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조선 '빅3' 1~7월 305억 달러 수주..연간 목표 87% 달성

울트라맨8

Lv 116

22.08.10

view_cnt

860

국내 대형 조선 3사가 지난 1~7월 총 305억 달러의 수주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연간 수주 목표액 중 87%를 차지하는 규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 조선 3사의 올해 1~7월 누계 기준 선박 수주액이 총 305억20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98억5000만 달러)보다 2.2% 늘어난 것이다. 특히 올해 목표 수주액인 351억4000만 달러의 86.9%를 차지했다. 한국조선해양의 올해 1~7월 수주액은 177억9000만 달러로 연간 목표치(174억4000만 달러)를 이미 초과 달성했다. 대우조선해양 수주액은 64억3000만 달러로 72.3%를 기록했고 삼성중공업은 63억 달러로 71.6%였다. 중형 조선사의 경우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중소형 컨테이너선 및 탱커 등 총 24억6500만 달러어치(31척)를 수주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8억5000만 달러)보다 33% 증가한 액수다. 지난달 말 현재 국내 조선사의 수주잔량은 3586만CGT(표준선 환산톤수)로 1년 전보다 25.8% 늘었다. 이 증가율은 전 세계 수주잔량 증가율(9.2%)보다 3배 가까이 높은 것이다. 같은 기간 중국과 일본은 각각 12.2%와 12.7% 줄었다. 지난달 국내 조선사들은 전 세계 선박 발주량 211만CGT 중 116만CGT를 수주해 55%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중국은 63만CGT로 30%였고 일본은 6만3000CGT로 3%였다. 수주금액으로 보면 한국 점유율은 57%로 더 높았다. 산업부는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에 따른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LNG 수요 증가 등으로 올해 하반기에도 친환경 선박 및 LNG운반선 중심의 국내 수주 호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조선 '빅3' 1~7월 305억 달러 수주..연간 목표 87% 달성

조선 '빅3' 1~7월 305억 달러 수주..연간 목표 87% 달성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윤석열 정부에서도 끊이지 않는 '폴리널리스트' 논란

윤석열 정부가 또 현직 언론인을 대통령실 인사로 선임해 '폴리널리스트'(Polinalist)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은 이기정 전 YTN 기자를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으로 임명했다. 사표가 수리된 지 사흘 만의 직행이다. 이번 정부 들어 대통령실로 직행한 언론인은 다섯 명이다. 강인선 전 조선일보 부국장은 지난 3월21일 윤석열 대

울트라맨8|22.08.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2
22.08.10
자유주제

美中 극한 대치..中매출 큰 전자업계 "이제부턴 외교력"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미국과 중국 간 경제안보를 둘러싼 외교전쟁이 심화하고 있다. 극도로 고조된 긴장관계는 다소 완화했지만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반도체 산업육성법’ 서명과 미국 주도의 반도체 연합 ‘칩(Chip)4’ 참여 논의가 이어지며 기업들은 여전히 중국의 보복조치에 대한 불안감을 감출 수는 없다. 특히 해외매출 중 중국 비중

울트라맨8|22.08.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3
22.08.10
자유주제

개미들 안전자산 대이동.. 채권에 3조 넘게 몰렸다

지난 7월 개인투자자의 채권매수 규모가 직전 달에 비해 2배 이상으로 불어났다. 올해 상반기 채권매수액은 지난해 연간 매수액보다 6000억 원이나 더 많았다. 최근 금리 상승 기조와 안전자산 선호가 맞물려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이 주식시장에서 채권시장으로 몰리는 ‘역(逆)머니무브’ 현상이 심화한 결과다. 10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2022년 7월 채권시장

울트라맨8|22.08.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8
22.08.10
자유주제

"국가가 국민 살리기 위해 뭐 했나"..서해 유족, 유엔에 진정서

2020년 9월 서해에서 북한군에 피살된 공무원 이대준씨의 유족이 10일 유엔에 공식 서한을 보냈다. 유족 측은 진정서 형식의 서한에서 “아무리 호소해도 동생 이대준이 살아 돌아오지 못한다는 사실은 누구보다도 유족들이 잘 알고 있다”면서 “아직까지 유족은 국가가 국민을 살리기 위해 무엇을 했는지, 국민이 생명의 위협을 느끼는 순간 국가는 무엇을 했는지 알

울트라맨8|22.08.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9
22.08.10
자유주제

'이건희 컬렉션' 이중섭 명작들 한자리에..'닭과 병아리' 등 두점 첫 공개

살아있을 때는 가난과 영양실조에 시달리며 ‘환쟁이’ 취급을 받았다. 죽고 나서야 뒤늦게 사람들의 큰 사랑을 받게 된다. 40살 나이에 가족들을 일본에 떠나보낸 채 무연고자로 숨진 대향 이중섭(1916~1956)의 운명이다. 오늘날 국민화가 반열에 오른 그의 작품들에 대한 삼성가의 애착은 각별했다. 삼성그룹 총수 이건희(1942~2020)는 이중섭에 관한

울트라맨8|22.08.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1
22.08.10
자유주제

독일·영국·유럽 의회 대만 방문 줄 잇는다

외신에 따르면 독일 연방하원 인권위원회 대표단이 10월 말, 영국의 하원 외교위원회 의원들이 11월 또는 12월 초, 유럽의회 통상위원회 대표단이 12월에 대만을 찾는다. 독일 대표단은 집권 사회민주당(SPD)과 녹색당, 자유민주당(FDP),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 연합 등 6개 원내 정당 소속 의원 8명으로 짜인다. 이들은 중국의 반발

울트라맨8|22.08.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4
22.08.10
자유주제

서울 이틀 연속 2만명대 확진..사망자 10명 '13주만에 최다'

서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하루 사이 2만6068명 발생했다. 서울시는 10일 0시 기준 서울 지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2만6068명 늘어난 417만5643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2만6068명은 전날 2만9489명보다 3421명 적지만 일주일 전인 지난 2일 2만3023명보다는 3045명 많은 숫자다.

울트라맨8|22.08.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7
22.08.10
자유주제

악화하는 위중증·사망 지표..모니터링 사라진 고위험군 '빨간불'

의료기관의 정기 모니터링을 받는 재택치료자 집중관리군을 없앤 후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가 다소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 우려를 사고 있다. 본인의 상태에 대한 판단이 잘 안서서, 또는 비용 부담에 괜찮겠지 하는 생각에 대면진료를 받지 않는 취약계층의 고위험자들이 위중증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10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보다 1.27배

울트라맨8|22.08.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0
22.08.10
자유주제

크림반도 러시아 비행장서 원인 불명 대규모 폭발

러시아가 2014년 강제 병합한 크림반도의 러시아 공군 비행장에서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고, 전투가 한동안 소강 상태를 보이던 우크라이나 동부에서는 러시아군의 공격이 다시 강화되고 있다. 중부 자포리자 원전 주변 전투도 계속 격화하면서 원전 안전이 날로 위태로워지고 있다. 흑해 연안 크림반도의 러시아 공군 비행장에서 9일(현지시각) 큰 폭발이 발생해 1명이

울트라맨8|22.08.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2
22.08.10
자유주제

반도체 수요 둔화 전망..마이크론도 2분기 실적 전망 낮춰

미국 반도체 기업들이 수요 부진이 예상됨에 따라 2분기 실적 전망을 잇따라 낮추고 있다. 반도체업계는 PC와 스마트폰에서 시작된 수요 둔화가 데이터센터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시장에 경고를 보내고 있다.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2분기 매출이 예상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울트라맨8|22.08.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1
22.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