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이제 성수기인데.. 해운사도 수출기업도 노심초사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65

국내 기업들이 사면초가에 놓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국제선 항공 운항 재개가 지연되고 각 산업의 부품 수급난이 장기화될 우려가 커진다. 연말에 기준금리 3%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고되면서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수그러들지 않으면 공급망 병목현상 등으로 경영위기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다. 항공·자동차·해운사들에게 미치는 코로나19·금리인상 영향을 분석해 봤다. 수출업계는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하고 있다. 주요 항만 노동자들이 코로나19에 집단 감염돼 하역장이 폐쇄되면 최악의 물류 대란이 빚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앞바다에는 컨테이너선 30척 이상이 떠 있다. 3주를 대기해야 항만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에 취항하는 선박들도 2주 이상의 스케줄 지연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여파로 물동량이 증가한 데다 항만 노동자들의 확진으로 일손이 부족해 병목현상이 심화된 탓이다. 미국 수입화물의 4분의 1가량을 처리는 LA항과 롱비치항에선 지난해 근로자 700여명이 코로나19에 집단 확진되면서 45척의 컨테이너선이 물건을 내리지 못한 채 바다에서 대기하는 상황이 빚어졌다. 서부발 물류 대란은 미국 경제 전체에도 나비 효과를 일으켰다. 당시 국내 수출기업들에게도 고객으로부터의 취소 문의가 잇따랐다. 주요 항만의 노조들이 파업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까지 재확산되면 제 2의 물류대란을 피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미국 서부 항만노조와 유럽을 대표하는 항만 함부르크항 등은 임금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 서부 항만노조가 2014년 파업할 때도 수개월 동안 롱비치항구 등 미 주요 항구에서 컨테이너 하역 등에 차질이 발생했다. 해당 항구를 이용한 기업들은 수백만 달러 규모의 손실을 입었다. 업계 관계자는 "치솟은 운임비와 대기 지체료 등 비용 부담이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국내뿐 아니라 해외 주요 항만에 코로나19가 퍼지게 되면 무너지는 중소업체도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제 성수기인데.. 해운사도 수출기업도 노심초사이제 성수기인데.. 해운사도 수출기업도 노심초사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