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2분기 경제성장률 0.7%..거리두기 해제로 살아난 소비가 성장 견인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59

우리나라 경제 규모를 보여주는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올 2분기(4~6월) 0.7%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면서 민간소비가 살아났지만, 글로벌 공급 병목현상, 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영향으로 수출은 뒷걸음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환율·고금리의 ‘삼중고’에 소비·투자가 위축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가운데 2분기부터 수출이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하반기 경제 상황은 녹록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26일 올해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속보치)이 전분기보다 0.7%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 역성장한 우리 경제는 2020년 3분기(2.3%), 4분기(1.2%) 성장한 데 이어 지난해 1분기(1.7%), 2분기(0.8%), 3분기(0.2%), 4분기(1.3%), 올해 1분기(0.6%)까지 오름세를 보였다. 올 2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0.1% 포인트 떨어졌고, 직전 분기인 1분기와 비교해 0.1% 포인트 올랐다. 2분기 경제성장은 민간소비가 이끌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로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 운수·음식숙박 등 서비스 중심으로 민간소비가 전분기보다 3.0%나 증가했다. 정부소비(1.1%)와 건설투자(0.6%)는 증가했지만, 설비투자(-1.0%)는 뒷걸음쳤다. 특히 화학제품·1차 금속제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3.1%나 감소했다. 1분기 3.6% 증가하면서 우리 경제 성장을 견인했던 수출이 2분기에는 흔들린 것이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은 GDP 성장률을 1.1% 포인트 끌어내렸다. 민간소비는 1.4% 포인트, 정부소비는 0.2% 포인트, 건설투자는 0.1% 포인트씩 성장률을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수출 둔화가 본격화하면서 하반기 경제 전망도 밝지 않다. 한은은 지난 5월 수정 경제전망에서 당초 3.0%였던 올해 성장률은 연 2.7%로 낮췄다. 한은은 지난달 남은 2~4분기에 0.5%씩 성장하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3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성장률은 5월 전망(2.7%)보다 낮은 2%대 중반대로 예상된다”고 말한 바 있다.

2분기 경제성장률 0.7%..거리두기 해제로 살아난 소비가 성장 견인2분기 경제성장률 0.7%..거리두기 해제로 살아난 소비가 성장 견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