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왜 대부분의 선진국은 '만6세 입학'일까?

울트라맨8

Lv 116

22.08.02

view_cnt

1,218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교육지표 2021을 보면, 38개 회원국 중 초등학교 입학연령이 '만6세 이상'인 곳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모두 34곳이다. 회원국의 89.5%가 '만6세 이상' 입학을 고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국책연구기관의 '만5세 입학' 포기 권고 이유 교육학자와 뇌 과학자들은 바로 '뇌의 비밀' 때문이라고 말한다. 참여정부 시절인 2007년,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은 2년간의 연구 끝에 정부에 '만5세 취학 학령제 포기'를 권고하며 다음처럼 밝혔다. 같은 해 나온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제개편 방안(Ⅱ)>(연구책임자 박재윤)에 실린 내용이다. "취학연령 인하 방안의 문제는 만5세 아동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였을 때 적응력에 대해서 의견이 갈린다는 것이다. 아동들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이 과거보다 빨라진 것이 사실이지만 이런 변화가 만5세 취학을 가능하게 할 만큼 타당하게 변화한 것인지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다. 더욱이 대부분의 국가들이 만6세로 취학연령을 설정하고 예외적인 경우에 만5세아의 입학을 허용하는 제도를 운영하는 점에서 초등학교 취학연령을 일괄적으로 만5세로 인하하는 방안은 문제가 있다." 그러면서 연구진은 "만5세아의 강제적 초등학교 취학제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그 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과다하며 특히 만5세아가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잘 적응할 것인가에 대한 증거가 아직 불충분하다. 따라서 만5세아 초등학교 취학제는 보류해야 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바로 만5세 아동의 뇌 발달 정도에 대한 우려가 '보류'의 주된 이유가 된 것이다. 2010년 이미정 여주대학 교수(보육과)가 발표한 <초등학교 만5세 조기 취학안에 대한 고찰> 논문엔 아동 뇌 발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담겨 있다. 이 교수는 해당 논문에서 "선행연구 결과에서 볼 때, 조기취학한 만5세아가 만6세아보다 초등학교 적응에 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많다"면서 그 이유에 대해 다음처럼 설명했다. "행동을 조직하고 계획하는 일에 관여하는 뇌 영역은 전두엽인데, 전두엽 영역의 활동은 3~6세 사이에 급격히 발달한다. 따라서 아직 전두엽 발달이 충분하지 않은 만5세에는 초등학교의 형식교육(교사의 지시에 따른 인지적, 행동적 과제제시에 따른 학습)을 받기에 발달적으로 적절하지 않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교육학자들은 대뇌의 앞부분인 전두엽이 가장 빠르게 발달하는 만3~6세는 전두엽이 발달할 수 있도록 암기교육이나 반복학습이 아닌 놀이중심 교육을 권고하고 있다. 암기교육이나 반복교육은 전두엽이 발달한 초등학교 시기(만6~12세)에 가능하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이 교수는 "전두엽이 크게 발달하는 만5세 유아에게 두정엽과 측두엽 발달에 기반을 둔 초등교육 내용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은 개인의 두뇌발달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특히 특정 뇌기능은 적절한 자극에 의해 발달 확장하지만 부적합한 자극이나 과잉자극에 의해서는 크게 손상받기 받기 때문에 만5세 유아에 대한 초등교육 실시는 아동 발달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올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이 교수는 "스페인과 독일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초등학교 취학 연령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긍정적 효과가 더 많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면서 "만5세아 조기입학안은 해외 다른 나라에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세계적 흐름에 역행하는 정책방안"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부분의 나라에서, 심지어 만5세 (초등학교) 입학체제를 취하는 영국조차도 만6세 이후의 입학이 조기입학보다 아동의 발달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도 긍정 효과를 지닌다는 보고서가 나오고 있는 점을 정책결정에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왜 대부분의 선진국은 '만6세 입학'일까?

왜 대부분의 선진국은 '만6세 입학'일까?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IMF의 악몽 재현, 연간 물가상승률 5% 돌파..'역대급' 찍을 수도

소비자물가가 두 달 연속 6%대를 찍으면서, 연간 물가상승률이 5%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가 닥친 1998년(7.5%) 이후 최고 수준이다. 정부는 9~10월이 물가 정점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높은 물가가 하반기까지 지속돼 고착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만만찮다. 물가 상승세를 잡을 확실한 유인이 보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8
22.08.02
자유주제

한국 부가세율 OECD 평균 절반 수준 "인상 검토해야"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로 이에 따른 재정 지출은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여기에 새로 출범한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소요도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감세 정책으로 당분간 세수 감소가 예상된다. 이에 대응해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세율 인상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일 ‘2022 국정감사 이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97
22.08.02
자유주제

공공기관 부채 5년새 90조↑.."非재무위험기관도 경평으로 지속 관리"

재무위험기관 외 공공기관에 대해서도 경영평가를 통해 재무건전성에 대한 책임성을 강화해야 한단 국회의 제언이 나왔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2일 ‘2022 국정감사 이슈 분석’을 통해서 이같이 밝혔다. 공공기관 부채 규모는 최근 5년간 계속해 증가세다. 2017년 493조 2000억원이었던 부채규모는 2018년 501조 1000억원, 2019년 524조 700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3
22.08.02
자유주제

한국 수출 규모, 일본의 95% 수준..대일 무역적자는 여전

한국 수출 규모가 올해 들어 일본의 95%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에는 이 수치가 10% 남짓이었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 자료를 보면, 올해 들어 5월까지 누적 한국 수출액은 2929억달러로 같은 기간 일본 수출액 3091억달러의 94.8%에 이르렀다. 5월 한 달만 놓고 보면, 한국이 616억달러로 일본(WTO 기준 563억달러, 7조3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3
22.08.02
자유주제

원희룡 "필요시 연말 이전 추가해제".. 투기과열지구 세종시 규제 풀리나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규제지역 추가 해제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면서 세종시가 미세조정 대상에 오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집값 하락세가 완연한 세종에서는 정부가 '전국구 청약'에 따른 청약과열을 명분으로 지방 유일의 규제지역으로 꽁꽁 묶어두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원희룡 장관은 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규제지역에 대한 1차 해제가 조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9
22.08.02
자유주제

'전주시 여행은 자전거로'..코로나 방역 완화로 이용객 급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조치 완화로 전북 전주시를 찾는 관광객이 늘면서 공영 자전거 이용객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시는 올해 상반기의 공영 자전거 대여 건수는 9천713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 6천719건보다 2천994건(44.6%) 늘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방역 조치 완화로 한옥마을을 비롯한 전주시 주요 명소를 찾는 관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9
22.08.02
자유주제

코스피, '미중 충돌' 우려에 0.69% 내린 2435선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2일 대만 방문을 강행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 증시가 미중 갈등 우려로 하락세다. 이날 오전 11시10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날보다 16.87포인트(0.69%) 하락한 2435.38을 가리키고 있다.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2251억원과 836억원을 순매수했으나 기관이 3079억원을 순매도하면서 지수를 끌어내리고 있다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2
22.08.02
자유주제

고(高)물가 쓰나미 한복판..'점진적' 금리인상 계속된다

우리나라가 고(高)물가의 거대한 쓰나미, 그 한복판에 섰다. 7월 물가상승률은 23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은 6.3%로 치솟았다. 고유가, 소비회복 등 물가 상승 압력을 높이는 대내외적 요인이 동시에 우리나라를 덮친 탓이다. 물가 안정이 최우선 과제인 한국은행은 물가 고점 시기로 9월말에서 10월초를 꼽고 있다. 물가 경로가 이러한 전망을 크게 벗어나지 않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5
22.08.02
자유주제

차기 여신협회장 입후보 5일 시작..민간 후보 힘받나

차기 여신금융협회장 선출을 위한 일정이 오는 5일부터 본격화한다. 업권에서는 금융당국과의 소통에 강점이 있는 관료 출신 인사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높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가 최근 '인사 문제'로 지적을 받고 있어 민간 출신에 대한 무게감이 커지는 등 당장은 유력한 후보가 없는 안갯속이라는 평가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여신협회는 5일부터 12일까지 8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2
22.08.02
자유주제

신문 1면 광고까지..HLB주주들 "불법 공매도 대가 치를 것"

공매도 세력과 전쟁을 선포한 HLB주주연대가 한 종합 일간지에 광고를 게재하며 공매도 세력과 정면 대응할 것이란 방침을 재확인했다. 정부가 불법 공매도 세력에 대해 칼을 빼든 것과 맞물려 HLB주주연대 역시 셀트리온 등 여타 주주연대들과 연대해 공매도 주가조작단을 구성, 상시 모니터링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2일 HLB주주연대 및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한투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4
2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