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항공사 직원 복귀 늘었지만.."완전 복귀는 먼얘기 아직 고통분담중"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1,027

정부가 지난 6월초 신속한 국제선 정상화 방침을 밝히면서 코로나19 사태로 2년 넘게 유·무급 휴직을 거듭했던 항공사 직원들이 업무에 속속 복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직원 중 절반이 복귀하지 못한 항공사도 있고 대다수가 복귀했더라도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어 직원들은 아직 제대로 된 월급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코로나19 재유행과 높은 항공권 가격 탓에 여행수요도 한풀 꺾이고 있는 모양새라 직원들의 완전한 복귀에도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2년여 동안 생활고를 겪었던 항공사 직원들의 고충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7월 휴직률은 약 20% 정도로 알려졌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절반 가량 휴직을 했는데, 국제선 운항이 점차 늘어나자 복직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티웨이항공 승무원들도 8월 중 전원이 복직해 근무할 예정이다. 하지만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아직 직원의 절반 가량이 휴직 중이다. 진에어도 이달 직원의 20~30%가 휴직을 하고 있는데, 내달에도 비슷한 수준의 휴직률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항공의 운항 승무원은 전원 복귀하긴 했지만 제대로 된 비행시간을 보장받지 못해 급여의 3분의 2만 받고 있는 상황이다. 또 객실 승무원은 아직 50% 정도밖에 복귀하지 못 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전원 복귀가 이루진 항공사들도 아직 제대로 된 비행시간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며 "같이 비행시간을 못 채우는 방식으로 고통을 분담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관계자도 "2년 반이 넘는 긴 시간 동안 휴업과 근무를 병행하면서 대다수 직원들이 생활고를 겪고 있다"며 "연봉도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50~75% 정도만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처럼 기존 직원들의 복귀도 언제 완전히 이뤄질지 모르는 상황이라 신입공채는 더욱 요원하다. 한 관계자는 "아직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을 버티고 있는 실정이라 채용은 먼 이야기"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항공사 직원 복귀 늘었지만..'완전 복귀는 먼얘기 아직 고통분담중'항공사 직원 복귀 늘었지만..'완전 복귀는 먼얘기 아직 고통분담중'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