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감사원 "성남시 '무쓸모' 땅 받아 291억 손실"..공무원 3명 등 경찰 수사

울트라맨8

Lv 116

22.07.26

view_cnt

902

경찰이 2015년 이재명 성남시장 시절 진행된 백현동 개발 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성남시 공무원과 성남도시개발공사(이하 도개공) 임원 등의 업무상 배임 혐의를 수사하고 있다. 이는 지난 4월 감사원의 수사 의뢰에 따른 것이다. 당시 관련 업무를 했던 시 공무원들이 수사 대상에 오르면서 당 대표 경선 출마를 앞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사법 리스크’에도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감사원은 백현동 개발 사업 진행 과정에서 기부채납(공공기여) 부당 변경 등의 문제를 확인하고 대검찰청에 수사를 요청했다고 26일 밝혔다. 해당 의혹은 대검찰청을 거쳐 백현동 관련 수사를 맡은 경기남부경찰청이 살펴보고 있다. 감사원은 성남시 공무원 3명과 유동규 당시 도개공 기획본부장(수감 중)의 업무상 배임 혐의를 수사 의뢰한 것으로 파악됐다. 수사 대상자로 확인된 성남시 공무원들은 2015년 백현동에 있는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11만 1265㎡의 용도를 변경(자연·보전녹지 지역→준주거지역)하는 업무 등을 맡았다. 감사원은 성남시 공무원 3명 등과 민간개발사인 A사의 기부채납 재산 교환 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 감사원이 지난 22일 발표한 감사보고서에 따른 사건 개요는 이렇다. 성남시는 2015년 3월 백현동 부지의 용도를 변경해주면서 공공기여 방안으로 연구개발(R&D) 용지 절반인 1만 6948m²에 R&D센터 건물(연면적 1만 6530m²)을 짓고 A사로부터 기부받기로 했다. 그러나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 R&D 용지 약 23%에 이르는 7995m²가 원형 보전지로 지정되자 A사는 원형 보전지로 전환돼 재산 가치가 떨어지는 땅을 R&D센터 대신에 기부채납하는 것으로 교환을 추진했고, 성남시는 이를 그대로 받아들였다. 해당 용지 가격은 385억원으로 책정됐으나 실제로는 66억원(2019년 감정평가 기준)에 불과했다. 감사원은 “공무원 3명은 성남시에 28억원 이익인 것처럼 부당하게 검토하는 등 사실상 291억원 상당의 손실을 성남시에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기부채납 재산 변경 과정은 백현동 부지의 민간임대계획을 바꾸는데도 영향을 미쳤다는 게 감사원 판단이다. 성남시는 A사가 기부채납 규모가 증가했다면서 민간임대를 일반 분양으로 변경 요청하자 이를 수용했다. 그 결과 민간임대주택 비중은 100%에서 10%로 줄었다. 감사원은 “성남시의 부당한 업무 처리로 A사는 최소 256억에서 최대 641억원을 추가 이익을 취했다”고 밝혔다.
[단독] 감사원 '성남시 '무쓸모' 땅 받아 291억 손실'..공무원 3명 등 경찰 수사

[단독] 감사원 '성남시 '무쓸모' 땅 받아 291억 손실'..공무원 3명 등 경찰 수사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노동 경직성·과도한 법인세..투자 순유출 규모 403조 달해

한국의 투자 유출 수준이 경쟁국보다 높은 데 대해 경영계는 협소한 내수시장, 지정학적 리스크 등 요인과 함께 과도한 시장규제, 경직적 노동시장, 취약한 조세 경쟁력을 꼽는다. 2000~2021년 투자 순유출액(해외직접투자-외국인직접투자)이 403조원(3015억달러)에 달할 정도로 불균형이 심한 데는 구조적인 한계도 있지만 스스로 경영환경을 옥죈 탓도 크다는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1
22.07.26
자유주제

테슬라, 기본 커넥티비티 서비스 유료화..'구매 후 8년 무료'

테슬라가 무료로 제공하던 기본 커텍티비티 서비스를 유료 서비스로 변경했다. 오토블로그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20일은 테슬라 무료 커넥티비티 서비스 등록 마감일이었으며 이제부터 차량을 구매하는 사람들은 최초 8년간만 무료 서비스가 제공되고, 이후에는 매월 또는 연간 구독료를 지불해야 한다. 해당 서비스는 테슬라가 제공하는 두 가지 커넥티비티 서비스 중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95
22.07.26
자유주제

[현장] 18시간 째 충전중?..환경부, 전기차 충전기 관리 부실 여전

한국전력,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에 이어 환경부 공공 급속 충전기 관리 상태가 엉망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된 지 1년밖에 되지 않은 충전기가 차량과의 통신 문제를 일으키는 한편, 제대로 된 충전현황을 보여주지 못하는 충전기도 있었다. 또 쓰레기 분리수거장 바로 앞에 신설된 환경부 급속 충전기도 보였다. 26일 메르세데스-벤츠 EQB 전기차를 이끌고 서울 서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900
22.07.26
자유주제

韓·美·中 격전지 된 일본 전기차 시장.."역전 노릴 호기"

'수입차의 무덤'으로 불리는 일본 자동차 시장이 각국 완성차업계의 전기차 격전지가 됐다. 한국 현대자동차부터, 미국 테슬라, 일본 자국 브랜드를 비롯해 중국 비야디(BYD)까지 일본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섰다. 26일 외신 등에 따르면 BYD는 지난 21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중국 완성차업체가 일본 시장에 진출한 건 BY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71
22.07.26
자유주제

S60·CT5 대신 엠블라·리릭.. 전기차는 이름도 다르네

SM5′나 ‘K5′처럼 브랜드명에 차급을 나타내는 숫자를 조합한 알파뉴메릭(alphanumeric) 방식은 신차 이름을 작명하는 공식으로 통한다. 수입차는 예전부터 애용했고, 국산차는 1998년 삼성자동차의 ‘SM5′를 시작으로 현대차(005380) ‘i30′, 제네시스 ‘G90′, 기아(000270) ‘K5′ 등이 연달아 알파뉴메릭을 도입했다. 전기차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71
22.07.26
자유주제

[마켓프로] 초고수들, '팔백슬라' 회복한 테슬라 담았다

투자수익률 상위 1%의 주식 초고수들은 두 달 만에 주당 800달러선을 회복한 테슬라(805.30 -1.40%)를 대거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미래에셋 엠클럽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계좌로 주식을 거래하는 수익률 상위 1% 고수들은 간밤 해외 주식시장에서 미국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와 나스닥100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프로셰어즈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237
22.07.26
자유주제

전기차 장밋빛 전망과 제조사의 주름

글로벌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배터리값이 오르면서 완성차 업체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배터리 가격은 2018년 ㎾h당 24만9000원에서 지난해 20만6000원으로 내려갔다가 올해 22만2000원으로 반등했다. 2024년에는 23만5000원에 달할 전망이다. 내연기관차와 경쟁할 수 있는 가격인 ㎾h당 100달러(약 13만원) 아래로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211
22.07.26
자유주제

현대차 '아이오닉6' 28일 사전예약 시작...구매 전쟁 예고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아이오닉6'가 오는 28일부터 사전예약을 시작한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4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2 부산국제모터쇼’에서 아이오닉의 2번째 모델 '아이오닉6'를 최초 공개했다. 아이오닉6의 1회 충전 최대 주행 거리는 524㎞로 이전 모델인 아이오닉5가 1회 충전으로 갈 수 있는 최대 거리가 429㎞였던 것에 비해 아이오닉6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93
22.07.26
자유주제

삼성SDI, 헝가리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활동 지원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은 현지시각으로 25일 헝가리 외교부 청사에서 페테르 씨야르토 외교부 장관을 만나 삼성SDI의 혁신기술 사례와 삼성의 헝가리 경제성장 기여도 등을 설명하고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에 대한 지지를 당부했다. 삼성SDI는 유럽 전기자동차 배터리 수요 대응을 위해 9400억 원을 투자해 지난해 헝가리 괴드 지역에 제2공장을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119
22.07.26
자유주제

수입차 운전자 10명 중 3명 "향후 신차 구입 때 온라인으로 사겠다

수입차 차주 10명 중 3명은 향후 신차를 구매할 때 온라인으로 살 계획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해소로 예전처럼 오프라인 매장을 찾아 대면 구매가 자유로워졌지만, 온라인을 통해 편리하게 구매하고 싶다는 응답이 예상보다 높았다. 이는 한국경제신문이 리서치기업 엠브레인과 함께 수입차 운전자 1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2022년 상반기 한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932
22.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