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속리산 휴게소 없앴더니..이번엔 '산중 용변' 골머리

울트라맨8

Lv 116

22.07.26

view_cnt

970

속리산국립공원의 휴게소가 하나 둘 철거되면서 산행 중 용변 볼 곳을 찾지 못한 등산객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천왕봉·문장대를 거쳐 법주사로 돌아오기까지 20㎞ 코스를 완주하려면 족히 7시간 30분가량 걸리다 보니 국립공원 측은 등산객들에게 용변을 미리 보고 출발해 달라고 당부하고 있다. 그러나 휴게소 철거 후유증으로 '산중 용변' 행위가 늘어나면서 임시화장실을 설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26일 속리산국립공원사무소에 따르면 지난해 5월 냉천골(해발 820m), 금강골(〃 720m), 보현재(〃 620m) 휴게소가 철거됐다. 휴게소가 탐방객들의 음주 산행을 부추기고 음식 조리로 인한 계곡 오염, 생태계 훼손을 초래한다는 이유에서였다. 속리산사무소 관계자는 "다른 국립공원에서도 휴게소 등 환경 저해 시설 철거가 이뤄지는 추세"라며 "땅 소유주인 법주사 측과 협의해 철거를 마무리했다"고 말했다. 현재 속리산에는 저지대의 세심정·태평, 고지대의 신선대 3곳에만 휴게소가 남아있다. 휴게소는 컵라면과 도토리묵, 파전, 막걸리 등을 판매하는 동시에 등산객들의 용변 해결장소로도 이용됐다. 그러나 휴게소가 없어지면서 용변 급한 등산객들이 등산로 외진 곳이나 주변 수풀 등에서 '해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엄연한 불법이다. 자연공원법상 방뇨·배변에 대한 제재 조항은 없으나 등산로를 벗어나 자연공원특별보호구역 또는 임시출입통제구역에 들어갈 경우에 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오물이나 폐기물을 함부로 버리거나 심한 악취가 나게 하는 등 다른 사람에게 혐오감을 일으키게 하는 행위를 했을 때는 과태료가 20만원이다. 사무소 관계자는 "법주사 주차장에서 세심정까지는 화장실이 여럿 있으니 용변을 미리 해결하고 산을 오르라고 계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직은 '산중 용변'을 이유로 등산객들에게 과태료가 부과된 사례는 없다. 그렇다고 해서 해발 920m인 신선대휴게소에 다다를 때까지 용변을 참으면서 등산하기도 어렵다. 이런 탓인지 휴게소 3곳이 철거된 뒤 조성된 갈나무·국수나무 숲에서는 방뇨·방분으로 인한 악취가 나기도 한다. 천왕봉으로 가는 길목의 비로산장 산장지기는 "속리산 자연환경 보전을 위해 휴게소를 철거했다지만 그 이후 깨끗했던 산이 대소변으로 지저분해졌다"고 목소리를 키웠다. 그러면서 "화장실을 무조건 철거하는 게 능사가 아니다"라며 "이용료를 받더라도 임시화장실을 설치하는 방안을 포함, 다각적인 고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일부 등산 관련 사이트에도 "속리산을 7∼8시간 산행할 예정인데 누구는 중간에 휴게소가 있다고 하고 누구는 없다고 한다"며 용변 해결 방안을 묻는 글도 이어지고 있다.
속리산 휴게소 없앴더니..이번엔 '산중 용변' 골머리

속리산 휴게소 없앴더니..이번엔 '산중 용변' 골머리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車블랙박스]현대차·기아, 해외 전략차종도 '쌩쌩'..인니도 공략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해외서 별도의 전략차종을 통해 현지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국내시장과는 다른 특성을 감안해 현지에 맞는 차종으로 소비자들을 겨냥하면서 아시아와 북미, 남미 등에서 입지를 다져나가고 있다. 최근에는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시장에 맞춘 다목적차량(MPV)을 선보이면서 현지화 전략을 꾀하고 있다. 26일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인도자동차공업협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0
22.07.26
자유주제

미국 2분기 신차판매, 전기차(EV)만 늘어

순수 EV는 테슬라 66% 점유, 현대 아이오닉 급성장 하이브리드 시장은 토요타가 55% 점유 2분기 미국내 신차 판매가 줄었으나 전기자동차(EV) 판매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자동차 시장내 테슬라의 점유율은 다소 줄어들었다. 25일(현지시간) 마켓워치는 KBB닷컴을 인용,공급망 문제로 자동차 가격이 오르고 소비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올 2분기에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58
22.07.26
자유주제

'한국경제 버팀목' 수출에도 '경고등'..하반기 플러스 멈출 가능성

글로벌 ‘S(스태그플레이션) 공포’가 심화하는 가운데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오던 수출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지난달 수출 증가율이 16개월 만에 처음으로 한 자릿수를 기록하면서 올해 하반기 플러스 행진이 멈출 수 있다는 우울한 전망도 나온다. 우리 전체 수출의 25%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대(對)중국 수출이 위축될 조짐을 보이고 있고, 각국의 긴축정책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7.26
자유주제

오래된 원도심 아파트 전기차 충전소 설치 ‘어렵네

2025년부터 100가구 이상 공동주택은 전기차 충전소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지만 인천지역 대다수 공동주택이 주차공간 부족 탓에 엄두를 못 내는 실정이다. 25일 시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보급을 촉진하려는 취지로 올해 친환경자동차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100가구 이상 공동주택의 경우 전체 주체구역 중 2% 이상은 전기차 충전시설과 전용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38
22.07.26
자유주제

신규 확진 증가 여전.. 요양시설 방역 강화

대구·경북의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가 지난주보다 크게 늘었습니다. 확진자가 두 배로 늘어나는 이른바 '더블링' 현상까지는 아니지만, 전파력이 큰 오미크론 하위변이 탓에 여전히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7월 25일부터는 해외입국자 PCR검사가 강화되고 전국 요양병원, 요양시설에서 비대면 접촉 면회만 가능해졌는데요, 방역당국은 고위험군이 많은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34
22.07.26
자유주제

부평2공장 전기차" 직진하는 한국지엠 노조

올해 한국지엠 임금·단체협약 교섭의 최대 쟁점은 11월부로 가동을 멈추는 부평2공장의 활용방안이다. 현재 부평2공장은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트랙스와 중형차 말리부를 생산하고 있는데, 두 차량의 단종이 결정되면서 부평 2공장의 활용 방안을 두고 노사가 이견을 보이고 있다. 11월 가동 중단… 교섭 '최대 쟁점' 시설전환 걸림돌 개선 정부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8
22.07.26
자유주제

"언론 인터뷰로 상사의 정당한 명령 비난 금지"..경찰청이 일선에 하달한 '복무규정'

행정안전부 내 경찰국 신설에 반대하는 경감·경위급 현장 팀장 회의에 앞서 경찰청이 집단 명의로 국가정책에 반대하는 행위 금지 등을 포함한 ‘복무규정 준수사항’ 경고문을 일선에 하달했다. 26일 전국경찰직장협의회(직협) 등에 따르면 앞서 경찰청은 전날 각 시·도경찰청을 통해 공문을 보내고 일선 경찰들의 복무규정 준수를 당부했다. 경찰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6
22.07.26
자유주제

UBS "2026년 세계 전기차 시장은 PC·휴대폰 등 통합시장 넘어설 변곡점 될 것"

스위스계 글로벌 금융기업 UBS가 오는 2026년 세계 전기차 시장이 개인용 컴퓨터(PC), 스마트폰 그리고 서버를 합친 시장 규모를 넘어설 변곡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25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UBS의 데이비드 레스니 애널리스트는 "전기차 기업들이 내연기관 차량 생산 성장은 2024년에 정점을 찍을 때까지 대체적으로 수익은 안정적일 것이지만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20
22.07.26
자유주제

공공기관 2차 이전 추진 임박..TK 유치전은 '느슨'

새 정부가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을 국정과제에 포함시킨 가운데, 전국 지자체들이 일찌감치 치열한 유치전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구, 경북은 아직까지 느긋한 모양새인데, 지역에 도움이 되는 공공기관을 유치하기 위해선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정혜미 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공공기관 2차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4
22.07.26
자유주제

테슬라 쓸어담는 서학개미 ···'바닥 매수' 타이밍 구간일까?

서학개미(해외주식에 투자한 국내 투자자)들이 최근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에 매수세를 키우고 있다. 최근 '팔백슬라'(주가 800달러선)를 회복하며 상승세를 보이는 테슬라의 주가 전망에 시선이 모인다. 2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7월 14일부터 20일까지 국내 투자자가 가장 많이 사들인 해외주식 종목은 테슬라인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들은 이

GoFoward|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