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지구대·파출소장도 '경찰국 반대' 회의 추진..반발 일선 확산

울트라맨8

Lv 116

22.07.25

view_cnt

1,067

행정안전부 경찰국 추진을 둘러싼 경찰 반발이 일선으로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경찰 내부에서는 30일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에서 예정된 경감·경위급 전국팀장회의에 지구대장과 파출소장도 참여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유근창 경남 마산동부경찰서 양덕지구대장(경감)은 25일 경찰 내부망에 글을 올려 "30일 전국팀장회의에 전국 지구대장과 파출소장의 참석도 제안하며, 저부터 참석하겠다"고 밝혔다. 유 경감은 "전국 총경들이 경찰인재개발원에 모이고 화상회의를 함께하며 단지 경찰을 걱정했는데 돌아온 건 '대기발령'과 감찰이었다"면서 "(류삼영) 서장도 대기발령에 감찰조사 받게 되고 팀장들도 같이하겠다는데 지구대장과 파출소장도 동참하는 게 동료의 의리가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유 경감의 글은 올라오자마자 현장 경찰관들의 관심과 지지를 받았다. 앞서 지난 23일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에서는 전국 경찰서장 회의가 열려 총경 56명이 현장에 참석하고 140여 명이 온라인으로 4시간가량 함께했다. 회의장 앞에는 총경급 이상 경찰관 350명이 보낸 무궁화 화분이 놓였다. 경찰 지휘부는 회의를 주도한 류삼영 울산 중부경찰서장을 대기발령했고, 회의장에 참석한 56명은 감찰하겠다고 밝혔다. 일선 경찰관들은 경찰 내부망 등을 통해 비판을 쏟아내며 반발하고 있다. 이날부터 경찰 직장협의회(직협)와 국가공무원노조 경찰청 지부 등이 서울역 등 주요 KTX 역사에서 경찰국에 반대하는 대국민 홍보전을 열고 있다. 직협은 또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앞에서 류 총경을 응원하고 경찰국 철회를 요구하는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울산지역 5개 경찰서 직협도 경찰서별로 돌아가며 1인 시위에 나섰다. 경찰 내부망에는 총경 바로 아래 계급인 경정급의 행동을 촉구하는 글도 올라오는 분위기다. 서울지역 파출소에서 근무하는 한 경찰관은 "경찰에서 제일 중간관리자라고 할 수 있는 경정급은 지금 눈치를 볼 때가 아니다. 총경, 경감이 거리로 나서는데 경정은 뭐 하느냐"고 했다.
지구대·파출소장도 '경찰국 반대' 회의 추진..반발 일선 확산

지구대·파출소장도 '경찰국 반대' 회의 추진..반발 일선 확산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국내 출시는 언제? 블레이저 EV 베일 벗다

쉐보레가 ‘2024 블레이저 EV’를 공개했다. 이로써 쉐보레는 블레이저 EV의 북미시장 출시를 전하며 전기차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는 동시에 중형 전기 크로스오버 세그먼트에서의 본격적인 경쟁을 알렸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스콧 벨 쉐보레 부사장은 “블레이저 EV는 다양한 옵션과 직관적 기술로 전기 SUV 시장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59
22.07.25
자유주제

티저 이미지조차 공개되지 않은 신형(7세대) 그랜저, 대기자만 3만명 달해

현대차 전통의 베스트셀링카 그랜저의 완전변경 모델 ‘7세대 그랜저’를 사겠다는 소비자가 벌써 3만명을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현대차에 따르면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품귀현상 등 코로나19 이후 계속된 부품 공급난 탓에 현재 판매 중인 6세대 그랜저의 출고 대기 물량만 5만대 이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는 출고 대기 적체가 이어지자 7세대 그랜저를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3
view-count1,136
22.07.25
자유주제

자동차 번호판 속 숨겨진 의미?

지금의 번호판은 2019년 9월 새롭게 도입된 번호판이에요. 과거 숫자 6자리, 한글 1자리로 자릿수가 7자리였던 것과 달리 숫자를 한자리 더 추가해 총 자릿수가 8자리인 특징이 있어요. 기존의 7자리로는 2,300만 대를 넘어간 자동차 등록대 수를 모두 수용할 수 없어서 변경한 것이죠.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3
22.07.25
자유주제

기아, 글로벌 시장서 점유율 5% 최초 달성..10%까지 '한 걸음 더'

기아가 올해 2분기 10%가 넘는 영업이익률을 낸 가운데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최초로 5%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업계는 점유율이 5%를 초과할 경우 10%대로 진입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점유율 5%'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은 세계적 완성차 업체들과 경쟁해야 한다는 점에서 점유율 개선이 쉽지 않다. 이런 점에서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83
22.07.25
자유주제

내연기관차보다 2000만원 비싼 전기차.. 가격 낮춘 '보급형' 경쟁

완성차 업체들이 가격을 낮춘 보급형 전기차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배터리 가격 상승으로 전기차 가격이 계속 오르면서 자칫 전기차 시장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에 가성비 경쟁에 나선 것이다. 전문가들도 “비싼 전기차 가격이 소비자를 신차 시장에서 몰아낼 수 있다”(아르노 리볼트 시트로엥 유럽 지사장) “전기차 가격이 낮아지지 않으면 자동차 시장은 붕괴할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9
22.07.25
자유주제

"일 못 하니 검사받지 말라네요".. 코로나 재확산에도 '방역 기피' 팽배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이 다시 폭증하면서 직장인들 사이에서 검사를 꺼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경각심이 풀어진 데다, 너무 빠른 확산세에 혹시 확진될 경우 불이익을 받을까봐 검사를 받을 엄두를 못 내는 것이다. 이달 들어 코로나19 사태는 사실상 재유행 국면에 들어갔다. 24일 0시 기준 6만5,433명의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4
22.07.25
자유주제

[하영선 칼럼] 국내 완성차도 외면..저무는 디젤 승용차 시대!

디젤 세단과 디젤 SUV 등 디젤 승용차 시대가 저물고 있다. 한국지엠 쉐보레 브랜드는 현재 국내시장에서 디젤 세단과 디젤 SUV 등 디젤 승용차 판매를 중단한 상태다. 또 르노코리아와 쌍용차 역시 향후 신차에서 디젤 엔진 라인업을 포함시키지 않겠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디젤 SUV가 대부분을 차지했던 쌍용차는 신차 토레스를 출시하면서 디젤 모델은 아예 빼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746
22.07.25
자유주제

美백악관, 원숭이두창 근절 자신..백신·치료제 조기 공급

미국 백악관은 24일(현지시간) 원숭이두창 확산을 막기 위한 백신접종과 치료제 출시를 앞당겨 미국에서 원숭이두창을 모두 '근절'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AFP 통신에 따르면 아시쉬 자 백악관 코로나19 대응 조정관은 이날 CBS 뉴스토크쇼 '페이스더네이션'에 출연, "원숭이두창은 당연히 억제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자 조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7.25
자유주제

KG 날개 단 쌍용차 “전기차로 판 뒤집는다”

KG그룹으로 인수 초읽기에 들어간 쌍용자동차가 신차 개발로 오랜만에 활기를 띄고 있다. 개발비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사운을 걸고 만든 토레스 전기차 버전과 국내 최초 전기 픽업트럭 등 신차를 내년부터 쏟아낸다는 각오다. 서울회생법원은 지난 6월 28일 KG그룹을 중심으로 한 KG컨소시엄을 쌍용차 인수자로 선정했다. KG가 제시한 인수대금은 3355억원이다.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6
22.07.25
자유주제

17조원 vs 0원… “교통세 왜 우리만 내나” 내연기관 차주들 분통

전기차 시대를 맞아 각종 세금 면에서 내연기관차가 홀대받는다는 불만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이번엔 ‘교통세’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도로 보수·유지 명목으로 부과되는 교통세의 경우 내연기관차 차주들은 작년 한 해 16조6000억원을 부담했습니다. 반면 전기차 차주들은 한 푼도 내지 않아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것입니다. 특히 최근 유가 상승 등으로 자동차 유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102
2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