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아세안 전기차허브 경쟁…韓·인도네시아 vs 日·태국 [고영경의 아세안 비즈니스]

BENZ 로고 이미지POLESTAR_14 로고 이미지
GoFowardLv 102
조회 수1,004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으로 한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가 떠들썩하다. 그런데 이보다 앞서 미국에서는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자국에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광폭 외교행보를 선보이며 텍사스에 위치한 스페이스 X의 본사에서 일론 머스크를 만난 일이 화제가 되었다. 아세안-미국 특별 정상회의 참석차 워싱턴에 날아간 조코위 대통령은 공급망 위기가 고조된 지금 인도네시아가 가진 풍부한 자원과 디지털 경제 성장을 강조하면서 투자기회를 알리는데 주력했다. 특히 글로벌 전기차 리더인 테슬라 기가팩토리와 우주선 발사대 유치는 신흥시장에서 인도네시아의 위상을 한껏 올려줄 수 있는 상징적인 사건이 될 수 있기에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총력전을 펼쳤던 것이다. ◇몸값 오른 인도네시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원자재 가격의 고공행진 덕에 석탄, 니켈, 구리, 보크사이트 등 다양한 자원포트폴리오를 보유한 인도네시아는 경제적 수혜를 받고 있다. 4월 인도네시아의 무역수지 흑자는 75억6000만 달러(약 9조6000억원)로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원자재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들에게 유리한 국면이 유지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회가 늘 찾아오는 것은 아니다. 광물 자원을 캐서 그대로 수출하는 사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며 글로벌 경기 변동에 그대로 위험이 노출된다. 수요와 공급에 따라 곧바로 가격이 출렁거리는데다 환율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인도네시아 정부 입장에서는 원자재 그대로 수출하기 보다는 한번이라도 더 가공 단계를 거친 반제품 또는 완제품 형태로 수출함으로써 국제 원자재 가격변동 리스크를 줄이고 자국내 원자재 가공산업 육성을 통한 GDP 제고를 목표로 삼는 것이 당연하다. 니켈이나 알루미늄 소재 보크사이트의 원광수출을 2019년 말부터 금지한 이유는 이 같은 맥락에서 기인했다. ◇글로벌 공급망 위기를 투자 기회 레버리지로 삼아 전기차 밸류체인 레벨업 여러 원자재 가운데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니켈이다. 니켈은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선두에 있는 삼원계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필수 원자재이기 때문이다. 세계 최대 니켈 수출국이면서 최대 니켈 매장량을 자랑하는 인도네시아는 원료생산부터 전기차 생산까지 아우르는 밸류체인을 자국내에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고 차근차근 진행 중이다. 자국 내에서 채굴부터 정련, 제련을 거쳐야만 수출을 허가해주는 압력을 가하면서 동시에 전기차 산업 활성화를 위해 현지 부품과 인력 등 현지화율에 따라 수입 관세와 사치세 면제 등 각종 혜택도 제공하고 있다.

아세안 전기차허브 경쟁…韓·인도네시아 vs 日·태국 [고영경의 아세안 비즈니스] 아세안 전기차허브 경쟁…韓·인도네시아 vs 日·태국 [고영경의 아세안 비즈니스]

댓글 2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인니가 그나마 인건비가 적게드나봅미다

BENZ 로고 이미지POLESTAR_14 로고 이미지
GoFowardLv 102작성자

아직까진 동남아가 괜찮나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