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7월 말부터 강달러 제한..신흥국 증시 우려 덜 것"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23

이달 말부터 강달러의 흐름이 제한되면서 신흥국 증시를 둘러싼 자금이탈도 완화할 것이란 진단이 나왔다. 25일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7월 하순 이후, 신흥국 증시의 시름이 강달러가 제한되며 다소 낮춰지는데 무게를 둔다”면서 “환율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신흥국 위기 발생 확률을 낮춰 주는 것으로, 3분기 미국 증시 반등시 신흥국 증시(제한적 반등)가 후행적으로 따라 나서는 한 요인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지난해 6월부터 약달러에서 강달러로 방향이 바뀌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낸 3월부터 강달러의 강도가 강화됐다. 강달러는 신흥국 통화가치 약세와 자금유출 압력을 높이는 변수인 만큼, 올해 신흥국 증시는 연준의 금리 인상 행보가 멈추지 않는 한 강달러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다. 문 연구원은 “달러화의 강세와 약세는 그동안 미국의 정책에 의해서 영향을 받아왔다”면서 “1980년대 쌍둥이 적자가 부각되며 약달러를 유도하기 위한 플라자합의(1985년)가 이뤄지고, 달러화는 약세로 전환됐고 약세를 지속하던 달러화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미국 경제 호황과 클린턴 행정부의 강달러 정책에 다시 강세를 보였다”라고 진단했다. 이어 문 연구원은 “2017년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과 2020년 코로나19 발생으로 강달러는 최고조를 이뤘다”면서 “감염병 완화로 2021년 6월까지 약세를 받아온 달러화는 2021년 7월 이후 공급망 병목현상, 전쟁, 연준 금리인상, 미국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다시 강세를 시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국의 달러화 정책이 시기별로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미국 내 경제상황과 달러화가 기축통화라는 점에서 발생하는 트리핀의 딜레마에 기인한다”면서 “미국이 강달러 정책을 추구할 경우 각국의 달러화 보유 유인 증대로 달러화는 강세가 되지만, 달러화 유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될 경우 기축통화의 지위가 약화한다. 반대로 미국이 약달러 정책을 추구하여 각국의 달러화 보유 축소로 달러화 유동성이 감소하면, 기축통화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미국의 달러화 정책이 미국 내 경제여건과 대외변수 상황에 따라 변화해 온 점을 고려할 때, 현재의 달러화 강세정책도 향후 미국의 대내외 상황변화에 따라 기조가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대내적 요인으로 현재의 달러화 강세정책이 고물가와 결부되어 강하게 추진되고 있지만, 7월 자이언트스텝(금리를 한꺼번에 0.75%포인트 인상함) 단행 후 물가 통제를 전제로 남아있는 세차례의 정례회의(9월, 11월, 12월)에서 긴축 강도를 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7월 말부터 강달러 제한..신흥국 증시 우려 덜 것''7월 말부터 강달러 제한..신흥국 증시 우려 덜 것'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