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우영우 신드롬' 1등 공신이 KT?..과감한 승부수 통했다

울트라맨8

Lv 116

22.07.25

view_cnt

792

“더 이상 ‘덤파이프(dumb pipe·단순 전송 수단)’로는 미래가 없다.” KT가 콘텐츠·플랫폼 기업으로 빠르게 변신하고 있다. 기존 무선·인터넷·유선전화 등 통신 인프라·서비스만으로는 생존할 수 없다는 위기감에서다. 지난 2년간 인공지능(AI) 기반 기업 간 거래(B2B) 사업에서 고속 성장한 데 이어 최근에는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통해 콘텐츠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플랫폼 기업(디지코)’으로 변신하려는 구현모 KT 사장의 전략이 먹혀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4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T의 2분기 매출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6조3477억원, 영업이익은 4974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3%, 4.5% 증가한 수치다. 1분기 기준으로 12년 만에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한 데 이어 2분기에도 호실적을 이어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KT의 성장세를 이끄는 것은 미디어·AI·클라우드 사업 등이다. 지난해 9조3400억원의 매출을 올린 무선·인터넷·유선전화 부문은 여전히 가장 큰 사업이지만 성장률은 1.7%에 그쳤다. 이에 비해 미디어·모바일 플랫폼은 2조14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5% 급성장했다. AI·클라우드 분야 매출도 5.6% 증가한 2조400억원에 달했다. 이런 변화는 올해도 이어져 지난 1분기 B2B와 미디어 등의 사업 비중은 41%(1조6100억원)로 높아졌다. KT는 2020년 3월 구 사장 취임 이후 사업 다각화에 주력하고 있다. AI·클라우드 기반 기업 디지털전환(DX)을 돕는 B2B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동시에 미디어 사업을 새로운 먹거리로 삼고 원천 지식재산권(IP) 확보부터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까지 미디어 밸류체인 구축에 나섰다. 최근 ‘우영우’ 시청률 대박 행진은 이런 노력의 결과물이다.
'우영우 신드롬' 1등 공신이 KT?..과감한 승부수 통했다

'우영우 신드롬' 1등 공신이 KT?..과감한 승부수 통했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디지털 지옥' 겪는 학생들 도와 뿌듯..잊힐 권리법 절실"

“15살 중학생부터 ‘디지털 지옥’을 겪습니다. 헤어진 남자친구가 온라인에 유포한 성적 사진, 합성 사진으로 괴롭히기, 온갖 욕설이 담긴 게시물까지 신고가 옵니다. 혼자 끙끙 앓다가 극단적 선택을 하는 청소년들이 많습니다. 우리는 수개월·수년간 이를 추적해 지웠습니다. 이들 학생들의 목숨을 구하고, 일상을 되찾는 일을 한 것 같아 뿌듯합니다.” ‘국내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10
22.07.25
자유주제

‘100년 기업’ 출발점에 선 LG에너지솔루션… 목적지는 수익성 No.1 기업

2020년 LG화학에서 분사한 LG에너지솔루션이 기술력과 인프라 등을 고루 갖춰 올해 1월 27일 상장됐다. 이로써 다시 출발점에 선 LG에너지솔루션은 100년 기업으로의 첫발을 뗐다. 1992년 국내 기업 중 가장 먼저 2차 전지 관련 연구를 시작한 LG에너지솔루션은 꾸준히 도전과 혁신 역량을 쌓아왔다. 그 결과 기술과 제품, 고객, 생산능력 등 미래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47
22.07.25
자유주제

미니, "교통약자도 이동 즐거움 느껴야"

새 제품은 조작에 도움을 주는 보조 기구를 장착해 하반신이 불편한 사람들도 쉽게 운전할 수 있는 특수목적 차다. 회사는 "모든 사람이 미니 운전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우리가 생각하는 다양성의 의미"라며 "전동화 시대로 접어드는 혁신적인 시기에도 동등하게 가치를 누리게 할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미니는 실제 교통약자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46
22.07.25
자유주제

내달 출발 '다누리'..성공 고비는 '발사 60분, 24시간, 이틀 뒤'

“한 인간에게는 작은 한 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커다란 도약입니다.” 1969년 7월20일(미국시간) 인류 최초로 월면에 발을 디딘 아폴로 11호의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은 달 착륙의 의미를 이 한 문장으로 요약했다. 인류의 활동 범위를 우주로 확장시킨 일대 사건은 그렇게 전 세계인의 뇌리에 새겨졌다. 하지만 당시 한국은 다른 천체를 탐사하는 과학기술에 큰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6
22.07.25
자유주제

쏘나타 단종 논란이 아쉬운 이유

얼마 전 모 신문에서 무려 ‘[단독]’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현대 쏘나타의 단종 소식을 내보냈다. 37년 최장수 국산차가 단종 수순이라고 전한 이 기사는 현대차 관계자의 말을 빌려 차세대 모델에 대한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근거로 시작됐다. 이미 생산시설의 일부를 전기차로 돌렸으며 대형 세단인 그랜저에 밀리는 판매량과 SUV의 인기가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716
22.07.25
자유주제

잇단 조 단위 투자, 삼성SDI 배터리 전략 ‘변화’

삼성SDI가 배터리 분야에서 잇달아 조원 단위의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그동안 경쟁사보다 신중하게 투자를 해오던 삼성SDI의 전략에 변화가 감지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1조7000억원을 투자해 말레이시아 스름반에 배터리 2공장을 증설키로 결정했다. 이 공장에서는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원통형 배터리 ‘프라이맥스 2170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7
22.07.25
자유주제

아우디코리아, 전기차 확대로 모빌리티 집중

아우디코리아가 미래 모빌리티 전략을 담은 전기차와 컴팩트 라인업을 확대해 프리미엄 모빌리티 브랜드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고 25일 밝혔다. 지난해 아우디코리아는 전기차 라인업인 e-트론을 중심으로 제품 확장에 주력해왔다. 그 일환으로 12월에는 브랜드 모빌리티 전략의 선봉인 e-트론 GT와 RS e-트론 GT를 출시해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아우디 입지를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46
22.07.25
자유주제

현대차, 美 전기차 공략 탄력… 조지아주서 투자 인센티브 2조4000억 받는다

최근 미국 조지아 주정부는 현대차에 18억달러(약 2조3580억원) 규모의 인센티브 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조지아 주정부는 오는 2023년부터 26년 동안 현대차에 4억7200만달러(약 6180억원) 이상의 재산세 감면 혜택을 준다. 현대차는 5년 동안 일자리 창출에 따른 2억1200만달러(약 2780억원)의 소득공제 혜택도 받는다. 공장이 들어서는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709
22.07.25
자유주제

드디어 스포티지 LPG 출시!!!!!

국내 유일 SUV LPG였던 QM6도 타격을 입겠군요

thumbnail
|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5
view-count1,071
22.07.25
자유주제

노조 파업 고비 넘긴 현대차, 전기차 승부수 통할까?

“현대자동차 노조가 울산 투자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김두겸 울산시장이 20일 현대차 임금·단체 협상(임단협) 관련 기자회견에서 한 얘기처럼 현대차 노조 무분규 타결이 반전의 결과를 만들어 내고 있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19일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 투표 결과, 투표자 3만9125명 가운데 2만4225명(61.9%)이 찬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42
2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