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서울시 "반지하 금지"에 시민들 갸우뚱.."그럼 월세 내려가나요"

울트라맨8

Lv 116

22.08.12

view_cnt

801

“반지하 없으면? 옥탑방 갔겠죠.” 2년 전 서울시 동대문구의 한 반지하 주택에서 거주했던 김모(27) 씨는 최근 서울시가 내놓은 ‘반지하 금지’ 대책에 이렇게 반응했다. 대학생이었던 김씨가 현실적으로 감당할 수 있던 월세는 30만원 남짓. 김씨가 살던 동네 역시 저지대라 장마철에는 창문으로 비가 들이치곤 했다. 김씨는 “옥탑이란 대안도 있었지만 냉방·난방비를 따지면 더 비싸다”면서 “하지만 반지하가 없었다면 결국 그쪽으로 가지 않았겠냐”고 반문했다. 수도권에 쏟아진 폭우에 반지하 주택을 중심으로 인명피해가 잇따르자, 지난 10일 서울시는 앞으로 서울시 모든 자치구에서 지하·반지하 주택을 만들 수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기존에 지어진 지하·반지하 주택은 10~20년의 유예기간을 주고 순차적으로 없앤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12일 헤럴드경제가 만난 서울시 반지하 거주자들과 거주 경험자들은 이런 대책에 대체로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반지하의 열악한 주거 환경이야 부정할 수 없지만, “그럼 어디로 가느냐”는 대안이 뚜렷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날 마포구 아현동에서 만난 허인아(55·여) 씨는 9년째 반지하에 살며 봉제 일을 하고 있다. 허씨의 집엔 작업 중인 옷들이 가득 널려 있었다. 허씨는 “소득수준이나 업무 성격을 고려하면 여기가 최선”이라고 했다. 재봉틀을 돌리다 보면 진동이 벽을 타고 이웃집까지 전해지기 때문에, 지하로 내려올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허씨가 당장 원하는 건 지상층보단 ‘배수로’였다. 집 앞에 제대로 된 배수로나 방지턱이 없는 탓에 비가 쏟아질 때면 물이 넘칠까 늘 불안하다. 실제로 아현동 일대 반지하 대부분은 빗물을 막을 방지턱 없이 대문이 경사로에 바로 붙어있었다.
서울시 '반지하 금지'에 시민들 갸우뚱..'그럼 월세 내려가나요'

서울시 '반지하 금지'에 시민들 갸우뚱..'그럼 월세 내려가나요'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넌 나한테 안 돼" 삼성, 폴더블폰 기술로 중국 눌렀다

삼성전자가 네 번째 폴더블폰 시리즈 '갤럭시Z 폴드4'(이하 갤Z폴드4)와 '갤럭시Z 플립4'(이하 갤Z플립4)를 공개하며 전 세계에 기술력을 과시했다. 신제품을 앞세워 폴더블폰의 진정한 대중화를 앞당기겠다는 포부다. 회사는 전작의 흥행을 이어가기 위해 과감한 변신 대신 내실을 다져 완벽함을 추구했다. 화면을 접는 데에만 급급했던 중국 브랜드와 달리 품질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3
22.08.12
자유주제

황우석 전력' 한양대병원 IRB 여전히 부실 의혹.."제도보완 시급"

한양대병원의 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가 의사 등 구성원들의 이해상충을 제대로 걸러내지 못할 정도로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한양대병원은 황우석 사태 당시 비윤리적인 난자채취 사태가 터지면서 IRB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전력이 있다. 정부 차원에서 선진국으로부터 여전히 신뢰받지 못하는 한국 IRB 제도를 대대적으로 시급히 바로잡아야 한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4
22.08.12
자유주제

적색거성 '베텔게우스'가 빛을 잃었던 이유

오리온자리의 가장 밝은 별인 적색거성 '베텔게우스'의 가장 큰 미스터리가 풀렸다. 겨울철 밤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인 ‘베텔게우스’는 2019년 10월부터 2020년 3월까지 갑자기 빛을 잃었던 적이 있다. 태양보다 수백 배나 큰 이 별이 갑자기 빛을 잃어버리자, 일각에서는 초신성 폭발이 일어나 별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냐고 예측하기도 했다. 미국 I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227
22.08.12
자유주제

'레빌' 심상치 않다..다크웹서 韓 기업데이터 탈취 '주장'

지난해 7월 카세야(Kaseya) 공급망 공격으로 전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었던 '레빌(REvil)'은 미국 정부의 압력과 국제 공조 수사로 사실상 해체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올해 5월 레빌의 다크웹 사이트가 활성화되면서 부활설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레빌은 러시아 기반 랜섬웨어 그룹으로 '소디노키비(Sodinokibi)'로도 알려졌다. 최근 이들이 국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4
22.08.12
자유주제

美CDC, 2년여 만에 '거리두기' 대폭 완화..중증관리 집중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11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방역 관련 대폭 완화된 새 지침을 발표했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접촉자 자가격리 같은 조치를 해제하고, 중증 관리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지침은 2020년 초 팬데믹 시작 국면부터 이어져온 방역 방향을 완전히 전환하는 것이라고 CNN은 평가했다. 미국 전체 인구가 백신 접종이나 이전 감염으로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3
22.08.12
자유주제

발트 3국, '反中 전선' 확장

리투아니아와 함께 '발트3국'으로 불리는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가 반(反)중국 행보에 동참하고 나섰다. 동유럽 국가들과 중국 간에 결성한 경제 협력 그룹에서 전격 탈퇴하면서다. 유럽연합(EU) 국가 중 가장 적극적으로 친(親)대만 행보를 보이고 있는 리투아니아도 중국이 ‘대만 봉쇄’ 군사 훈련 직후 차관급 인사를 대만에 파견하며 연대를 과시했다. 우크라이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1
22.08.12
자유주제

엔화, 美 금리인상 완화 기대에 1달러=133엔대 전반 상승 출발

일본 엔화 환율은 12일 미국 7월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을 하회, 인플레 우려가 완화하면서 엔 매수를 불러 1달러=132엔대 전반으로 올라 시작했다.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화 환율은 이날 오전 8시30분 시점에 1달러=133.05~133.06엔으로 지난 10일 오후 5시 대비 1.89엔 크게 상승했다. 미국 7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35
22.08.12
자유주제

시진핑, 바이든에 '펠로시 대만 방문해도 美와 전쟁 안한다' 메시지 전해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대만을 방문하기 4일 전 시진핑 중국 주석이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지금은 전면적 위기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번영을 위해 대만을 통제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제시해온 시 주석은 몇 달 동안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을 막으려는 외교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03
22.08.12
자유주제

中, 대만에 '홍콩식 일국양제' 도입 방침.."'외세' 美는 걸림돌"

중국 공산당은 통일 이후 대만에 홍콩과 같은 일국양제(1국 2체제)를 도입할 것이라는 방침을 공언했다. 이는 중국으로부터 자치권을 인정받고 있는 홍콩의 거버넌스 모델을 대만에도 적용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공산당이 홍콩에 이어 대만에서도 향후 '보안법'을 시행해 간접적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반면 중국은 대만 집권 민진당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6
22.08.12
자유주제

美, 사회적 거리두기 없앴다..무증상이면 격리도 면제

미국에서 사회적 거리두기와 밀접접촉자에 대한 엄격한 격리조치가 사라진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발발 이후 2년여 만이다. 11일(현지시간) CNN방송,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이날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새로운 코로나19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새로운 방역지침에 따르면 팬데믹 초기부터 권고해 온 6피트(1.82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9
22.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