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산업 외국인 인재 유치 비자 신설, 자율주행로봇 인도 주행도 허용


울트라맨8
22.07.29

1,091

첨단산업 외국인 인재 유치 비자 신설, 자율주행로봇 인도 주행도 허용
댓글
0
모바일 운전면허증으로 13개 은행 창구서 계좌개설 가능
금융위원회는 28일부터 13개 시중은행 영업점 창구와 4개 은행 스마트폰 뱅킹앱 에서 모바일 운전면허증으로 계좌개설 등 금융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창구 거래가 가능한 은행은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은행, 수협은행, 기업, 경남, 광주, 대구, 부산, 전북, 제주 은행 등 13개 은행이다.





치매 치료제 논란..'약'일까 '독'일까
최근 제약바이오 업계를 뜨겁게 달군 이슈가 있습니다. 알츠하이머 발병 원리를 밝힌 것으로 알려진 논문이 조작 의혹에 휩싸인 건데요. 이로 인해 '아밀로이드베타가 알츠하이머의 핵심 발병 원인'이란 가설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아밀로이드베타를 표적으로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개발 중인 국내외 업체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고요. 지난 2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





'초호황' 에쓰오일, 상반기에만 3조원 흑자..매출도 역대 최대
에쓰오일이 고유가와 정제마진 초강세에 힘입어 분기 연속 최대 매출과 흑자를 올렸다. 에쓰오일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조7천22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01.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는 기존 역대 최대 영업이익이었던 지난 1분기(1조3천320억원)보다 29.3% 증가한 수준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고유가





축산단체 "수입 고기 무관세 조치로 국산 축산물 가격만 때려잡아"
축산단체는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수입산 고기 등에 대해 면세조치를 시행하고 있는데 대해 "국산 축산물의 가격만 때려잡고 있다"며 즉각적인 철회를 요구했다. 전국한우협회, 대한한돈협회 등 9개 축산 단체로 이뤄진 '축산 생존권 사수 비상대책위원회'는 28일 성명을 내고 이같이 밝혔다. 비대위는 "정부가 민생안정을 위해 수입 축산물에 할당관세 0%를 적





메타, 2분기 첫 분기매출 감소.."경기침체 진입한 듯"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의 분기 매출액이 올해 2분기에 사상 처음으로 감소했다. 메타는 2분기에 1년 전 같은 시기보다 약 1% 줄어든 288억달러(약 37조6천억원)의 매출액을 올렸다고 2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메타의 분기 매출액이 감소한 것은 처음이다.





美민주당, 560조원 규모 '인플레 완화 법안' 합의
‘여당 내 야당’으로 불리는 민주당 조 맨친 상원의원이 민주당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와 이른바 ‘인플레이션 완화 법안’에 합의했다고 2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해당 법안은 법인세 인상, 국가 부채 축소, 에너지 투자 등을 내용으로 한다. 두 의원은 이날 공동 성명을 통해 “수개월에 걸친 협상 끝에 우리는 향후 10년 동안 적자 감소에





디지털 사업·북미 성과..제일기획, 상반기 실적 '역대 최대'
제일기획이 디지털 사업과 북미 지역 성과에 힘입어 상반기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제일기획은 지난 2분기 매출총이익 3885억원, 영업이익 880억원을 거뒀다고 28일 밝혔다. 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한 금액을 말한다.





"멜론, 年 20만톤 탄소 배출".. 커지는 '친환경 K-POP' 목소리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친환경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케이팝(K-POP) 팬들이 음악 스트리밍 업체에 친환경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하고 나섰다. 온라인을 통해 음원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탄소가 배출된다는 것이다. 또 불필요한 음반 구매와 음원 스트리밍을 유발하는 케이팝 산업의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팝





"하반기 일자리 금융보험 감소..기계·전자·철강·반도체 증가"
올해 하반기 금융보험 분야 일자리가 감소하고, 기계·전자·철강·반도체 분야의 일자리는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하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을 28일 발표했다.





부정당업체 중복 처벌 개선..1400개 기업 숨통
정부가 판로지원법 개정을 통해 업체의 공공조달 입찰 참가자격을 제한하는 '부정당 업체 제재'에 만연했던 중복제재 소지를 없애기로 했다. 이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는 9월 판로지원법 개정안을 발의해 내년 6월까지 법률 개정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12월엔 하위법령(시행령·시행규칙)도 개정을 완료한다는 목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