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이름 딴 보험까지 등장..데뷔 1년 만에 수십억 벌어들인 모델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826

가상인간을 광고모델로 선택하는 기업들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소비층으로 떠오르는 Z세대(Z 세대·1990년대 중반~2010년생)를 공략하는 기업들은 가상인간 모델을 더 선호하는 추세다. 패션, 화장품, 건강식품에 이어 자동차 광고까지 가상인간이 휩쓸고 있는 배경이다. 2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SPC그룹의 베이커리 브랜드 파리바게뜨는 새 홍보모델로 가상인간 ‘와이티’를 발탁했다. 파리바게뜨의 미래형 매장 랩오브파리바게뜨에서 가상인간 와이티가 인공지능(AI) 반려견 킬러와 찍은 인증샷은 SNS에서 화제가 됐다. 파리바게뜨 뿐 아니라 매일유업 뉴트리원 등에서도 와이티를 모델로 내세웠다. ‘영원한 스무살’이라는 뜻의 이름처럼 생기발랄 모습으로 Z세대에게 호감을 얻으며 SNS 팔로워 수가 19만에 달하고 있디. 마케팅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가상인간 모델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크게 세 가지를 꼽는다. 사람을 모델로 썼을 때보다 위험 요인이 적다는 점, 마케팅 전략에 따라 모델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변화 시킬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색다른 재미를 추구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빅데이터 분석기업 바이브컴퍼니의 생활관측소에 따르면 기업들은 광고 및 마케팅 비용 절감보다 사람 모델을 기용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학폭 갑질 등 여러 사건 사고 리스크가 줄어든다는 점을 가상인간 모델을 이용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 들고 있다. 브랜드 콘셉트 또는 트렌드 변화에 따라 가상인간 이미지를 자유자재로 바꿀 수도 있다. 여기에 더해 다양한 경험을 중시하는 Z세대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제공하는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 또한 직접 가상모델을 개발했을 경우 개발비용이 만만치 않지만 개발 이후 다양한 수익 사업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기업들이 가상인간 모델을 주목하는 이유다. 대체불가능토큰(NFT), 다른 기업 모델, 드라마 출연 등으로 수익을 늘릴 수도 있다. 가상인간계 ‘톱’ 모델 로지는 2021년 보험회사 신한라이프 tv 광고로 강렬하게 얼굴을 알린 이후 LF 아모레퍼시픽 정관장 GS리테일 한국GM 모델 등으로 활약했다. LF의 영캐주얼 브랜드 질바이질스튜어트의 레니백은 로지 가방으로 화제, 출시 한달여 간 두 차례 재생산에 들어갔다. 신한라이프는 로지 광고영상 조회수가 1000만뷰를 넘기며 MZ세대(밀레니얼+Z 세대·1981~2010년생)에서 인지도가 높아진 것은 물론 젊고 참신한 이미지까지 얻자 올 7월에는 로지를 직접 상품에 접목 시킨 MZ세대 맞춤형 상품인 ‘로지 종신2보험’도 내놨다. 싸이더스스튜디오엑스가 2020년 MZ세대 선호 얼굴형 조합해 개발한 로지는 광고 모델로 데뷔한 이래 음원 발표 유튜브 진행 라디오 드라마 출연 등 영역을 넘나들며 종횡무진하며 데뷔 1년 만에 수십억원을 벌어들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름 딴 보험까지 등장..데뷔 1년 만에 수십억 벌어들인 모델 [이미영의 트렌드 톡톡]이름 딴 보험까지 등장..데뷔 1년 만에 수십억 벌어들인 모델 [이미영의 트렌드 톡톡]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