살수 있을꺼 같습니다... 하지만 디젤차... 길거리에도 많이 돌아다니고 겟차 출고인증을 봐도 아직까지는 많이들 타시는거 같은데.. 막상 사려니 너무 고민이됩니다ㅜㅜ 연 12000정도 밖에 안타기도 하고.. 저는 출퇴근

겟차86437|22.07.21
like-count8
commnet-count90
view-count4,512
22.07.21
자유주제

남자들이 배워야 할 멘트

마니마니 이야기해줍시다

thumbnail
GoFoward|22.07.21
like-count3
commnet-count8
view-count1,608
22.07.21
자유주제

셀토스 페이스리프트가 내일 출시됩니다!

1.6 터보는 7단 DCT 대신 8단 자동변속기가 들어가고, 코나처럼 2.0 자연흡기+IVT 조합이 새로 나옵니다

thumbnail
|22.07.21
like-count2
commnet-count1
view-count1,119
22.07.21
자유주제

혼다 시빅 타입 R 공개, 310마력 전륜구동 끝판왕

혼다는 신형 시빅 타입 R을 20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시빅 타입 R은 시빅의 고성능 전륜구동 모델로 2.0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과 6단 수동변속기가 조합돼 최고출력 310마력의 성능을 발휘한다. 기계식 리미티드 슬립 디퍼렌셜 등이 탑재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시빅 타입 R은 대표적인 전륜구동 고성능 모델로 평가된다. 특히 시빅 타입 R은 지

thumbnail
울트라맨8|22.07.21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335
22.07.21
자유주제

포드, 700마력 F-150 랩터 R 공개..출력경쟁 치닫는 슈퍼 픽업

포드가 ‘F-150 랩터 R(Raptor R)’을 공개하며 고성능 픽업트럭 시장에 승부수를 던졌다. 기존 랩터 시리즈를 단숨에 뛰어넘는 V8 슈퍼차저를 품고 최고출력 700마력 고지를 돌파했다. 지난 2020년 램(Ram)이 쏘아올린 픽업트럭 출력 경쟁에 포드가 맞불을 놨다. 주인공은 F-150 랩터 R. 702마력의 램 1500 TRX에 응수하기 위해

thumbnail
울트라맨8|22.07.21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13
22.07.21
자유주제

MS, 또 몸사리기? "주력 클라우드·보안SW 공채 미룬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애저 클라우드, 보안 소프트웨어 사업부 등에서 공개채용(공채)을 연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일부 감원 소식에 이어 나온 긴축 움직임이다. 회사는 이번에도 정기적인 사업 재편이라고 해명했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MS가 경기침체 속에서 일부 사업 부문의 공채를 늦추거나 미루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보도에

울트라맨8|22.07.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4
22.07.21
자유주제

'루나 쇼크' 업라이즈, 100억 규모 피해 보상 추진

최근 상당액의 고객 투자금의 손실을 기록해 논란이 된 업라이즈가 100억 원 규모의 피해 보상에 나선다. 회사측은 법적인 보상 의무는 없지만 고객들과 원만한 합의를 통해 신뢰를 회복해 나가면서 계속 사업을 성장시켜 가기 위한 조치라는 입장이다. 손실을 본 고객들의 투자금 일부를 업라이즈 주식으로 전환해 보전하는 방식이 유력한데 기존 주주들의 동의를 얻은 후

울트라맨8|22.07.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0
22.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