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우크라전 서방 '깜짝 병기'는 아마존·MS·구글"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72

러시아 침공 직전인 2월 우크라이나는 사설 클라우드 업체들에 정부 자료를 국경 밖으로 내어 갈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뒤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구글과 계약을 체결했다. 곧바로 며칠 후 러시아가 침공했고, 정부 자료가 보관돼 있던 키이우의 데이터센터는 러시아 미사일 폭격으로 파괴됐다. 그러나, 이런 공격에도 불구하고 백업 자료들이 이미 다른 유럽 나라들로 이송돼 피해가 없었다고 미하일로 페도로우 우크라이나 정보부 장관은 설명했다. 안방에서는 시장 지배력과 독점 등의 문제로 거센 비판에 처한 서방의 기술 '공룡'들이 우크라이나에서 수행한 이 같은 역할은 이들이 어떻게 러시아, 중국과 경쟁하는 서방의 핵심 자산이 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미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사이버공격에서 우크라이나 컴퓨터망을 지키는 데 도움을 주고, 러시아와 일부 사업 관계를 단절한 구글에 평화상을 수여했고, AWS와 마이크로소프트에도 유사한 상을 줬다. 아마존의 클라우드 사업 부문인 AWS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며칠 내에 '스노볼'(Snowball)이라 불리는 여행가방 크기의 저장장치를 이용해 토지 등기부터 납세 기록에 이르기까지 정부 자료를 신속히 다운로드해 백업한 뒤 이를 안전한 곳으로 옮겨 클라우드에 업로드했다. 이 작업에 참여한 리암 맥스웰 씨는 "그 자료가 현재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한다"면서 "우크라이나가 원하는 장소에 있을 것이고, 알 필요가 있는 사람들은 어디 있는지 알 것"이라고 설명했다. AWS는 암호화 등을 통해 아마존 내부 직원들을 비롯해 외부인들로부터 고객 자료를 철저히 보호하고 있다면서, AWS의 가장 강점 중의 하나인 이 같은 부분은 기술적 측면이 아니라 미국 정부의 데이터 통제 법률에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크라전 서방 '깜짝 병기'는 아마존·MS·구글''우크라전 서방 '깜짝 병기'는 아마존·MS·구글'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