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檢,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대법 판결 검토..서해 피살 '법리' 찾기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96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을 수사하는 검찰이 법리 적용과 관련해 최근 대법원이 내놓은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사건 판결을 면밀히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4일 법조계에 따르면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부장검사 이희동)는 지난달 28일 대법원에서 유죄가 확정된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사건의 판결문을 살피며 서해 피살 사건에 적용 가능한 법리를 검토하고 있다. 대법원은 대통령기록물법 위반과 공용전자 기록 등 손상 혐의로 기소된 백종천 전 청와대 외교안보실장과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비서관의 재상고심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이들은 대통령기록물에 해당하는 2007년 10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초본이 담긴 문서관리카드를 무단으로 삭제한 혐의로 기소됐다. 1심과 2심은 회의록 초본에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결재가 없어 이를 대통령기록물로 볼 수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지만 대법원은 다른 판단을 했다. 노 전 대통령이 문서관리 카드에 최종 결재를 하지는 않았지만 회의록을 열람하고 확인한 만큼 사실상 결재가 이뤄진 것으로 봐야 한다며 원심을 파기했다. 파기환송심은 대법원과 같은 취지로 삭제된 회의록을 대통령 기록물로 봐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어 회의록 초본이 첨부된 문서관리카드를 삭제한 것은 공용전자 기록 등 손상죄에 해당한다고 했다. 검찰은 특히 이 판결 중 '공무소에서 사용하는 전자기록', 즉 공용전자 기록에 대한 법원의 정의에 주목하고 있다고 한다. 법원은 공무소에서 사용하는 전자기록에는 공문서로서 효력이 생기기 이전의 서류나 정식 접수 및 결재 절차를 거치지 않은 문서, 결재 상신 과정에서 반려된 문서 등이 모두 포함된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이 판단에 비춰 '공용전자 기록'의 범위를 폭넓게 해석하고 수사 중인 사건들에서 이러한 기록을 적법한 절차 없이 삭제, 수정하라는 지시가 있었는지를 들여다보고 있다. 국정원은 앞서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박지원 전 원장을 고발하면서 공용전자 기록 등 손상 혐의를 고발장에 적었다.

檢,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대법 판결 검토..서해 피살 '법리' 찾기檢,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대법 판결 검토..서해 피살 '법리' 찾기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