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탄생 100주년 맞은 한국 현대음악 선구자 나운영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94

폭염 속에서 선선한 계절에 어울리는 노래를 떠올려본다. 가곡 ‘아 가을인가’, 동요 ‘구두발자국’. 모두 작곡가 나운영(1922~1993)의 작품이다. 탄생 100주년을 맞은 나운영은 서울에서 4남 1녀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국악에 조예가 깊었던 생물학자였다. 사랑방에서 부친과 동호인들이 합주하는 영산회상이나 제례악을 들었고 다섯 살 때부터 양금을 배웠다. 일곱 살 때 아버지를 여읜 나운영은 유품 중에 축음기와 SP판을 발견했다. 베토벤 교향곡 5번 ‘운명’을 소릿골이 닳도록 들으며 클래식 음악에 눈 떴다. 작곡가의 길은 17세 때 시작됐다. 동아일보 신춘문예 작곡부문에 가곡 ‘가려나’(김안서 시)가 당선되면서부터다. 일본으로 유학 간 나운영은 도쿄 고등음악학교 본과에 입학, 모로이 사부로에게 배운다. 백남준, 김순남 등 한국인 제자를 둔 스승은 독일에서 수학한 당대 일본 최고 작곡가였다. “네 나라의 민족음악을 만들어내라”는 스승의 충고로 민족음악에 눈 뜬 나운영은 한편으로는 버르토크, 스트라빈스키, 힌데미트 등 동시대 작곡가들에게 매료됐다. 옛 것과 새로운 것의 조화를 추구한 나운영을 상징하는 모토는 ‘선(先) 토착화 후(後) 현대화’다. 한국 민속음악언어의 토대 위에, 학습으로 익힌 서양음악언어로 시대성에 맞는 창조적 현대적 감각의 음악을 만들자는 지론이다. 그렇게 민속음악에 뿌리를 둔 작곡기법으로 한국 현대음악을 일궜다. 태평양 전쟁으로 일본에서 귀국한 나운영은 양금을 배우며 첼리스트로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1943년 채동선 4중주단, 1944년 경성후생악단, 1945~1950년 올포이스 4중주단에서 첼로를 연주했다. 1946년 조선음악가협회 주최 ‘우리작품 발표음악회’에서 자작 첼로 소나타를 발표했다.

탄생 100주년 맞은 한국 현대음악 선구자 나운영탄생 100주년 맞은 한국 현대음악 선구자 나운영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