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늙은피를 주입했더니 진짜로 늙어버렸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826

노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들 사이에서 2010년대 이후 크게 주목받은 것 가운데 하나 젊은 피의 회춘 효과다. 당시 동물실험을 통해 이를 확인하는 연구들이 여럿 발표됐다. 예컨대 미국 피츠버그대와 스페인 발렌시아대 연구진은 지난해와 올해 각각 젊은 쥐의 혈액에 있는 세포 밖 소포체의 회춘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젊은 피의 혈장이나 줄기세포에서 그 원인을 찾는 연구도 있었다. 2005년 115살로 사망한 네덜란드의 한 여성 혈액에선 줄기세포가 단 2개만 남아 있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이에 따라 젊은 피의 어떤 성분이 이런 효과를 내는지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젊은 피 요법은 면역반응 같은 부작용 문제와 함께 회춘을 위한 수혈이 과연 온당하느냐는 윤리적 논란의 대상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거꾸로 늙은피를 주입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고려대 의대와 미국 버클리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공동연구진이 젊은 쥐에 늙은 쥐의 피를 수혈하는 실험을 한 결과 젊은 쥐의 노화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7월2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대사’ 온라인에 발표했다. 젊은 피를 주입했을 때와 정반대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이는 세포 노화가 단순히 오랫 동안 쓰면서 닳아 해지는 마모 현상이 아님을 시사한다. 그동안 젊은 쥐와 늙은 쥐 사이의 상호 수혈 실험에서 늙은피를 수혈받은 젊은 쥐의 건강이 악화한다는 건 이미 확인된 사실이다. 그러나 연구의 초점은 주로 늙은 쥐의 회춘 효과에 맞춰져 있었고, 젊은 쥐에게서 일어나는 효과에 대해서는 상세한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이번 실험에서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살펴봤다. 논문 제1저자인 전옥희 고려대 의대 교수(의생명과학)에 따르면 이번 연구의 출발점은 “그동안 젊은 피의 회춘 효과라고 알려진 것이 사실은 젊은 피 때문이 아니라 젊은 피가 추가되면서 늙은 피의 노화 기능이 희석된 데 따른 것 아니냐는 의문”이었다.

늙은피를 주입했더니 진짜로 늙어버렸다늙은피를 주입했더니 진짜로 늙어버렸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