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7월까지 임산부 병상 100개 추가 확보한다더니..고작 30개↑

울트라맨8

Lv 116

22.07.27

view_cnt

884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1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출산을 앞둔 임산부의 공포심은 극에 달하고 있다. 코로나19에 확진되면, 사실상 일반 병원에서는 아기를 낳지 못하는데, 정부가 지정한 코로나19 임산부 분만 병상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27일 헤럴드경제 취재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250개였던 코로나19 임산부 분만 병상을 이달 말까지 351개로 늘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26일 기준 보건복지부가 확보한 코로나19 임산부 분만 병상은 280개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재유행 대비 특수병상 확충 계획에 따라 분만 환자를 위한 병상을 지속 확충하고 있다”며 “일반 병상 가산수가 지급을 통해 분만 수요에 대응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복지부는 올해 3월부터 코로나19 확진 임산부 출산을 수용한 일반 병원에 가산수가 300%를 적용하고 있지만, 관계자의 말과 달리 실효성은 크지 않다. 다른 임산부들과 신생아들에게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대다수 병원이 코로나19 확진 산모를 받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 산부인과 의사는 “코로나19 확진 산모를 받으면, 다른 임산부들이 불안해하고 병원 이미지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대부분의 병원이 코로나19 확진 산모를 받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일례로, 100만명이 넘는 인구가 살고 있는 고양시에는 코로나19 확진 임산부가 출산할 수 있는 병원이 아예 없는 상황이다. 코로나19에 확진된 산모는 119구급대에 전화를 걸어 병상을 배정 받아야 한다. 병상이 만석이라면 기다릴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응급상황인 경우에는 구급차 등에서 아기를 낳는 경우도 있다. 지난 4월에는 천안에서 외국인 임산부가 119 구급차 안에서 아이를 출산했다. 3월에도 용인과 인천, 안양, 해남 등에서 같은 사례가 있었다. 8월 출산을 앞둔 임산부 김모(34·여) 씨는 “최근에 주변에 확진이 되거나 밀접접촉자가 돼 불안한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며 “살고 있는 지역에는 분만 병상이 없어 혹시 확진이 된다면 2시간 떨어진 병원에서 아기를 낳아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8월 아내의 출산을 앞두고 있는 신모(38) 씨는 “문 전 정부에선 2년 정도 되는 팬데믹 기간 동안 이 문제를 왜 신경도 쓰지 않았으며, 윤 정부가 말하던 과학 방역이 작동하려면 아직도 얼마나 더 시간이 필요한 것이냐”며 “저출생 시대에 출산 대책에 막대한 돈을 쏟아 붓는다는데 그 많은 돈 어디로 샜느냐”고 토로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정부가 미리 임산부 분만 병상과 같은 특수병상에 집중해 대응을 했어야 했다”며 “임산부들에게 치료제를 투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최대한 위험을 낮추면서, 임산부 분만 전용 병상을 늘려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0만285명으로 99일만에 10만명을 돌파했다. 전주 대비해서는 2만3883명이 늘었다. 위중증 환자는 177명으로 9명 늘었으며, 누적 사망자는 25명이 증가해 2만4932명이다.
7월까지 임산부 병상 100개 추가 확보한다더니..고작 30개↑[다시 확진 10만]

7월까지 임산부 병상 100개 추가 확보한다더니..고작 30개↑[다시 확진 10만]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한인 1.5세 변호사, 美 워싱턴주 '라이징 스타'에 선정

한인 1.5세 변호사가 미국 워싱턴주에서 발행되는 잡지 '슈퍼 로이어스(Super Lawyers)'가 선정한 올해의 라이징 스타(뜨는 별)에 올랐다. 27일 이 잡지 홈페이지와 동포 매체들에 따르면 주인공은 시애틀에 있는 '리얼 프로퍼티 로그룹'(Real Property Law Group) 소속 이승영(미국명 셰릴 리) 변호사로, 부동산과 비즈니스를 전문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94
22.07.27
자유주제

조승환 해수장관 "해양수산 규제..국민 체감하는 성과 조기 도출하겠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민·관 합동 해양수산분야 규제혁신 전략회의'를 주재한다. 이번에 개최되는 규제혁신 전략회의는 해양수산분야 규제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중 최고위급 협의체로서 분야별 주요 업·단체장 및 민간 전문가 15명을 위원으로 구성해 규제혁신과제(안)을 논의·확정할 예정이다. 해수부가 이번 안건으로 상정한 규제혁신과제는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26
22.07.27
자유주제

미중, 28일 전화 정상회담..긴장 완화 방안 나올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오는 28일(현지시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정상회담을 갖는다. 대만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미국과 중국 사이의 긴장이 높아진 상황에서 어떤 성과가 나올지 관심이 쏠린다. 2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존 커비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두 국가 사이의 경제적 경쟁을 관리하는 것이 이번 전화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8
22.07.27
자유주제

현대차그룹 "올해부터 전기차 전용공장 전환 인허가 신청"

현대차·기아가 국내 전기차 공장 신설을 위해 올해부터 인허가 신청을 거쳐 본격적으로 공사에 들어갈 방침이다. 김동욱 현대차그룹 부사장은 2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열린 한국산업연합포럼(KIAF)의 '니치아우어 포럼'에 참석해 "올해 내연기관차 공장을 전기차 전용공장으로 전환하는 인허가를 신청하는 등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3
22.07.27
자유주제

트럼프- 펜스, 2024 대선 후보로 맞대결..공화당 양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의 다른 집회에서 2024년 대선의 잠재적 공화당후보로 서로 다른 의견을 주장하면서 공화당의 의견이 양분되는 양상을 내 보였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조 바이든에게 패배해 백악관에서 쫒겨난 뒤 이 날 처음으로 워싱턴에 돌아와서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 연구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2
22.07.27
자유주제

5·18 상징 '옛 전남도청' 복원, 내년 3월 첫삽..사업비도 증액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대표적 건축물 옛 전남도청 복원 공사가 내년 3월 첫 삽을 뜬다. 문화체육관광부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은 총 사업비를 466억원으로 증액하고 본격적으로 복원 공사를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2019년 8월에 발족한 추진단은 범시도민복원대책위원회와 협의해 옛 전남도청 복원을 위해 필요한 추가 공사비와 신규 전시콘텐츠 비용을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1
22.07.27
자유주제

인하대 현 총장 재임 도전에..교수회·동창회 "사퇴하라"

최근 교내 성폭행 추락사 사건이 발생한 인하대에서 조명우 현 총장이 재임 의지를 밝히자 교수회와 총동창회가 반발하고 나섰다. 27일 인하대 등에 따르면 지난 22일 마감된 학교법인 정석인하학원의 인하대 제16대 총장 후보자 공개 모집에 조 총장을 비롯해 모두 7명이 등록했다. 조 총장 외 후보자는 박기찬 아태물류학부 명예교수, 박승욱 경영학과 교수, 이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1
22.07.27
자유주제

韓선 시동도 못 건 승차공유 산업.. 택시대란에 '우버' '타다' 다시 주목

심야 택시대란이 지속되면서 이용자들의 불편이 커지자 우버와 같은 차량 공유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우버, 타다 등 다양한 차량 공유 서비스들이 등장했지만 택시업계 반발로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사업을 접어야만 했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우버는 지난 2013년 한국에 진출했다. 우버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0
22.07.27
자유주제

무용지물 UHD TV "컬러TV 샀는데 흑백만 나오는 꼴"

비싼 가격에 산 UHD(초고화질) TV가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풀HD(고화질) TV보다 화면이 4배 이상 선명한 UHD TV를 장만하는 가정이 점점 늘지만, 정작 시청 가능한 UHD 전용 방송 채널이나 콘텐츠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케이블·IP(인터넷) TV 같은 유료 방송 서비스는 UHD 전용 채널이 전체의 2.6%, UHD용 VOD(주문형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3
22.07.27
자유주제

中, TSMC 7나노 공정 베꼈다.. 삼성과 기술격차 2년으로 좁혀

반도체 기술 유출을 이유로 중국을 견제하고 있는 미국의 우려가 현실이 됐다. 중국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업체 SMIC(中芯國際·중신궈지)가 초미세공정 문턱으로 평가받는 7㎚(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 개발에 성공한 것이다. 이 기술은 대만 TSMC가 지난 2014년 개발한 7㎚ 공정 제품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면서 TSMC가 미세공

울트라맨8|22.07.2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5
22.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