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중국 사교육 금지 1년.."지하시장 형성, 교육 양극화 심화"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28

중국 정부는 지난해 7월 25일 의무교육(초·중학교) 과정의 학과류, 체육과 문화예술 등을 제외한 학과 수업과 관련한 사교육 기관은 일괄적으로 비영리 기구로 등록하도록 하고 신규 허가는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온라인 교육업체는 등록제를 허가제로 바꾸고, 기존 업체는 전면 조사를 거쳐 다시 허가받도록 했다. 이에 학원들이 줄줄이 문을 닫아 2조위안(약 387조원)에 달했던 중국 사교육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 중국 최대 학원기업인 신둥팡은 직원 8만명 중 6만명을 해고하고 1천500개 지점을 폐쇄했으며 남은 강사들은 라이브 커머스 진행자로 나서 농산물 등을 판매하고 있다. 중국 교육부는 작년 말 현재 사교육 업체 84%가 폐업했고 남은 업체들은 비영리기구로 전환해 사교육시장이 '소멸 단계'라고 규정했다. 그러나 식스톤은 솽젠 시행 이후 '사교육 지하시장'이 형성됐으며 교육의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했다고 분석했다. 재력과 인맥이 풍부한 부유층은 단속망을 피해 우수한 과외교사를 찾을 수 있는 반면 서민 자녀들은 보충 수업을 할 기회를 잃었다는 것이다. 베이징 금융업계에 종사하는 타오모 씨는 "이번 여름방학 12살짜리 자녀의 과외수업 스케줄이 빡빡하게 짜였다"며 "단속망을 피해 비밀리에 소규모로 운영하는 학원이 있는데 노력하면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고 귀띔했다. 자녀 교육 경쟁이 치열한 베이징 하이뎬구에 거주한다는 우모 씨도 "다른 두 집과 함께 원어민 영어교사를 초빙해 7살 자녀에게 1대 3 과외를 시키고 있다"며 "여름방학 때 수학 등 6과목 과외를 추가했다"고 말했다. 우씨는 "솽젠 정책이 사교육비를 크게 올렸다"며 "1년에 2만위안(약 387만원)이었던 영어 교습비는 배로 올랐고, 매달 지출하는 사교육비가 1만위안(약 194만원)에 달한다"고 전했다.

중국 사교육 금지 1년..'지하시장 형성, 교육 양극화 심화'중국 사교육 금지 1년..'지하시장 형성, 교육 양극화 심화'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중국 사교육 금지 1년.."지하시장 형성, 교육 양극화 심화" - 겟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