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인플레 완화 위해 경제 능력 키워야..美 연준 의존하면 악화할 수도"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57

미국이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으로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인플레이션을 완화하기 위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에만 의존하게 되면 경제난이 더 악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 많은 제품과 서비스, 노동력을 공급할 경제 능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하기보다 수요를 줄여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것이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준은 오는 2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금리를 2.25~2.5% 범위로 0.75%포인트 올릴 전망이다. 이에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금리 인상이 자산 가격을 낮추고, 차입 비용을 높여 경기를 둔화한다고 지적했다. 더 나아가 이것이 투자와 고용, 그리고 소비의 위축으로 이어진다며 더 높은 금리 인상은 공급망 병목 현상을 완화할 수 없다고 짚었다. 특히 WSJ은 인플레이션의 가장 큰 위험으로는 석유제품 가격의 상승이라며 이는 물가 상승이라는 결과를 낳아 금리 인상이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부각했다. WSJ은 인플레이션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발생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미 정부의 공격적인 부양책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공급망에 차질이 생기자 원자재 가격이 올랐다는 것이다. 백악관은 인플레이션에 대처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연준의 책임이고, 가능할 때 물가를 낮추려고할 것이라고 말해왔다. 미국의 노인의료보험제도인 메디케어를 통해 처방전 약값을 협상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이 예다. 이에 연준은 인플레이션율 낮추는 것과 경기 침체를 막는 것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전자를 선택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매파 성향의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최근 “우리의 목표는 ‘물가 안정’”이라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지 않았을 때 물가를 안정한다는 말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인플레 완화 위해 경제 능력 키워야..美 연준 의존하면 악화할 수도''인플레 완화 위해 경제 능력 키워야..美 연준 의존하면 악화할 수도'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