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자율주행 꼭 알아야 기술—V2X

auto2063

Lv 91

22.07.21

view_cnt

888

V2X 차량사물통신 알아 봅시다. 자율주행을 말할 때 차량 개발에만 국한되어 생각하는데 오늘 좀 다른 측면에서 자율주행 바라보려고 합니다. 자율주행 안전성을 확보 위해서는 자율주행차 내에 센서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자동차와 자동차(V2V) 자동차와 인프라(V2I) 자동차와 보행자(V2P) 등 주변 사물 사람 또 차량 간 통신으로 보완해야 합니다. 우리 정부는 자율주행 시대를 맞아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줄여서 C-ITS를 명명하고 도로공사를 중심으로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차량 사물 통신 기술 표준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요 이게 앞으로 관련 산업에 끼치는 영향력 지대할 것으로 보이고 이 기술 개발해서 정부에 공급하는 회사가 뜨는 주식이 될 듯 싶어요(이미 많이들 알고 하시겠죠...) DSRC((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s) 단거리 전용 통신 시스템 C-V2X(Cellular Vehicle To Everything) 차량이 다른 모든 것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 상기의 두 가지를 놓고 무엇으로 표준화할지를 놓고 국가별로 이견이 있는데요. DSRC는 이미 톨게이트나 도로변에 설치해 자동차에 탑재한 단말기와 양방향 무선 통신하는데 널리 쓰이고 있어서 검증이 끝났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DSRC 기반으로 개발된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차량 환경 내 무선 접속)'가 원래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LTE와 5G 시대로 접어 들면서 서비스범위 전송속도에서 유리한 C-V2X가 대두되기 시작합니다. 유럽과 미국 중국까지 진통 끝에 C-V2X가 표준으로 정리되어 가는 국면입니다. 어떤게 더 나은지 미국의 퀼컴이 다양한 상황 조건에서 실험을 했는데요 결론만 말하면 C-V2X가 앞선다는 겁니다. (우리 정부도 올해 하나 선택해야 는데...) 그럼 단연코 C-V2X로 가야는 거 맞는데요 LTE는 지난해 말 자동차 제조사에 칩이 공급—차량 탑재와 검증을 통한 상용화는 아직이고요; 5G-V2X는 올 초 표준화 완료 예정으로 상용화 시점은 2022년 이후라는 게 맹점이에요. 연관된 개발 업체는 다음 편에 소개하겠습니다. 이 분야는 이미 유럽과 중국이 현재 시점에서 선두주자입니다 빨리 정부가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19436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518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테슬라에 도전한 회사들 4편— BYD

1995년 설립되어 모토로라, 노키아 등에 배터리와 부품공급 시작 2003년 자동차 기업 인수 후 전기차 시장에 진출 2005년 첫 차량으로 내연기관차 F3 출시 2008년 F3DM으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 시장 2011년 E6 출시 순수 젂기차(BEV) 시장에 진출 후 특히 2008년 워렌 버핏 투자 받음(전체 주식의 8.25% 보유)

thumbnail
auto2063|22.07.21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905
22.07.21
자유주제

테슬라에 도전한 회사들 3편 — 샤오펑

테슬라에 도전하고 있는 중국 전기차:샤오펑—3편 강점: 알리바바가 밀고 샤오미가 끌고 있어서 안정적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됨—투자매력 ? 역사: 2015년 알리바바 출신 He Xiaopeng 설립 2018년부터 생산 시작 후 중국 내 3위 전기차 판매실적 올리고 있는 중(아직은 적자) SUV-G3의 경우 위탁생산 (위탁 계약 종료 예정

thumbnail
auto2063|22.07.21
like-count1
commnet-count3
view-count1,170
22.07.21
자유주제

혹시 차대번호 조회중

서비스이력 저렇게 된게 왜 저런지 아시는분 계실까요??

thumbnail
널쓰리|22.07.21
like-count2
commnet-count8
view-count1,579
22.07.21
자유주제

직장인 밥값 月 20만원 비과세..다자녀가구 'GV80' 살 때 개소세 안 낸다

정부가 근로자의 식대 비과세 한도를 월 10만원에서 20만원으로 높인다. 최근 밥상물가 상승 등을 감안해 19년만에 금액을 두배로 높이기로 했다. 다자녀 가구는 자동차 구매시 부과되는 개별소비세를 300만원까지 면제해주기로 했다. 19년만에…밥값 비과세 20만원으로 21일 정부가 발표한 세제개편안에는 이같은 내용의 '서민·중산층 세부담 완화' 방안이

울트라맨8|22.07.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6
22.07.21
자유주제

숨진 아들 손 놓지 못한 아빠..전 세계 울린 전쟁의 참상

앵커] 우크라이나의 눈물은 계속 흐르고 있습니다. 이 남성, 러시아의 폭격으로 아들을 잃은 아버지입니다. 넋을 잃은 표정은 전쟁의 참상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그런데 러시아, 민간인 공격을 멈출 생각이 없어 보입니다. 이한길 기자입니다. [기자]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앙상한 뼈대만 남은 버스정류장. 바로 옆에는 버스를 기다리던 13살 남자아이가 숨진 채

울트라맨8|22.07.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4
22.07.21
자유주제

대학도 못말린 '황당 스파이더맨'

[김종석 앵커] 잠시 나갔던 화면은 저희가 잠시 뒤에 다시 만나보기로 하고 장 변호사님, 저게 중앙대학교라던데 누구고 무슨 행동을 하고 있는 겁니까? [장현주 전 민주당 민원법률국 변호사] 중앙대 스파이더맨이 떴다고 해서 화제가 되었던 사진입니다. 중앙대 100주년 기념관이라고 알려진 건물인데요. 이게 지상 12층 건물인데 가운데가 뚫려있는 구조입니다.

울트라맨8|22.07.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5
22.07.21
자유주제

세종 은하수공원 조경직원 등 '실직 눈물'

세종시 산울동에 있는 은하수공원에서 2010년부터 11년 동안 조경 업무를 해온 임아무개(69)씨는 지난해 5월직장을 잃었다. 임씨는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원주민으로 구성된 주민생계조합의 조합원 자격으로 이곳에서 일했다. 하지만 주민생계조합이 조경관리용역 입찰에서 떨어지면서 임씨도 일자리를 잃은 것이다. 이후 임씨는 일용직을 전전하고 있다. 은하수공

울트라맨8|22.07.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25
22.07.21
자유주제

고가주택 · 다주택 종부세 감면..부자 혜택 논란

<앵커> 부동산 세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정부는 종합부동산세를 손질하고, 또 집이 여러 채 있는 사람들한테 무겁게 매기던 세금을 지금보다 낮춰주기로 했습니다. 짧은 시간 급격히 늘어났던 세금을 제자리로 돌려놓는 거라고 정부는 설명했지만, 그 폭이 상당히 커서 돈 많은 사람들 세금 더 깎아주는 거 아니냐는 논란도 있습니다. 한상우 기자

울트라맨8|22.07.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79
22.07.21
자유주제

러시아 "美와 우크라 관련 공식적 접촉 없어..바이든 정책 탓"

러시아 외무부는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 미국과 아무런 공식적 접촉이 없다고 밝혔다. 러시아 국영 타스통신에 따르면 마리야 자하로바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에 관한 러시아와 미국의 공식적 접촉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기술적 이슈들만 모스크바와 워싱턴에 있는 외교 공관 수준에서 논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하로바

울트라맨8|22.07.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33
22.07.21
자유주제

뒤늦은 'BA.2.75' 확인.."밀접 접촉 1명도 양성"

[뉴스데스크] ◀ 앵커 ▶ BA.5보다 전파력과 면역 회피력이 더 강한 BA.2.75 변이의 두 번째 감염자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일주일 전에 발견됐던 첫 번째 사례보다 이미 나흘이나 먼저 확진 판정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이 됐습니다. 그러니까 뒤늦게 변이가 확인이 된 건데요. BA.2.75도 이미 국내에 상당히 퍼져 있을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

울트라맨8|22.07.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4
22.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