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SH, 노후 매입임대주택 '재건축 안전진단' 착수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47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노후 매입임대주택들을 재건축하기 위해 안전진단을 추진한다. 정부의 매입임대주택 품질 개선과 오세훈 서울시장의 임대주택 고급화 정책에 발맞추기 위해서다. 4일 SH에 따르면 SH는 1일 노후 매입임대주택 재건축 판정을 위한 안전진단 용역을 발주했다. 서울 전역에서 건축 연한이 20년을 넘긴 49곳이 대상이다. 양천·강서 권역 20곳, 구로·마포 10곳, 은평·종로 10곳, 서대문·용산 9곳 등이다. SH의 한 관계자는 “20년 이상 노후화된 매입임대주택의 경우 통상적으로 구조 안전진단을 하게 돼 있다”며 “이번에는 국토교통부 협의용 자료 확보를 위해 과업 범위를 재건축 판정을 위한 안전진단까지 확대한 것이고 향후 용역 결과에 따라 재건축 여부가 정해지게 된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매입임대주택이 건물 노후화와 주거 편의 시설 미비로 수요자들로부터 외면받자 올해 안에 관련 예산을 마련해 노후화 개선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전월세난이 심각한 서울의 경우 매입임대주택 4곳 중 1곳이 20년 넘은 노후 주택이다. SH가 노후 매입임대주택을 허물거나 리모델링을 통해 주택을 공급해왔지만 수요자들이 외면하면서 공실로 남는 경우가 많았다. 오 시장이 임대주택 고급화를 내건 것도 이 같은 수요 공급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지난달 30일 세계도시정상회의(WCS) 참석차 싱가포르를 방문한 오 시장은 “노후 임대주택 용적률을 최대 500%까지 확대해 싱가포르처럼 고밀 개발하고 타워팰리스 같은 고품질 임대주택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SH는 임대주택 고급화를 위한 후속 작업에 잇따라 착수했다. SH는 지난달 노후 공공주택단지 34곳의 3만 9802가구의 자발적 이주를 위한 이주·이전 대책 수립 및 단계별 사업 추진 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발주했다. 그동안 공공주택단지를 재건축한 사례가 없다 보니 민간 재건축처럼 임대 상가 철거 문제 등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다. 특히 원활한 이주가 우선돼야 하는데 민간 재건축 사업처럼 시세에 준하는 이주비를 지원하기가 어렵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단독] SH, 노후 매입임대주택 '재건축 안전진단' 착수[단독] SH, 노후 매입임대주택 '재건축 안전진단' 착수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