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반도체수출 마이너스로..8월 무역적자 76억 달러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80

8월 들어 한국경제 수출의 간판인 반도체 수출액이 감소세로 전환하면서 올해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 14년 만에 4개월(올해 4∼7월) 연속 적자를 기록한 무역수지는 이달 들어서도 적자 폭을 키우고 있다. 1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반도체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치)은 29억9100만 달러(약 3조9000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감소했다. 올해 들어 월별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지난 3월(36.9%)을 지나면서 크게 꺾인 상황이다. 5월(14.2%)과 6월(10.8%)에 둔화세가 더욱 커졌으며, 7월에는 2.5%(잠정치)까지 곤두박질친 것으로 관세청은 추산하고 있다. 관련 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인플레이션 여파 등으로 정보기술(IT) 제품을 중심으로 소비 심리가 빠르게 위축되면서 올 하반기 반도체 수요 역시 대폭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최근 소비 감소로 재고가 쌓이면서 반도체 가격은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시장조사 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7월 PC용 D램 범용 제품의 고정 거래 가격은 전월 대비 14.03% 하락했으며, 낸드플래시 메모리카드용 범용 제품의 고정 거래 가격도 3.75%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수요 둔화가 기존 시장의 예상보다 심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달 1일부터 전날까지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76억77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 추세라면 지난 2007년 12월∼2008년 4월 이후 처음으로 무역수지가 5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한 전망이다. 올해 들어 이달 10일까지 무역수지 적자는 229억3000만 달러로 나타나며 역대 1∼8월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의 여파로 급등한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탓에 수입액이 수출액을 앞질렀다. 이달 1∼10일 수출액은 156억88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23.2% 증가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8.5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7.5일)보다 하루 더 많았다. 일평균 수출액은 8.7% 상승했다. 수입액(233억6500만 달러)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4.1%나 뛰었다.

반도체수출 마이너스로..8월 무역적자 76억 달러반도체수출 마이너스로..8월 무역적자 76억 달러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