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재유행 본격화..'방역 생활화'로 잡을 수 있나

울트라맨8

Lv 116

22.07.28

view_cnt

881

앵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오늘 좀 떨어졌지만 어제는 10만 명대에 올라서서 걱정하시는 분들 많으셨을 겁니다. 정부는 그동안 했던일률적인 거리두기 대신 일상 방역의 생활화를 강조하고 있는데요. 관련해서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2차관 모시고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지금 우리 기자가 1~2주 안에 정점에 도달할 것 같다,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거든요. 맞습니까? 이기일] 오늘 질병청에서 전체적으로 브리핑을 했었거든요. 그래서 저희가 오늘 8만 8000명이 나왔는데요. 어제는 10만 명이 나왔었거든요. 그래서 저희가 계속 3주 연속 더블링이 돼서, 더블링이라는 것은 숫자가 두 번 느는 거잖아요. 그런데 지난주 일주일 전 목요일에 7만 1000명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다소 올라가기는 올라가지만 꺾인 것 같기는 한데요. 저희는 아마도 8월 말쯤에 한 28만 명쯤 나온다는 그 수치가 있기 때문에 일단 그거에 맞춰서 준비는 지금 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검사를 받으러 가지 않는 사람들이 많아졌기 때문에 지금 그래서 확진자 규모가 좀 더 진정되는 것이다, 이런 분석도 있더라고요. [이기일] 저희가 보니까 검사 수치가 있는데요. 어제가 25만 명 정도 검사를 하셨습니다. 그리고 옛날에 저희가 할 때는 88만 명까지도 검사를 했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아마도 숨은 확진자에 대해서는 최대한 노력을 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겠고요. 또 예전하고 다른 것이 지금은 자가검사키트도 준비가 되어 있고 1만 1000개 정도의 호흡기진료센터가 있거든요. 검사는 충분하게 할 수 있습니다. [앵커] 임시검사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검사량이 적다라는 것은 그러면 잘못된 거라는 겁니까? [이기일] 그거는 아닙니다. 다소 부족할 수는 있어도 저희가 많이 나왔던 것이 뭐냐 하면 왜 주말에 안 하느냐, 또 야간에 안 하느냐 그런 말씀이 있었거든요. 그래서 그런 것은 7월 20일부터 저희가 공문을 보내서 지금 하도록 하고 있고요. 또 한편으로는 그게 있습니다. 임시선별검사소라고 해서 옛날에 서울역이라든지 또 한편으로는 고속버스터미널에도 있었거든요. 그런 데도 70개소를 하기로 했고 벌써 한 27개소 운영, 설치가 되어 있습니다.
재유행 본격화..'방역 생활화'로 잡을 수 있나

재유행 본격화..'방역 생활화'로 잡을 수 있나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자폭유도 단백질로 암세포 없앤다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가 스스로 죽게 만드는 자살유도물질의 효과를 더 강화해 암을 확실히 없앨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연구팀은 세포 자살을 유도하는 ‘트레일’이라는 단백질의 생체 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단백질 나노 복합체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약리학 분야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컨트롤드

울트라맨8|22.07.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25
22.07.28
자유주제

'동물은 물건 아니다' 토론회 열려.."선언적 의미" "후속 조치 필요"

'동물의 법적지위와 입법적 변화 모색 국회토론회'가 28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 조항이 삽입된 민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라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동물복지국회포럼 공동대표인 박홍근 의원은 개회사에서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를 선

울트라맨8|22.07.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8
22.07.28
자유주제

'이 병' 고치려면 다리 아플 때까지 걸어라

말초동맥 질환 환자들이 다리가 아플 때까지 걷는 운동을 하면 걷기 능력이 개선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말초동맥 질환은 주로 다리의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생기는 병이다. 피에 콜레스테롤이 많아지면 혈관벽에 쌓여 플라크가 되고, 피가 제대로 통하지 못한다. 발의 감각이 둔해지고 걸으면 다리에 쥐가 난 것처럼 당긴다. 장기화하면 다리 털이나 발톱이 잘

울트라맨8|22.07.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3
22.07.28
자유주제

伊 첫 여성총리 나올까..극우 조르주 멜로니, 여론조사 선두

이탈리아에서 첫 여성 총리가 나올까. 마리오 드라기 전 총리의 사임으로 연정이 붕괴하면서 이탈리아는 오는 9월25일 총선을 실시한다. 아직 2개월 가까운 시간이 남아 있지만 현재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뉴파시스트 극우 정당으로 꼽히는 '이탈리아의 형제들'(FdI)이 23%의 지지로 선두를 달리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한다. 뿐만 아니라 마테오 살비니가 이끄

울트라맨8|22.07.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89
22.07.28
자유주제

'대전이지유' 사용 자제?..대전시 브랜드 슬로건 교체 논란

‘일류 경제도시 대전이지유?’ 민선 8기 개막 후 대전시가 브랜드 슬로건을 교체하려는 것 아니냐는 논란에 휩싸였다. 시 브랜드 슬로건은 더불어민주당 허태정 시장이 재임하던 민선 7기 3년차(2020년 10월)에 선포된 ‘Daejeon is U(대전이지유)’인데, 국민의힘 이장우 시장 취임 후 ‘일류 경제도시 대전’으로 변경된 것 같은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울트라맨8|22.07.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7
22.07.28
자유주제

인구, 72년 만에 첫 감소..'늙은 한국' 미래 아닌 현실

한국 총인구(외국인 포함)가 정부 수립 이래 처음 후퇴했다. 저출산·고령화로 사망자가 출생아를 앞지른 데다, 코로나19에 막혀 일을 구하러 한국에 오는 외국인도 감소했기 때문이다. 한참 일할 나이인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갈수록 줄고,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늘고 있어 '경제 체력'도 늙어가고만 있다. 경제 중추 생산인구, 5년 만에 68만 명 급

울트라맨8|22.07.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0
22.07.28
자유주제

'국민건강생활안전연구회' 공식 발족

환경·생활용품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의·과학적 근거와 전문적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 의학, 독성학, 언론 등을 대표하는 공중보건 전문가들이 함께 ‘국민건강생활안전연구회(회장: 최재욱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대한의사협회 국민건강 보호위원회 위원장)’를 공식 발족했다 국민건강생활안전연구회(이하 국건연)는 비과학적 건강 정보와 위해 인식에서 야

울트라맨8|22.07.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2
22.07.28
자유주제

확 줄어든 인천e음 캐시백 누구 탓?..책임공방 가열

70% 이상 줄어든 인천e음카드 캐시백에 대한 시민들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유정복 시장과 더불어민주당 시의원들의 ‘캐시백 축소’ 책임공방이 뜨겁다. 28일 인천시에 따르면 유정복(국민의힘) 시장은 전날 페이스북에 ‘e음카드 캐시백 축소는 민선7기에 결정됐고 민선8기는 관여하지 않았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유 시장은 “민선7기 박남춘(민주당) 시정부

울트라맨8|22.07.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6
22.07.28
자유주제

공매도 비중 30%, 주가 3% 이상 하락하면 공매도 '일시정지'한다

금융당국이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기준을 개선해 공매도를 보다 엄격하게 제한하기로 했다. 공매도 거래비중이 30% 이상이고 주가가 3% 이상 하락할 경우, 또 거래대금 증가율이 2배 정도만 돼도 다음날 공매도가 제한된다. 또 금지일에 주가하락률이 5% 이상일때는 금지기간을 다음날까지 자동으로 연장한다. 현재 일각에서는 하락장에서 정부가 한시적 공매도 금지 등

울트라맨8|22.07.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4
22.07.28
자유주제

'복지기준선' 중위소득 내일 발표.."물가 반영해 올려야"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 결정을 하루 앞두고 시민단체가 현실 물가 상승분을 반영한 중위소득 인상을 요구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8일 성명서를 통해 "보도에 의하면 기획재정부는 경기변동과 재정부담을 이유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인상률을 낮출 것을 요구했다"며 "취약계층에게 복지급여는 생계유지와 직결된 문제로, 이를 낮추는 것은 빈곤층을 벼랑 끝으

울트라맨8|22.07.2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8
22.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