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9620원 vs 9499원'..한국 최저임금, 처음 일본 역전한다

울트라맨8

Lv 116

22.08.01

view_cnt

916

현재 평균 930엔(약 9108원)인 일본의 최저임금이 오는 10월부터 30엔 이상 오른다. 역대 최대 폭으로 인상되는 것이지만 한국의 최저임금(내년 9620원)이 처음으로 일본을 따라잡을 것이 확실시된다. 마이니치신문은 일본 중앙최저임금심의회가 전체 평균 930엔인 최저임금을 30엔 이상 올리는 방향으로 최종 조율에 들어갔다고 1일 보도했다. 이날부터 최종 협의에 들어가 오늘 중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일본 최저임금은 후생노동성의 자문기구인 중앙최저임금심의회가 매년 7월말 인상폭을 결정하면 4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가 지역별 사정을 고려해 확정한다. 새로운 최저임금은 그해 10월부터 반영된다. 지금까지 일본의 최저임금이 가장 큰 폭으로 오른 해는 2021년으로 28엔(3.1%) 인상됐다. 일본 정부는 주요국 최저 수준인 최저임금을 높이기 위해 2016년 이후 매년 3% 이상의 인상률을 유지하고 있다.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만 최저임금을 사실상 동결했다. 올해 최저임금이 30엔 이상 오르면 역대 최대 인상폭을 갈아치우게 된다. 일본 경제계는 최저임금이 30엔 초중반대 오르는 수준에서 확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최저임금이 40엔 올라 970엔이 돼더라도 현재 환율(100엔 당 979원)을 적용하면 9499원으로 한국의 내년 최저임금 9620원을 밑돌게 된다. 다만 한국의 최저임금은 일본에서 최저임금이 가장 높은 도쿄도(현재 1041엔) 등 수도권과 대도시 지역보다는 여전히 낮다. 일본에서 최저임금이 가장 낮은 지역은 고치현과 오키나와현의 820엔이다. 일본 정부는 매년 최저임금을 3% 이상 인상해 2024년 1000엔까지 높인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최저임금을 1000엔까지 올려도 주요국에 비해서는 크게 낮은 수준이다. 독일은 최저임금을 지난 7월 10.45유로(약 1만3932원)로 6.4% 올린데 이어 10월부터는 12유로로 또다시 14.8% 인상한다. 프랑스도 지난 5월부터 최저임금을 10.85유로로 2.6% 올렸다. 지역마다 다른 최저임금을 적용하는 미국에서는 로스앤젤레스시가 7월부터 최저임금을 16달러(약 2만864원)로 6.9% 올렸다. 일본의 최저임금이 주요국은 물론 한국보다 낮아지면서 동남아시아 노동자를 유치하는데도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일본은 인구감소로 부족한 노동력을 해외 노동자들로 보완하고 있다.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는 매년 일본에서 최저임금으로 일하면 자국보다 몇 배의 수입을 올리는 지를 나타내는 '해외노동매력도지수'를 발표한다. 2011년 36.7배였던 베트남의 해외노동매력도지수는 2021년 20.5배로 떨어졌다. 2011년 베트남 노동자가 일본에서 최저임금으로 일했다면 자국보다 37배를 더 벌 수 있었지만 현재는 20.5배 더 버는데 그친다는 것이다. 일본보다 한국에서 일하는 편이 더 많은 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중국인이 일본에서 최저임금으로 일하는 매력지수 역시 10년새 8.4배에서 3.6배까지 떨어졌다. 일본인 입장에서도 낮은 최저임금은 빈부격차를 확산시키는 요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일본의 정규직 근로자 대비 최저임금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45%에 그쳤다. 프랑스는 60%, 영국은 58%였다. 유럽연합(EU)은 이 수치가 60%를 밑돌면 "빈곤에 취약한 국가"로 평가한다.
'9620원 vs 9499원'..한국 최저임금, 처음 일본 역전한다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9620원 vs 9499원'..한국 최저임금, 처음 일본 역전한다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기아 EV6, 본전 생각

여름이다. 이번 여름을 맞이하며 EV6의 사계절을 모두 경험했다. 그간 EV6를 타며 느낀 총평으로 롱텀을 끝내고자 한다. 오너 관점으로 솔직히 본 총평쯤 되겠다. 일단 경제성. 최악의 전비를 보여준 겨울 이후 기온이 오르자 평균 전비가 미친 듯 올랐다. 리터당 2000원이 넘는 고유가로 곡소리가 나는 데 반해 전기차는 콧노래가 나온다. 뿐만 아니다. 구매

GoFoward|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3
22.08.01
자유주제

"美 증시, 바닥 쳤다" 선언 잇따라..다시 성장주 시대 온다

미국 증시가 한달 반 동안 강세 기조를 이어가자 침체장이 끝났다는 선언이 잇따르고 있다. 펀드스트랫 글로벌 어드바이저의 리서치 부문장인 톰 리는 지난 29일 보고서에서 최근 이벤트들은 증시가 "바닥을 쳤고" 올해 말까지 신고점을 경신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리는 지난주 금리가 올들어 2번째 0.75%포인트 인상되고 지난 2분기 GDP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5
22.08.01
자유주제

스타필드하남에 등장한 전기 패밀리 SUV 벤츠 '더 뉴 EQB'

메르세데스 벤츠 패밀리 전기 SUV 더 뉴 EQB가 주말 스타필드하남에 등장, 쇼핑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지난 6월 말 국내에 공식 출시된 ‘더 뉴 EQB’는 7월 초에 부산광역시 영도구 피아크(P.ARK)에서 부산. 경남 지역 고객들을 위한 전시회를 가진데 이어 수도권 고개들을 위해 스타필드하남에 팝업스토어를 마련했다.

GoFoward|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73
22.08.01
자유주제

말 많던 싸이 '흠뻑쇼', 이번엔 무대 철거 사망 사고

'싸이 흠뻑쇼'가 열렸던 콘서트장에서 조명탑 철거 작업을 하던 20대 외국인 남성이 추락해 숨졌습니다. 싸이 소속사 피네이션(P NATION) 측은 지난달 31일 늦은 오후 공식입장을 통해 "이날 31일 오후 3시 50분경, 강원도 강릉종합운동장에서 외주 스태프가 안타까운 목숨을 잃었다. 고인은 몽골 국적의 20대 남성으로 무대 구조물을 제작하는 A외주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6
22.08.01
자유주제

[하영선 칼럼] GM이 추구하는 모빌리티..포인트는 전기차·자율주행차!

변혁의 시대를 맞아 지금까지 130여년간 글로벌 자동차 시장을 이끌어온 내연기관차 시대가 저물고 있다. 이중에서도 대표적 반친화 차량으로 꼽혀온 디젤차(디젤 세단, 디젤 SUV)는 사실상 끝났다는 말이 나온다. 연간 1000만대씩 팔아 수십년간 1위 자동차 브랜드로 세계 시장을 이끌어온 제너럴모터스(GM)가 전기차(EV)와 자율주행차에 올인하겠다는 전략이

GoFoward|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416
22.08.01
자유주제

[초점] 테슬라, 시총 이어 수익성도 GM‧포드 제쳤다

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와 미국을 대표하는 완성차 제조업체 GM과 포드자동차의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미국 자동차산업의 양대산맥인 GM과 포드자동차를 이미 앞지른 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가 순익 기준으로도 두 거대 완성차 업체를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자동차 시장의 무게중심이 테슬라 쪽으로 더

GoFoward|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4
22.08.01
자유주제

솔Car말] 전기차 주력하는 벤츠, 하이브리드는 어떨까?

벤츠의 전동화 모델 EQ라인의 기세가 무섭다. 전통적인 내연기관 브랜드에서 성능과 가성비까지 좋은 내연 아닌 모델이 나오겠냐는 편견을 가볍게 깨준 벤츠, 전기차와 더불어 하이브리드 모델도 궁금해진다. 그래서 타봤다. 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E 350 4매틱 AMG 라인이다. 7월 중순 만난 벤츠 더 뉴 E 350 4매틱 AMG 라인은 벤츠 세단에서도 최고

GoFoward|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9
22.08.01
자유주제

[단독] SK네트웍스, 전기차 충전사업 진출…최성환 총괄 ‘모빌리티 확대’ 첫 작품

2년 전 주유소 사업에서 철수했던 SK네트웍스가 전기차 충전 사업에 진출한다. SK네트웍스는 교통 솔루션 및 시스템 통합 사업을 하는 에스트래픽과 손잡고 합작법인을 설립해 전국에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전기차 충전 사업은 최신원 SK네트웍스 전 회장의 장남인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이 올 초 등기 이사로 선임된 후 드라이브를 거는 것으로

GoFoward|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6
22.08.01
자유주제

값싼' 中 배터리가 뉴욕 전기차 화재 '주범'

중국산 배터리가 미국 뉴욕 전기차 화재의 주범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기자동차(EV)는 미국 뉴욕시에서 가장 심각한 화재 및 폭발 위험 중 하나가 되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중국산 부유식배터리(floating batteries)로 추정된다. 미국 뉴욕 소방국(FDNY)은 지난 6개월 동안 연속적인 트램 화재를 기록했다. 4월 21일에 FDNY는

GoFoward|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3
22.08.01
자유주제

배터리 3사, "3분기 다시 달린다"…2분기 악재 속에는 삼성SDI만 웃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으로 대표되는 K-배터리 3사가 2분기 실적 발표를 마무리 지었다. 이 중 유일하게 삼성SDI만 분기 기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실적 개선을 해냈다. 희비는 엇갈렸지만 3사 모두 3분기 매출 전망을 밝게 예측하고 있는 모습이다. ◆삼성SDI '미소', LG엔솔·SK온 '우울' 31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GoFoward|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2
22.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