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韓서 돈 많이 벌고, 기부금엔 인색한 다국적 제약사.."본사 배만 불렸나"

울트라맨8

Lv 116

22.08.09

view_cnt

860

국내 매출이 급성장한 다국적 제약사 대다수가 사회공헌 비용은 매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사 배만 불리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국화이자제약의 매출액은 2019년 3499억원, 2020년 3928억원에서 2021년 1조6939억원으로 급증했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매출액이 전년대비 332.3% 훌쩍 뛰었다.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을 지나오며 백신과 치료제를 팔아 역대 최고 수준의 실적을 올린 것이다. 한국화이자는 영업손익에서도 기업 분할로 2020년까지 3년 연속 적자를 면치 못했으나, 지난해 592억원의 이익을 거둬 흑자전환했다. 반면 한국화이자의 기부금 규모는 매년 반토막이다. 2019년 12억211만원이었던 한국화이자 기부금은 2020년 7억7278만원에 불과했고, 지난해에는 다시 3억7129만원으로 기부 규모를 줄였다. 한국노바티스는 매해 매출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기부금 규모를 이와 비례해 늘리지 않고 있다.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이 회사 매출은 매년 500억원씩 늘었는데, 기부금은 3년간 28억~31억원으로 큰 차이가 없다. 물론 기부금의 절대적인 규모는 화이자보다 훨씬 많다. 그러나 지난해 노바티스 본사가 가져간 배당금은 349억원으로, 화이자의 약 1200만원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한국에서 거둔 이익을 본사로 내뺐다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한국엠에스디(MSD)도 2020년 4846억원에서 지난해 5419억원으로 매출이 증가했음에도 기부금은 2억원에서 200만원으로 대폭 줄었다. 국내 진출해 있는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국다이이찌산쿄, 한국다케다제약, 한국에자이 등 일본 제약업체들도 기부금 규모를 줄이고 있다. 이들은 수년간 있었던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도 시장 특성상 큰 타격을 입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은 주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을 공급하고 있다. 한국다이이찌산쿄의 경우 사회공헌 기부금은 2019년 4억5000만원에서 2020년 1억원대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1억원대 기부금이 유지됐다. 한국다케다제약은 3년간 8억원에서 3억원으로 기부금이 감소했다.
韓서 돈 많이 벌고, 기부금엔 인색한 다국적 제약사..'본사 배만 불렸나'

韓서 돈 많이 벌고, 기부금엔 인색한 다국적 제약사..'본사 배만 불렸나'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나이들어 깜박깜박하고 치매 생기는 이유, 알고보니..

나이가 들면 젊었을 때보다는 기억력이 감퇴된다. 치매나 파킨슨병처럼 퇴행성 신경질환을 앓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지금까지는 이 같은 증상과 질환들이 나이들면 당연히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내 연구진이 노화로 인해 뇌의 기억 중추에 비정상적 세포가 증가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연구팀은 노화된 뇌와 치매가 발생한 뇌에

울트라맨8|22.08.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8.09
자유주제

"암호화폐 결제, 2~3년내 일상화"..대격변 예고한 부테린

“암호화폐(가상자산) 결제도 실제로 2~3년 내에 (일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글로벌 시가총액 2위 가상자산인 이더리움을 만든 비탈릭 부테린은 서울에서 열린 ‘코리아블록체인위크 2022’ 강연에서 이같이 힘줘 말했다. 제7호 태풍 무란(MULAN) 상륙을 앞두고 ‘물폭탄’이 떨어지는 가운데, 7000명(주최측 추산)이나 모인 자리에서다. 내

울트라맨8|22.08.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6
22.08.09
자유주제

"AI 상담원이 사람 잡아먹는다"더니..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사람 잡아먹는 인공지능(AI)인 줄 알았는데 살리는 AI네.” 전국 최대 규모 콜센터인 KT고객센터에서 나오는 얘기다. 총 7000명가량이 근무하는 이 콜센터는 올 상반기 직원 퇴직률이 전년 대비 30% 낮아졌다. AI 솔루션이 궂은일을 많이 가져간 덕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KT 콜센터는 작년 5월부터 AI 기반 음성·채팅 상담을 도입했다. 1년 만

울트라맨8|22.08.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3
22.08.09
자유주제

K배터리, 美 '인플레이션법' 특수 기대.."中 원자재 사용 변수"

미국 상원이 기후변화 대응에 대규모 재원을 투입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최종 가결했다. 에너지 전환과 전기차 보조금 지원 방안 등이 담겨 있는 만큼 국내 배터리 업계도 수혜 대상으로 점쳐진다. 다만 중국산 원자재를 수급할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어 배터리 업체의 기민한 대응이 필요하다. 7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미국 상원은 찬성 51

울트라맨8|22.08.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8
22.08.09
자유주제

"삼성 작정하고 만들었다" 새로운 '폴더블폰' 이렇게 생겼다

“삼성 새 ‘접는 폰’ 이렇게 생겼다!” 삼성전자의 하반기 ‘갤럭시 언팩2022‘를 이틀여 앞둔 가운데 차세대 갤럭시Z폴드 및 갤럭시Z플립의 실물로 짐작되는 사진이 유출됐다. 전작보다 한층 얇아지고 정돈된 모습이 특징적이다. 삼성전자 폴더블(접는) 스마트폰의 ‘약점’으로 거론돼 왔던 디스플레이 힌지(경첩) 부분 주름도 보다 완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8

울트라맨8|22.08.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2
22.08.09
자유주제

교통약자 교통수단 천차만별..세종 승용차 압도적

세종시에 사는 교통약자들은 다른 시·도를 오갈 때 대부분 승용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충남·충북은 승용차, 고속버스, 기차 등으로 골고루 분산됐다. 교통약자는 장애인·고령자·임산부·영유아를 동반한 사람·어린이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을 말한다. 국토교통부가 8일 발표한 '2021년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세

울트라맨8|22.08.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32
22.08.09
자유주제

다누리 첫 궤도 수정 성공..국내 위성산업 '탄력'

한국의 첫 달 탐사 위성 다누리가 순항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달까지 가는 데 9번의 궤도 수정이 필요한 데, 그 첫 번째 기동도 무리 없이 성공했습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에 이어 국내 기술로 탄생한 다누리까지 성공에 한걸음씩 다가가면서 국내 위성 산업도 탄력을 받을 거란 기대가 나옵니다. 신현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잔디밭을 빼곡히 채

울트라맨8|22.08.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84
22.08.09
자유주제

"40년간 충전 필요없다".. 에너지 동위원소전지 세계 3번째 성공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 40년간 충전할 필요 없이 에너지를 공급하는 동위원소전지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우주환경 실험에 성공했다. 달이나 심우주 탐사 과정에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원으로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우주용 동위원소전지를 자체 개발하고 지난 6월 21일 발사한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에서 실증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미국

울트라맨8|22.08.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6
22.08.09
자유주제

LG유플도 OTT사업 뛰어든다..유아동용 '아이들나라' 분사

LG유플러스가 어린이 콘텐츠 사업 조직인 'U+아이들나라'를 분사시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사업에 진출한다. 통신을 넘어 미디어·콘텐츠 시장에서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겠다는 것으로, 분사가 이뤄지면 LG그룹 내 최초의 OTT 플랫폼 회사가 출현하게 된다. 8일 매일경제 취재 결과를 종합하면 LG유플러스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OTT 사업 진출 방안을 확

울트라맨8|22.08.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0
22.08.09
자유주제

킥보드→전기자전거, 마이크로 모빌리티 판이 바뀐다

마이크로 모빌리티(micro mobility·개인용 단거리 교통수단) 시장의 판이 바뀌고 있다. 도로교통법 개정과 경찰·지자체의 단속으로 전동킥보드 열풍이 식는 사이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가 틈새시장으로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공유 전기자전거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자 킥보드 업체들도 전기자전거 시장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공

울트라맨8|22.08.0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4
22.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