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R의 공포'에 국제유가 6개월래 최저로..'연말 80달러' 전망도

울트라맨8

Lv 116

22.08.02

view_cnt

1,088

올해 상반기 고공 행진하며 물가를 끌어올렸던 국제 유가가 1일(현지시간) 배럴당 93달러대로 하락했다. 6개월래 최저 수준이다. 짙어지는 'R(recession·경기침체)의 공포'에 원유 수요가 줄 것이란 전망이 가격에 영향을 미쳤다. 오는 25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둔 한국은행 입장에선 유가 급등에 따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부담을 덜어주는 소식이다. 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9월물 미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4.8% 하락한 배럴당 93.8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2월 25일(배럴당 91.59달러) 이후 최저다. 올해 유가가 가장 비쌌던 3월 8일(배럴당 123.7달러)보다 32% 떨어졌다. 이날 영국 런던 국제선물거래소에서 10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장중 한때 배럴당 99달러대로 밀려나기도 했다. 국제 유가 상승세에 제동이 걸린 건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 경기에 ‘경고등’이 켜지면서다.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 전망이 유가 상승 압력을 낮추고 있다. 불을 지핀 건 세계 경제의 양대 축인 미국과 중국의 제조업 지표 둔화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한 지난 7월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한 달 전(53)보다 0.2 하락한 52.8을 기록했다. 2020년 6월 이후 약 2년 만에 가장 낮다. PMI는 신규 주문과 생산, 재고 등 제조업체 대상 설문을 통해 경기 동향을 파악하는 지표다.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이보다 낮으면 위축 국면으로 해석한다. 중국 경기도 위축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지난 7월 중국 차이신 제조업 PMI는 50.4로 지난 6월(51.7)보다 하락했다. 특히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제조업 PMI는 49로 경기 위축 국면으로 돌아섰다. ━ 3일 OPEC+ 증산 여부가 변수 미국과 중국 등의 경기 둔화 우려에 더해 국제 유가의 흐름을 가를 변수는 오는 3일(현지시간) 열리는 OPEC 플러스(OPEC+) 회의다. OPEC 회원국과 러시아 등 비(非) OPEC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는 공급자 측 변수인 원유 생산량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는 상황에서 유가를 낮추기 위해 미국 등 서방 국가가 산유국에 증산을 압박하고 있지만, OPEC+가 생산량을 크게 늘리진 않을 것이란 게 시장의 예상이다. OPEC+ 회원국 상당수는 러시아 눈치를 보고 있기 때문이다. 하이탐 알가이스 신임 OPEC 사무총장은 지난달 31일 한 인터뷰에서 “OPEC은 영향력이 큰 러시아와 경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러시아와 공생 관계인 OPEC+가 눈에 띄는 증산 계획을 내놓기 힘들 수 있다”며 “(예상대로) 증산 합의를 하지 못하면 단기적으로 유가 상승을 자극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경기침체 두고 ‘80달러’ VS ‘130달러’ 국제 유가 전망은 엇갈린다. 세계 경기 후퇴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여름철 드라이빙 시즌이 지난 데다 올해 하반기 세계 경기 둔화로 원유 수요가 줄며 유가 하락세는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에드 모스 씨티그룹 글로벌 원자재 부문 대표는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원유 수요 감소로 올해 말까지 WTI 가격은 배럴당 80달러 초반, 브렌트유 가격은 배럴당 80달러대 중반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오히려 원유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전문가도 있다. 1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제프 커리 골드만삭스 원자재 글로벌 책임자는 “최근 중국의 (코로나) 봉쇄 조치 해제로 원유 수요가 전반적으로 회복되고 있다”며 “하반기 수요가 늘면서 유가는 다시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브렌트유 연말 목표가로 배럴당 130달러를 제시했다
'R의 공포'에 국제유가 6개월래 최저로..'연말 80달러' 전망도

'R의 공포'에 국제유가 6개월래 최저로..'연말 80달러' 전망도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與반도체특위 '시설투자 최대 30% 세액공제' 추진..업계 "환영"

국민의힘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반도체 특위)가 2일 공개한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법'을 두고 업계가 적극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는 물론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인허가 절차 출소, 인력 확보를 위한 대책 등 그간 업계에서 요구해왔던 대안들이 두루 반영됐다는 평가다. 업계는 세액공제율 확대에 특히 반가움을 표했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5
22.08.02
자유주제

반도체산업법 발의 기자회견..업계 "구체적 실행이 관건"

정부가 반도체 산업 인재 육성을 위해 본격적인 규제를 개선하고 혜택 강화에 나섰다. 업계는 법안 추진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면서도 예산 확보와 실행이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2일 국민의힘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장인 양향자 무소속 의원은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 활동 성과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국가첨단전략산업법 개정안은 국가 첨단전략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5
22.08.02
자유주제

일본 코로나 폭증에 병상 사용률도 48.0%로 급증

일본에서 코로나19 감염 '제7파(코로나19 일곱 번째 유행)'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국 병상 사용률이 48.0%에 달해 일주일 만에 10.8%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2일 후생노동성 정리로 나타났다고 지지통신이 보도했다. 21개 도부현에서는 상승률이 10%포인트를 넘어섰고 오미크론 변이 BA.5로 인한 감염 확산으로 의료체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 나타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3
22.08.02
자유주제

뒤숭숭한 카카오T..'탄력 호출료' 꺼낸 우티의 반격 "요금카드 승부수"

우버와 티맵모빌리티의 합작회사인 우티가 사실상 요금인상 효과가 있는 '탄력 호출료'를 도입하고 공격적인 프로모션 활동을 펼치며 '카카오 천하'인 모빌리티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를 위한 반격에 나섰다. 업계 1위 카카오모빌리티가 매각설에 휩싸이며 뒤숭숭한 분위기인 가운데 우티가 가맹택시 확보에 집중해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사회 문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0
22.08.02
자유주제

통일교 의혹에 다급해진 일 자민당 "당 차원 관계 없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총격 사망으로 불거진 집권 자민당과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과의 유착 의혹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자민당은 “당 차원의 조직적 관계는 없다”고 해명했지만 일부 언론들은 선거자금과 조직 외에도 당의 이념적 기반까지 통일교가 관련돼 있다는 보도를 내놓기 시작했다. ‘통일교 유착’ 지목 정치인들 줄줄이 해명 NHK 등 일본 언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69
22.08.02
자유주제

美, 반도체장비 中 공급 제한 강화에..삼성·SK도 불똥 튈라 '긴장'

중국 '반도체 굴기'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강화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까지 압박을 받게 됐다. 그동안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에 집중됐지만, 낸드 장비까지 수출 제한조치가 거론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미국 주도의 반도체 동맹 '칩4' 가입 압박과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에 대한 추가 제재까지 겹치면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9
22.08.02
자유주제

대리운전연합 "티맵, 로지 인수로 시장 질서 와해"

티맵모빌리티의 로지소프트 인수를 두고, 대리운전 기사 등 업계 종사자들이 ‘시장 침탈’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티맵이 지난 5월 동반성장위원회 권고 조처를 무시한 채, 대리운전 생태계를 망가뜨리고 있다는 주장이다. 동반위는 관련 사안을 예의주시해 중재하겠다는 방침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대리운전총연합회, 한국플랫폼운전자노동조합 등은 티맵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6
22.08.02
자유주제

에너지 위기에 발목 잡힌 유럽의 녹색 전환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전환에 목소리를 높여온 유럽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위기에 직면하자 화석 연료 의존도를 다시 높이고 있다. 심화되는 에너지 위기와 폭염, 공급망 혼란, 경기침체 등 악재가 겹치며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려던 유럽의 장기 계획이 지연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유럽 행 가스공급 감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4
22.08.02
자유주제

펠로시 대만 방문에 극한 치닫는 미·중 갈등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2일 대만을 방문하면서 미·중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중국은 군용기와 군함을 실질적 경계선인 대만해협 중간선까지 보내 무력 시위를 벌였고 미국도 펠로시 의장의 안전을 위해 전투기 투입 등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맞섰다. 펠로시 의장의 대만행은 향후 미·중 관계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2일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7
22.08.02
자유주제

英석유기업 BP, 유가 급등에 2분기 매출 11조원..전년比 3배

영국 석유회사 BP(브리티시 페트롤리엄)가 유가 급등에 예상치를 웃도는 2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가디언 등에 따르면 BP는 2일(현지시간) 올해 4~6월 매출 85억 달러(약 11조1100억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시장 전망치 63억 달러(약 8조2400억원)를 훌쩍 상회했다. 10여 년 래 최고치였던 올해 1분기 62억 달러(약 8조1000억원)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76
2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