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광주 공공청사 이전·개발 헛바퀴 돌아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87

광주지역 공공청사 이전·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동부경찰서와 옛 광주보훈병원·보훈청의 청사·부지에 대한 합리적 해법을 10년 넘게 찾지 못하고 있다. 10일 광주경찰청에 따르면 낡은 건물과 좁은 주차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부터 논의하기 시작한 동부경찰서 이전작업이 14년째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애초 지원중학교 폐교 부지로 옮기려다 광주시교육청의 반대로 수포로 돌아간 이후 2017년부터 추진해온 용산동 이전은 토지매입부터 급제동이 걸렸다. 광주경찰청은 용산동 산11번지 일원 12개 필지에 389억원을 들여 총면적 1만5151㎡, 지하 1층 지상 5층의 동부경찰서 신청사 건립을 서두르고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0월 도시계획시설 결정 승인 등 관련 행정절차를 모두 마쳤다. 우여곡절 끝에 기획재정부에서 관련 예산도 편성했다. 하지만 건립부지 보상가를 둘러싼 갈등이 법정소송으로 이어져 대부분 땅을 사들이지 못하고 있다. 1982년 동구 예술길에 들어선 4300㎡ 면적의 현 동부경찰서는 외벽에 금이 가고 천장에서 물이 새는 등 노후화가 심각하다. 더구나 112 순찰차와 공무 차량으로 북적이는 주차장 면적도 턱없이 부족한 48면에 불과해 이곳을 찾는 민원인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광주경찰청은 토지매입과 소송 절차를 끝내고 내년 중 실시설계를 거쳐 늦어도 2024년 착공, 2026년 신축공사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이지만 성사여부는 불투명하다. 옛 광주보훈병원·보훈청 부지 개발사업도 사정은 비슷하다. 광주 남구는 2013년 백운광장과 인접한 옛 화니백화점 건물로 옮겨가면서 봉선동 청사·부지 매각 대금 287억5000만원 중 129억9000만원을 들여 옛 보훈병원·보훈청 부지를 2단계에 걸쳐 매입했다. 공영주차장 대체 토지를 마련한다는 명분이었다. 옛 광주보훈청은 2009년 5월 오룡동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로 이전했다. 이후 남구가 옛 보훈병원과 보훈청 건물을 허물고 청년 주택과 문화복합시설 등을 동시에 건립하는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에 착수했다. 하지만 사업주체인 남구와 LH가 해당 부지 활용과 공공청사 건립·관리 방식을 놓고 현격한 견해 차이를 좁히지 못해 수년째 헛바퀴만 돌고 있다. 남구는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의 청년 주택 500호를 포함해 청년창업지원센터를 건립하는 등 공공성 위주의 개발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에 비해 LH는 막대한 사업비가 투입될 청년 주택과 복합문화시설 수익성을 담보할 수 없고 관리·운영비 부담도 떠안을 수 없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심 속 노른자위 땅인 보훈병원·보훈청 2만7000여㎡ 부지는 현재 남구 직원 주차장과 창고 등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 복합개발 사업은 10년째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청년들의 주택난을 덜기 위해 2022년 완공 예정이던 청년주택 500호 건립도 물 건너간 상황이다. 투자 유치를 끌어내기 위한 해당 부지의 용도변경도 장기간 불가능해 보훈병원 일대 개발사업은 무산 위기에 처해 있다. 남구 관계자는 “재정여건을 볼 때 자체 예산을 투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연계하고 주민 의견을 다각도로 수렴해 효율성 높은 개발계획을 확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 공공청사 이전·개발 헛바퀴 돌아광주 공공청사 이전·개발 헛바퀴 돌아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