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거래 절벽 '오래 버티는' 강남.."급매물 한두건 계기로 시세 빠질 수도"

울트라맨8

Lv 116

22.08.05

view_cnt

884

3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단지 내 상가의 공인중개사무소들은 오후 5시가 되자 하나둘 사무실 불을 껐다. 30여곳의 중개소 중 대여섯 곳은 입구에 ‘휴가 중’ 등의 안내문을 붙인 채 며칠째 휴무였고, 나머지도 평소보다 일찍 파장 준비를 했다. 한 공인중개사는 “예년에는 2학기 개학을 앞둔 7월께 전세·매매거래가 몰려 휴가도 미루고 계약을 치렀다. 올해는 6월부터 문의 자체가 사라져 출근 않고 쉬는 중개사가 많다”고 말했다. 서울의 주택 손바뀜이 급감한 가운데 강남권 시장도 사실상 개점휴업에 들어갔다. 1000채 이상 대단지 아파트 중에도 수개월 째 매매거래 건수가 제로(0)인 곳이 흔한 상황이다. 다만 집주인이 수억원씩 몸값을 낮춰 1∼2년 전 시세로 매물을 ‘던지는’ 경우는 아직 드물었다. ‘버티기 장세’가 지속되는 강남 부동산시장을 <한겨레>가 취재했다. 4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을 보면, 지난달 강남·서초구에서 신고된 아파트 매매계약은 53건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처음 월 100건을 밑돌았다. 405건이 거래됐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거래량이 4분의 1토막 났다. 한산해진 분위기는 지역별 ‘대장주’로 꼽히는 대단지들에도 뚜렷했다.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2444채)·‘반포자이’(3410채),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1608채), 개포동 ‘디에이치아너힐즈’(1320채) 등에서 지난달부터 한 건의 매매거래도 신고되지 않았다. 대치동 칠성공인중개소 대표는 “은마아파트에서는 6월부터 매매거래가 전혀 없었다. ‘일정 가격 이하의 매물이 나오면 사겠다’는 대기 수요도 끊긴 상황”이라고 전했다. 일부 단지에서는 매매 경색이 ‘호가 조정’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어진지 20년 이상 된 구축 아파트나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시세가 내리는 모습이다.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아파트(전용면적 63㎡·27평 기준)의 경우 올 초까지 최고 34억원을 호가했지만, 지난달 30억7000만원에 거래된 뒤 최근에는 30억∼32억원에 매물로 나온다. 양재천변의 재건축 단지인 대치동 미도아파트와 개포동 경남아파트 등에서도 전용 120㎡(40평)대 기준 연초 고점 대비 1억원 정도 낮은 가격에 매물이 출회되고 있다. 개포동 개포공인중개소 대표는 “지난 연말까지는 ‘똘똘한 한채’ 선호 기조 속에서 서울 외곽·수도권 아파트를 팔고 강남 아파트를 사려는 수요가 있었다. 하지만 올 들어 외곽 집값이 강남보다 먼저 떨어지면서 ‘갈아타기’ 매수가 끊겼다”고 말했다. 다만 최근 1∼2년 동안의 상승분을 반납할 만큼의 ‘대세 하락’은 아직까지 없다는 게 부동산 업계의 설명이다. 강남·서초구 단지들의 매매 호가는 대체로 올 초 고점과 비슷하거나 소폭 떨어진, 지난 연말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하철 3호선 역세권이나 한강변 등 이른바 ‘노른자위’의 20년 연식 이내 아파트에선 시세가 유지되거나 신고점을 갈아치우는 경우도 심심찮게 보인다.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전용 135㎡(52평)는 지난 6월 역대 최고가인 55억9000만원에 거래된 뒤, 지금은 57억원 정도에 매물로 나와 있다. 강남구 도곡동 ‘렉슬’ 전용 84㎡(33평) 역시 지난달 역대 두 번째 높은 가격인 31억5000만원에 팔린 이후, 최근에도 비슷한 호가에 나온다. 통계상으로도 강남·서초구 매매시세는 서울 다른 지역보다 오래 ‘버티는’ 중이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매매가격지수 통계를 보면,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지수는 올 1월부터 지난달 마지막주까지 0.4% 하락했다. 반면 서초구와 강남구는 같은 기간 각각 0.7%, 0.3% 상승했다. 특히 서초구의 경우 지난 3월 셋째주부터 19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다가 지난주 보합으로 돌아섰다. 반포동 가든공인중개소 대표는 “기존에도 시세가 높았던 반포 인근에선 (자기자본 없이) 큰 대출을 끼고 집을 샀던 집주인이 드물었다. 대출금리 인상 등의 충격이 덜하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지금의 거래절벽이 연말 이후까지 길어질 경우 강남권 집값도 본격적으로 조정될 것으로 내다본다. 수요자들의 매수 심리가 전국적으로 얼어붙은 상황에서 강남만 ‘활황기 호가’를 유지할 수 없다는 얘기다. 박원갑 케이비(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지금은 실거래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호가만 높아지며 시세가 유지되는 듯한 착시를 줄 수 있다”며 “강남에서도 매물이 많이 나오는 대단지를 중심으로 급매물 한두건이 거래되며 시세가 빠르게 빠질 수 있다”고 짚었다.
거래 절벽 '오래 버티는' 강남..'급매물 한두건 계기로 시세 빠질 수도'

거래 절벽 '오래 버티는' 강남..'급매물 한두건 계기로 시세 빠질 수도'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최병오 형지그룹 회장, '좋은사람들' 인수 특명..왜?

패션기업 형지그룹이 열약한 자금 사정 속에서도 속옷 기업인 '좋은사람들' 인수전에 뛰어들어 배경이 주목된다. 특히 최병오 형지그룹 회장의 인수 의지가 강하다는 분석이다. 여성복으로 사업을 시작한 형지그룹은 그동안 굵직한 M&A로 몸집을 불려 현재 여성복, 남성복, 아웃도어, 골프웨어, 제화잡화, 유통 부문으로 사업을 넓혔다. 최 회장은 아직까지 형지그룹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07
22.08.05
자유주제

미국산 국제 유가 90달러 붕괴..비싼 휘발유 값에 수요 무너져

미국산 국제 유가가 지난 2월 이후 처음으로 90달러 밑에서 거래를 마쳤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9월 인도분 선물가격은 4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배럴당 2.12달러, 2.3% 하락한 88.54달러로 마감했다. 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이전인 지난 2월2일 이후 최저치다. WTI가 90달러 밑에서 마감하기는 지난 2월10일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4
22.08.05
자유주제

하이證 "국제 유가 안정세..유럽 에너지 불확실성이 관건"

하이투자증권은 국제 유가가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유럽 에너지 불확실성이 변수라고 진단했다. 5일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유럽 내 러시아발 지정학적 리스크는 유가에 하방 경직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에너지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 변수들이 가격 하향을 시사하고 있지만 유럽 국가들이 겨울철을 앞두고 에너지 대란을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5
22.08.05
자유주제

키움證 "美 인플레 '정점' 찍고 둔화될 듯..국제유가 하락 영향"

키움증권은 다음주 발표되는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전망도 변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물가 정점 형성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봤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5일 보고서에서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전망치)는 전년동월대비 8.8%로 모아지고 있다"며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4
22.08.05
자유주제

2023 포드 익스플로러 페이스리프트 [중국형]

와이드 디스플레이가 아주 인상적이네요

thumbnail
정형돈|22.08.05
like-count3
commnet-count3
view-count1,319
22.08.05
자유주제

11111km 기념샷

노래 제목까지 완벽ㅋㅋㅋ 이건 인증샷 안찍기가 쉽지 않았어요...ㅋ

thumbnail
장세진|22.08.05
like-count7
commnet-count10
view-count1,467
22.08.05
자유주제

갈수록 더 안 산다..3년 전으로 돌아간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날로 위축되면서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3년 전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에 따른 집값 하락 우려 속에 좀처럼 거래가 성사되지 않아 ‘거래절벽’ 현상만 장기화하는 모습이다. 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4.6으로 지난주(85.0)보다 0.4포인트 떨어졌다. 지수는 201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736
22.08.05
자유주제

HSBS "강세장 시작은 희망사항..주식 비중 최대한으로 낮추라"

미국 증시가 7주일 이상 상승 흐름을 계속하자 새로운 강세장이 시작된 것이 아니냐는 조심스러운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HSBC는 4일(현지시간) 강세장의 귀환은 근거없는 얘기라며 주식 비중을 최대한으로 낮추라고 조언했다. HSBC의 수석 멀티애셋 전략가인 맥스 케트너는 보고서에서 새로운 강세장이 시작됐다는 의견에 대해 "희망사항일 뿐이라고 생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667
22.08.05
자유주제

내년 최저임금 9620원 확정 고시..월 환산 201만580원

내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9620원으로 확정됐다고 고용노동부가 5일 관보를 통해 고시했다. 고용부 장관은 다음 연도 최저임금안을 매년 8월5일까지 확정 고시해야 한다. 2023년도 최저임금은 올해 9160원보다 5.0% 올랐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월 근로시간 209시간 기준 201만580원이다. 내년 1월1일부터 업종 구분 없이 모든 사업장에 동일하게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91
22.08.05
자유주제

깡통전세 주의보에 2030의 비명.."전셋집 구하기 겁나요"

이른바 '깡통전세'가 횡행하면서 부동산 거래에 익숙하지 않은 2030세대 중심으로 '전세에서 눈을 돌려 월세로 가자'는 반응이 나옵니다. 난생 처음 대출까지 받아 모은 수억 원을 전세사기로 잃는 것이 두렵다는 겁니다. 최근에는 중개업소에서 전세보증보험을 악용해 세입자에게 '이사비', '이자지원금' 명목으로 수천 만 원을 돌려주겠다며, 깡통 매물을 감안한 채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657
22.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