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CSP·MSP 다하는 삼성SDS..베스핀글로벌·메가존클라우드와의 차별화 전략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1,016

삼성SDS는 자사 클라우드 사업의 차별화 포인트로 CSP(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와 MSP(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사)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점을 꼽았다. CSP는 기업에게 클라우드 인프라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아마존웹서비스(AWS)·마이크로소프트(MS)·구글클라우드플랫폼(GCP) 등 글로벌 사업자들과 KT·네이버클라우드·NHN클라우드 등 토종 기업들이 주요 CSP다. MSP는 클라우드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컨설팅을 해주며 적절한 CSP를 제안해주고 클라우드 전환 후 운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다. 베스핀글로벌과 메가존클라우드가 대표 MSP로 꼽힌다. 자체 데이터센터를 보유한 삼성SDS는 CSP와 MSP의 역할을 모두 할 수 있는 점이 차별점이다. 최근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를 함께 도입하길 원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상대적으로 더 민감한 데이터는 내부의 인프라에 보관하며 클라우드의 일부 기능도 활용할 수 있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보관하고 덜 민감하거나 확장이 필요한 데이터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삼성SDS는 이러한 기업 고객들을 타깃으로 자사의 데이터센터로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제공하고 AWS·MS·GCP 등 외부 CSP의 인프라를 활용해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다. 기업의 사업 성격과 데이터 규모 등을 고려해 적절한 형태의 클라우드를 제안할 수 있는 컨설팅 능력도 갖췄다. 오랫동안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IT서비스 사업을 펼치며 쌓은 다양한 업종 이해력이 MSP로서의 컨설팅 경쟁력으로 꼽힌다.

CSP·MSP 다하는 삼성SDS..베스핀글로벌·메가존클라우드와의 차별화 전략CSP·MSP 다하는 삼성SDS..베스핀글로벌·메가존클라우드와의 차별화 전략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