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바이든·시진핑 충돌 불가피..中 대만해협 무력강화 빌미되나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1,003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이 임박하면서 대만 해협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전례없이 고조되고 있다. 대만을 자국 영토로 간주하는 중국은 무력 사용 가능성까지 암시하고 나섰으며, 미국은 펠로시 의장에 대한 보호 조치를 다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중국이 펠로시 의장의 이번 방문을 빌미 삼아 대만 해협 부근에서 무력을 강화하려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치킨게임…바이든도, 시진핑도 ‘직진’ 불가피= 펠로시 의장의 대만행을 바라보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속내는 복잡하다. 당초 바이든 행정부는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이 가져올 미중 관계 악화 등을 우려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하지만 대만 방문이 임박하자 펠로시 의장이 안전하게 대만을 방문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다하겠다는 입장으로 바뀌었다. 미국은 오히려 중국이 과민 반응을 하고 있다며 불편한 기색을 표하고 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이 1일 "하원의장의 방문은 선례가 있으며 하원의장의 방문 가능성으로 현상이 변화되는 것은 없다"면서 "베이징의 행동은 긴장을 증대시키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바이든 대통령으로선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이 현 시점에서 무산될 경우 ‘미국이 중국의 협박에 굴복했다’는 비판에 휩싸일 수 밖에 없다. 또한 이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리더십 쇠퇴 신호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지난 4월 대만을 방문했던 미국 민주당의 밥 메넨데즈 상원 외교위원장은 "중국이 대만을 방문할 수 있는 사람과 할 수 없는 사람을 결정하도록 (미국이) 허용한다면, 우리는 이미 대만을 중국에게 넘긴 것"이라고 비판했다. 올 가을 3연임을 확정할 제20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를 앞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역시 물러설 수 없기는 마찬가지다. 시 주석은 양안관계에 있어 ‘평화통일을 지향하나 무력에 의한 통일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동시에 대만 민진당 정권은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간접적으로 독립의 행보를 추구했다.

바이든·시진핑 충돌 불가피..中 대만해협 무력강화 빌미되나바이든·시진핑 충돌 불가피..中 대만해협 무력강화 빌미되나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