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교육부 "만5세 초교 입학, 양극화 출발점부터 해소 위한 것"

울트라맨8

Lv 116

22.08.01

view_cnt

680

교육부가 초등학교 입학 연령을 만 5세로 1년 앞당기는 학제개편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커지자 이는 사회양극화를 출발점부터 해소하고자 하기 위한 것이라고 재차 해명했다. 교육부는 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백브리핑에서 "이번 취학연령 하향은 조기에 국가가 책임지고 모든 아이의 교육을 출발선부터 지원하기 위해 하는 것으로, 조기에 공교육으로 편입시켜 안전하고 질높은 교육을 국가 차원에서 보장해 사회양극화를 출발점부터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교육책임제를 강화해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게 국정과제의 중점목표이고, 이 때문에 공약이나 국정과제에 없던 내용이 이번 업무계획에 포함된 것이라는 설명이다. 교육부 자체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만 5세 입학을 4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적용했을 때 입학생 규모는 2025년(2018년생+2019년 1~3월생) 40만2491명, 2026년(2019년 4~12월생+2020년 1~6월생) 36만3176명, 2027년(2020년 7~12월+2021년 1~9월생) 33만1544명, 2028년(2021년 10~12월+2022년생) 32만5625명, 2029년 26만500명 등이다. 특정 연도에 동급생 수가 많아져서 입시나 취업에서 경쟁률이 높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걱정할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교육부는 "향후 국민 의견수렴, 전문가 자문, 그리고 국가교육위원회를 통한 공론화 등 충분한 사전 합의를 거쳐 추진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를 통해 "4년에 걸쳐서 1년씩 느는 것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첫 번째 대안"이라며 "선호도가 낮다고 한다면 1개월씩 당겨서 12년에 갈 수도 있다"고도 언급했다. 또 교육부는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존치와 달리 업무계획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외국어고(외고)와 국제고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교육부는 "전문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외고의 경우 미래 사회에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있어서 폐지 또는 전환해 외국어교과 특성화고로 운영을 검토하고 있고, 국제고는 미래사회 부합하는지 충분한 검토를 통해 12월에 발표예정인 고교체제개편 때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해 발표하겠다"고 설명했다. 전날 MBC 스트레이트에서 박 부총리가 한국행정학회에 이어 한국정치학회에서도 논문표절이 드러나 두 번째 투고금지 처분을 받았다고 보도한 것과 관련 박 부총리는 "이번 방영분은 지금까지 제기된 의혹을 다시 반복한 내용으로. 필요하면 국회에서 소명하겠다"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교육부는 전했다.
교육부 '만5세 초교 입학, 양극화 출발점부터 해소 위한 것'

교육부 '만5세 초교 입학, 양극화 출발점부터 해소 위한 것'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Suv 차량 어떤걸로 사야될까요? 도움부탁드립니다 ㅜ

안녕하세요 저는 31살 남자이고 월수입은 세후 500정도입니다. 자녀는 없고, 앞으로도 없을예정이며 강아지1마리 키우고있습니다 와이프랑 결혼하면서 와이프가 캠핑을 좋아해서 같이 캠핑다닐 수 있는 suv차량을 알아보고있는데요 어느차가 적당할지 고민입니다. 일단 저는 5년정도 k3를 타고있고 지방거주인데다가 출퇴근, 주말 데이트 용으로만 사용해서 월 10

자몽인건가|22.08.01
like-count2
commnet-count11
view-count1,385
22.08.01
자유주제

요즘 xc90 대기 얼마나 걸리나요?

xc90 1순위 에비에이터 2순위로 고민중인데, 지금 타는 차가 있어서 대기는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다리는 사이에 맘이 또 바뀔 것 같지만, 대기 걸어둘까 고민이네요 ㅎㅎ 실 소유주님들의 글도 정독하고 있고요, 다양한 의견들 두루두루 살펴보고 있습니다. 늘 감사한 마음입니다.

탈퇴자|22.08.01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1,303
22.08.01
자유주제

한쿡인가 마이애미인가. 너무 자유로운건가

강남구 입니다 출처 : 보배드림

thumbnail
GoFoward|22.08.01
like-count3
commnet-count12
view-count1,779
22.08.01
자유주제

M5 투어링—BMW코리아 데리고 옵시다

BMW M3 투어링은 유럽에서만 파는 바람에 많이들 아쉬워한 팬들이 많았습니다만, m50주년을 맞아 m5 투어링은 일단 북미에서도 구매할 수 있게 할 것으로 보입니다. M5투어링에 관심을 갖고 볼 잠재 고객은 X5M도 역시나 고민하기 마련이라 그동안 BMW가 유럽 외 시장에 투입을 망설일 수밖에 없었겠죠. M5 투어링은 완전히 새로운 플랫폼을 기반한

thumbnail
auto2063|22.08.01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726
22.08.01
자유주제

BMW 구독서비스 시작 (iX3 오너분들 필독)

BMW 커넥티드 드라이브에 새로운 구독 상품이 추가 되었습니다. 바로 어댑티브 M 서스펜션이 추가 되었는데요 아쉽지만 전 차종 다 구매 할 수 있는건 아니고요, BMW iX3 차종에 한해 구매가 가능 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어댑티브 M 서스 구매시 주행모드 설정에서 댐핑값을 (컴포트, 스포츠)로 설정 할 수 있는 메뉴가 활성화 됩니다. iX3

thumbnail
모나코|22.08.01
like-count1
commnet-count11
view-count1,986
22.08.01
자유주제

불스원, 프리미엄 디테일링 브랜드 '루나틱 폴리시' 런칭_오옷 가격 괜찮으면 구매 해야 겠네요

출처 : 다음 자동차_오토캐스트

동탄 현마허|22.08.01
like-count2
commnet-count3
view-count850
22.08.01
자유주제

계좌에 찍힌 2000만원.."보증금 아니고 월세입니다"

고물가가 지속되고 금리가 연일 상승하며 한동안 집값이 조정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한 달 월세 1000만원을 넘게 내는 초고가 세입자들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집값이 급격히 오르는 와중 현금 유동성이 필요한 일부 자산가들이 주 수요층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금리인상 여파 속 월세값도 올라가며 고가 월세 시장은 더 늘어날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56
22.08.01
자유주제

전기차 배터리도 구독서비스 된다고?..연내 출시 가능

‘전기차 배터리 구독서비스’가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그동안 자동차 등록원부에 배터리 소유권을 분리·등록할 수 없던 규제를 개선하기로 해서다. 최근 여신전문금융업계에서 전기차 배터리 구독서비스를 기획했지만 현재 자동차와 배터리 소유자가 다르면 해당 사실을 등록원부에 기재할 수 없어 상품 출시에 제약이 있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8일 제2회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9
22.08.01
자유주제

"묻지마 청약 자제 좀.." n차 무순위 청약에 건설사 울상

무순위 청약을 놓고 건설사 시름이 깊다. 묻지마 청약 등에 따른 유효 경쟁률 발생으로, 무순위 청약을 지속할 수밖에 없어서다. 미계약 소진을 위해 선착순 동·호수 추첨이 더 유효하지만 현행 주택공급 규칙상 무순위 청약에서 경쟁률이 ‘1’을 넘으면 이후 미계약 물량도 선착순이 아닌 무순위로 재추진해야 한다. ‘n차’ 접수 단지가 나오는 이유다. 이 같은 상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86
22.08.01
HOT
자유주제

포드 익스플로러 하이브리드 출시 임박, 가격은 6770만원

포드 익스플로러 하이브리드의 출시가 임박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포드코리아는 최근 익스플로러 3.3 하이브리드의 배출 가스 및 소음, 연비 인증을 완료했다. 익스플로러 3.3 하이브리드는 최고출력 323마력, 4WD, 복합연비 10.4km/ℓ의 성능을 갖췄다. 가격은 6770만원이다. 포드코리아는 지난해 12월 익스플로러 3.3 하이브리드 리미티드 사양의

thumbnail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2
commnet-count10
view-count2,161
22.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