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무용지물 UHD TV "컬러TV 샀는데 흑백만 나오는 꼴"

울트라맨8

Lv 116

22.07.27

view_cnt

894

비싼 가격에 산 UHD(초고화질) TV가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풀HD(고화질) TV보다 화면이 4배 이상 선명한 UHD TV를 장만하는 가정이 점점 늘지만, 정작 시청 가능한 UHD 전용 방송 채널이나 콘텐츠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케이블·IP(인터넷) TV 같은 유료 방송 서비스는 UHD 전용 채널이 전체의 2.6%, UHD용 VOD(주문형 비디오)는 0.1%에 불과한 실정이다. 지상파 3사 역시 지난 2017년 UHD 방송을 시작할 때 내세운 연도별 UHD 콘텐츠 편성 비율 목표를 대폭 하향 조정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 “이런 식이면 비싼 UHD TV를 왜 샀는지 모르겠다” “컬러TV 샀는데 흑백만 나오는 꼴이다” “소비자만 호구 됐다”는 불만이 나온다. ◇ 새로 사는 TV 90%가 UHD인데 유료채널 중 UHD전용은 2.6%…초고화질용 VOD는 0.1%뿐 26일 방송통신위원회가 황보승희(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가구의 UHD TV 보급률은 2019년 6%에서 2020년 10.3%, 지난해 14.7%로 매년 증가세다. 가전 업계에 따르면, 국내 UHD TV 판매 비율은 2017년 약 40%에서 2018년 60%를 거쳐 올해는 90% 이상이다. 새로 사는 TV 10대 중 9대가 UHD TV인 셈이다. 하지만 IPTV·케이블TV·위성방송 등과 같은 유료 방송을 통해 즐길 수 있는 UHD 콘텐츠는 초라하다. 유료 방송에서 UHD 방송을 볼 수 있는 채널은 ‘스카이UHD’ ‘UXN’ ‘U맥스’ 등 6개에 불과하다. 유료 방송 가입자가 가장 많은 IPTV 3사 평균 채널 수(227개)의 2.6%밖에 안 된다. 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김영식(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 5월 현재 유료 방송이 보유한 VOD 콘텐츠 532만개 중 UHD급 영상은 6046개로 0.1%에 불과했다. IPTV가 0.6%, 케이블TV(중소 업체 제외한 ‘빅5′만 집계) 0.03%이고, 위성방송(KT스카이라이프)은 전체 VOD 23만개 중 UHD급 영상이 한 개도 없었다. 지상파 3사도 UHD 콘텐츠 확대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지상파 3사는 지난 2017년 ‘지상파 UHD 시대 개막’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당시 정부에서 수천억 원대에 달하는 황금 주파수 대역(700MHz)을 무료로 지원받았다. 그 대신 UHD 콘텐츠를 만들어 실제 방송에 편성하기로 했다. 편성 비율을 2018년 10%, 2020년 25%, 2023년까지 50%로 맞춘 뒤 2027년 이후 100%를 달성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지상파 3사가 경영난을 호소하자 정부는 지난 2020년 기준을 대폭 완화해 2023년 목표를 50%에서 25%로 낮췄고, 2027년 100% UHD 방송 목표를 ‘2023년 상황 보고 결정’으로 바꿨다. ◇ “UHD 한다”며 공짜로 황금 주파수 받은 지상파 3사는 UHD 편성비율 목표 멋대로 낮춰 지상파 3사가 UHD 콘텐츠를 제작하더라도 정작 UHD TV를 가진 대부분 가정에선 이를 볼 수 없다는 것도 문제다. 지상파 UHD 방송은 IPTV 같은 유료 방송으로 재전송되지 않고, 가정에서 안테나로 직접 전파를 수신해야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방통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가구의 94.3%가 인터넷·케이블 등 유료 방송을 통해 TV를 시청한 반면, 안테나를 통해 지상파 방송만 수신한 가구는 2.2%에 불과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상파 쪽에선 UHD 콘텐츠가 HD급보다 제작 비용이 더 드는 만큼 유료 방송 업체에서 더 많은 재송신 대가를 받으려 하지만 유료 방송 쪽에선 이미 지상파 방송을 HD급으로 제공하는 상황에서 굳이 비용을 더 쓰고 싶지 않은 것”이라고 했다. 게다가 SK브로드밴드 같은 IPTV에서 UHD 콘텐츠를 송출하려면 별도 시설 투자까지 해야 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유료 방송 업계에서 지상파 UHD 재전송을 위해 송출 시스템 업그레이드에 수십억~수백억 원을 투자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황근 선문대 교수는 “지상파나 유료 방송 사업자들이 UHD 방송 확산을 위해 스스로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정부 정책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무용지물 UHD TV '컬러TV 샀는데 흑백만 나오는 꼴'

무용지물 UHD TV '컬러TV 샀는데 흑백만 나오는 꼴'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中, TSMC 7나노 공정 베꼈다.. 삼성과 기술격차 2년으로 좁혀

반도체 기술 유출을 이유로 중국을 견제하고 있는 미국의 우려가 현실이 됐다. 중국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업체 SMIC(中芯國際·중신궈지)가 초미세공정 문턱으로 평가받는 7㎚(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 개발에 성공한 것이다. 이 기술은 대만 TSMC가 지난 2014년 개발한 7㎚ 공정 제품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면서 TSMC가 미세공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7
22.07.27
자유주제

휴대용 선풍기 전자파 안전할까..환경단체 VS 정부 누가 맞나

정부와 환경단체가 여름철 국민들이 즐겨 사용하는 휴대용 선풍기 전자파 유해성을 놓고 4년 만에 다시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환경단체측은 정부가 휴대용 선풍기의 전자파가 위험 수준인데도 안전하다며 방관하고 있다고 재차 문제 제기를 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전일 서울 종로구 센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목 선풍기 4종과 손선풍기 6종의 전자파 세기가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9
22.07.27
자유주제

'T1-젠지' LCK 서머 1위 담판 짓는다..상대전적 T1 우세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 서머 정규 리그 1위를 가리는 경기가 펼쳐진다. '리그 오브 레전드(LoL)' e스포츠의 한국 프로 리그를 주최하는 LCK는 27일부터 31일까지 서울 종로구 롤파크에서 2022 LCK 서머 7주차 경기를 개최한다. 11승1패로 승패가 같은 젠지와 T1의 맞대결이 오는 30일 예고돼 이목을 끌고 있다. 세트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5
22.07.27
자유주제

배터리엔 9.1조원, 반도체는?..'30조원 실탄' 최태원 회장, 美투자 밀당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코로나 화상회동'은 한미 양국관계 뿐 아니라 SK그룹의 미래설계에도 적잖은 의미를 지닌다. 최 회장은 코로나19 확진 와중에도 수트를 '드레스업' 한 바이든 대통령 앞에서 미국 제조업에 220억달러(28조8000억원)를 추가로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미 시작된 투자를 합치면 바이든 집권 기간 투자예정 금액만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1
22.07.27
자유주제

美 NASA가 한국 달 탐사선 발사에 노심초사하는 이유

"미국의 위성보다 200배 더 뛰어난 성능으로 달 영구음영지대를 속속들이 살펴 볼 것이다." 미국 등 전세계의 천문학자들이 한국의 달 탐사선 '다누리' 발사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기존보다 훨씬 더 정밀한 달 표면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6일(현지시간) 미국 우주전문매체 스페이스닷컴은 "한국의 첫 달 탐사 임무 발사가 1주일 앞으로 다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4
22.07.27
자유주제

삼성, BTS와 신제품 알린다.."신곡 담은 폴더블 영상 내달 공개"

삼성전자는 다음 달 갤럭시Z 신제품 공개에 맞춰 BTS와 홍보에 나선다. 최승은 삼성전자 MX 사업부 마케팅팀장(부사장)은 27일 사내 기고문에서 새로운 폴더블폰 공개를 예고하는 캠페인 '더 위대하게'(greater)를 시작한다면서 이같이 알렸다. 최 부사장은 "BTS의 신곡 '옛 투 컴'(Yet to Come)을 담은 최신 폴더블 영상을 뉴욕 타임스퀘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0
22.07.27
자유주제

빛 쪼여 뇌 혈류 개선..경도 인지장애 전자약 주목

치매는 본인뿐 아니라 가족과 사회까지 어렵게 하는 '고령화의 깊은 그늘'이지만 아직도 뚜렷한 치료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국내 바이오 기업이 치매 전 단계에서 인지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전자 약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성규 기자입니다. [기자]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인 치매. 인구 고령화로 치매 환자는 증가 추세지만,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2
22.07.27
자유주제

'빛바랜 혁신 아이콘' 네이버·카카오, 직원 호소에도 묵묵부답

혁신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올 하반기 시작부터 노사 갈등으로 잡음에 휩싸였다. 행동보다 대화로 해결하자는 노조의 목소리에도 사측은 원론적인 입장만 내놓으며 입을 굳게 닫았다. 비용 절감과 이윤 추구에만 급급해 구성원의 처우 개선·고용 안정은 뒷전으로 한 과거의 대기업과 다를 바 없다는 지적이다. 네이버, 사내 하청 구조로 임금 차별 네이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1
22.07.27
자유주제

이번에도 삼성보다 빨랐다..美 마이크론, 232단 낸드플래시 세계 최초 양산

미국 메모리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이 세계 최초로 232단 낸드플래시 양산을 시작했다. 176단 낸드플래시를 지난해 7월 세계 최초로 양산한 데 이어 꿈의 기술로 불리는 200단 이상 낸드플래시에서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앞섰다. ‘메모리 코리아’의 기술 경쟁력이 흔들린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마이크론은 27일 176단 낸드플래시와 비교해 데이터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36
22.07.27
자유주제

인간처럼 생각할 줄 아는 AI는 언제 나올까

인공지능(AI)이 사람처럼 생각할 수 있을까? 이러한 의문에 대해 AI 전문가들은 아직 어렵다는 반응이다. 지각과 감정에 대한 정의도 제대로 내리지 못할 정도로 아직 관련 기술 기반도 마련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구글의 엔지니어 블레이크 레모인처럼 일부에선 이미 AI가 지각 능력을 가지고 스스로 생각을 한다고 주장하는 사례도 있다. 레모인은 주장의 근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4
22.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