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물탱크 위 노인·아이들에 '곧 내려간다' 거짓말도 했죠"..50년 전 '시루섬의 기적' 생존자들

울트라맨8

Lv 116

22.08.04

view_cnt

726

충북 단양역에서 남한강을 내려다보면 잡초가 가득한 황무지 섬이 눈에 들어온다. 단양군 증도리에 속하는 이 섬은 시루 모양을 닮았다. 그래서 ‘시루섬’이라고 불린다. 6만㎡ 크기, 축구장 8배 규모의 작은섬. 이곳에 살던 주민들은 50년 전인 1972년 8월19일 마을을 덮친 홍수에서 대부분 살아남아 ‘시루섬의 기적’의 주인공이 됐다.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시루섬은 이제 사람이 살지 않는 섬이 됐다. 단양군은 50년 전 홍수에서 주민들의 희생과 헌신으로 수많은 사람을 지켜낸 것을 기념하기 위해 오는 19일 60여명의 생존자를 초청해 행사를 연다. 지난 2일 오후 어르신 4명이 단양역 앞 시루섬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서 있었다. 이몽수 전 증도리 이장(83)과 노진국씨(78), 박동준씨(76), 이경희 (65)씨 등 4명은 1972년 8월19일 태풍 베티로 시루섬이 물에 잠겼을 당시 살아남은 주민들이다. “단양에서 잘 살았던 동네였는데….” 이 전 이장이 50년 전 추억을 회상하며 말했다. 이 전 이장은 23살 때부터 31살 때인 1971년까지 시루섬에서 이장을 맡았다. 그는 “1970년대만 해도 시루섬이 단양에서 가장 부유했던 곳”이라고 했다. 50여년 전 시루섬은 남한강에 펼쳐진 넓은 평야와 비옥한 토지로 단양지역에서 보기 드문 경작지였다. 단양군은 전체면적 780.1㎢ 중 80%가 임야다. 김상철 단양군 문화예술팀장은 “단양은 산이 많은 지형 특성상 당시 농사가 쉽지 않았다”라며 “넓게 펼쳐진 시루섬의 평지는 지역 주민들의 훌륭한 수입원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용작물 재배로 부유했던 시루섬 1985년 충주댐 건설로 시루섬 대부분이 물에 잠겨 현재 면적은 6만㎡다. 단양군은 물에 잠기기 전 시루섬의 면적을 23만8016㎡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시루섬 주민들은 논농사가 아닌 땅콩, 누에, 담배 등 특용작물을 재배해 많은 소득을 거뒀다는 것이 단양군의 설명이다. 시루섬에서 태어나고 자란 이씨도 “주변 학교들이 소풍으로 시루섬을 찾았다. 운동장이 없는 학교는 운동회도 시루섬에서 했다”며 “겨울에는 얼음썰매를 타기도 했다”고 회상했다.
'물탱크 위 노인·아이들에 '곧 내려간다' 거짓말도 했죠'..50년 전 '시루섬의 기적' 생존자들

'물탱크 위 노인·아이들에 '곧 내려간다' 거짓말도 했죠'..50년 전 '시루섬의 기적' 생존자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에 거는 기대

4차 산업혁명과 첨단기술혁신이 촉발한 뉴노멀 글로벌 시대. 이 시대에는 국가 간 경쟁에서 도시 간 경쟁으로 그 개념이 좁혀지고, 오히려 도시의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이 되기도 한다. 도시경쟁력이 그만큼 중요해진 이유다. 세계 주요 도시들은 일찍부터 도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곳이 뉴욕의 허드슨야드다. 맨해튼

울트라맨8|22.08.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0
22.08.04
자유주제

부산 아파트 매매가격 7주째 뚝뚝..전셋값도 하락세

부산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이 7주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8월 첫째 주(1일 기준) 부산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0.05% 하락했다. 부산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6월 셋째 주(-0.01%) 이후 7주 연속 하락했다. 이번 주 들어 매매가격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지는 등 하락 폭도 갈수록 커지는 양상이다. 지역별

울트라맨8|22.08.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29
22.08.04
자유주제

국방차관, 벨기에 국방총장 접견.."사이버 등 국방협력 활성화"

신범철 국방부차관이 4일 오후 미셸 호프만(Michel Hoffman) 벨기에 국방총장을 접견하고 한반도 안보정세 양국와 국방협력 확대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국방부가 공개했다. 신 차관과 호프만 국방총장은 오랜 우방인 양국이 벨기에의 한국전 참전 이래 다양한 분야에서 우호 관계를 유지해 온 것을 평가하며, 앞으로 더 활발하게 국방분야에서 협력하기로 뜻을

울트라맨8|22.08.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8.04
자유주제

셀토스 구매를 도와주실 카마스터 구해요

셀토스 풀옵션 일시불 상담 가능하신 카마스터님 연락주세요~ 지역은 서울 광진구 입니다 적당한 서비스 지원 해주실 카마스터분 찾습니다!!

모차르트|22.08.04
like-count2
commnet-count2
view-count1,125
22.08.04
자유주제

검은 매연 뿜는 이유 있었네..도로 위 車 4.8대당 1대 '부적합'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해 자동차검사를 받은 차량 4.8대당 1대가 부적합 결과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검사를 받은 차량은 전년 대비 42만대(3.5%) 증가한 1259만대로 이 가운데 994만대가 적합, 나머지 265만대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차령에 따른 부적합률 분석 결과에 따르면 차가 노후될수록 부적합률이 높았다. 첫 출고된

울트라맨8|22.08.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03
22.08.04
자유주제

오픈하면 '바글바글', 소비자는 원해도 출점제한이 발목

대형마트 의무휴업 규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대형마트가 주2회 휴무, 10~24시 영업시간 규제를 받는 동안 e커머스와 식자재마트, 편의점 등이 파이를 챙겼다. 규제에 따른 반사이익은 전통시장의 몫이 아니었다. 규제가 바꾼 유통산업의 지형도는 규제완화가 이뤄지면 다시 한번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여의도에 문을 연 백화점 '더현대서울'. 핫플레이스

울트라맨8|22.08.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4
22.08.04
자유주제

"불 안난다더니 잘만 타네!" 블레이드 배터리 탑재한 BYD '한 EV', 中서 화재

중국 전기차 및 배터리 업체 BYD(비야디)의 전기 플래그십 세단 ‘한(漢)’이 중국의 도로 한복판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지난 3일(현지시각) 중국 자동차 전문매체 시나오토(sina auto)에 따르면, 최근 중국 심천 룽강 자하철역 근처에서 BYD의 한 EV가 도로에서 갑자기 불길에 휩싸이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한 EV는

thumbnail
울트라맨8|22.08.04
like-count0
commnet-count3
view-count2,051
22.08.04
자유주제

[EV 트렌드] '살짝 공개된 BMW 뉴 클래스 정체' 전기차 전용 플랫폼 · 원통형 배터리 사용

2025년경 신규 전기차 전용 플랫폼과 4680 원통형 배터리를 탑재해 출시되는 BMW의 '뉴 클래스(Neue Klasse)' 라인업 첫 모델이 소형 세단이 될 전망이다. 이어 스포티한 스타일의 SUV 또한 연이어 선보인다. 4일 외신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앞서 BMW는 2020년대 중반 '뉴 클래스'를 소개하고 판매 라인업을 재편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GoFoward|22.08.0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1,143
22.08.04
자유주제

"현대기아, 테슬라 위협" 해외서 본 최대 강점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을 빠르게 개편되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테슬라가 첨단 기술과 인기를 등에 업고 생산량, 판매량에서 독보적으로 군림했다. 하지만 이제는 많은 자동차 회사가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며 춘추전국시대가 열렸다. 그중에서도 기아와 현대차는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를 견제할 브랜드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아이오닉 5와 EV6 등을 출시

GoFoward|22.08.0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65
22.08.04
자유주제

중국 패러시스에너지, 중국에 30GWH용량 배터리 공장 건설한다.

중국 배터리업체 패러시스 에너지가 중국 장시에 30GWh의 용량을 가진 배터리 공장을 2단계로 건설한다. 첫 번째 단계는 연간 생산 능력이 18GWh인 NCM 파우치 셀 생산 시설을 건설한 계획이다. 나머지 12GWh는 두 번째 단계로 계획되어 있지만 확장 후 생산될 세포의 유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며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패러시스는 밝혔다.

GoFoward|22.08.0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867
22.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