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8월 고령확진자 치료제 투여율 18.7%..처방 기관 확대"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1,227

코로나19 고령 확진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투여율이 8월에도 6월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은 적극적인 치료제 처방을 위해 병원급 의료기관의 먹는 치료제 처방을 확대하기로 했다. 1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요양병원·시설 환자 및 입소자 등 고위험군에는 코로나19 확진 초기 먹는 치료제 투약이 중증 진행을 막는데 효과가 있다는 분석에도 불구하고 6월 18%였던 60세 이상 확진자의 평균투여율이 8월 첫째주에도 18.7%에 머무른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평소 다니던 상급종합병원 의사가 코로나19 치료제 처방 중대본은 우선 코로나19 환자가 보다 쉽게 처방·조제를 받을 수 있도록 진료과목에 관계없이 외래처방이 가능한 병원급 의료기관을 1000여 개소 이상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등에서 외래처방이 특정 과목이나 별도 창구 개설 형태로 운영하고 있는데, 이를 병원 전체 외래에서 처방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평소 환자를 진료하던 의사가 먹는 치료제를 처방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지난 지난 8일 정기석 국가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은 위원회 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많은 환자들이 종합병원과 대학병원 등을 다니고 있으면서도 코로나19에 걸리면 가까운 다른 곳에서 치료받도록 이원화돼 있기 때문에 환자를 처음 본 의사들도 당황스럽고, 또 환자는 자기가 어떤 약을 쓰는지 자세히 알려 줄 수가 없다"면서 "원스톱진료기관과 별도로 만성질환으로 관리를 받는 병원에서 코로나에 걸리면 진료를 지속할 수 있도록 권고돼야 처방률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까지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중 원스톱진료기관으로 지정된 병원에 한해 먹는 치료제 처방이 이뤄지고 있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일단 원스톱진료기관으로 지정된 상급병원 안에서 처방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추가 확대 여부, 시행 일정은 중앙방역대책본부와 협의 후 안내하겠다"고 설명했다. 당국은 치료제 처방 활성화를 위해 조제가 가능한 담당 약국을 기존 1082개소에서 이날 기준 2175개소까지 약 2배 확대했다. 처방·조제기관 확대에 맞춰 치료제 수급도 원활히 이뤄지도록 8~9월 라게브리오 14만2000명분이 국내에 우선 도입된다. 추가구매 계약을 맺은 팍스로비드 80만명분도 올 하반기에 20만명분, 내년 상반기 60만명분이 국내에 들어온다. 아울러 치료제 처방 경험이 있는 의료진이 직접 참여해 교육자료·처방 가이드라인을 제작할 예정이다. 병용금기 의약품이 23종에 달하는 등 팍스로비드의 제한 사항, 임상 정보의 부족 탓으로 의료진이 처방을 내리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른 대안이다. 기초·광역 지자체-의료계 참여하는 협의체 운영 강화 이번 중대본 회의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코로나19 대응에 의료계가 참여하는 '보건·의료 협의체' 운영을 강화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지난달 27일 대한의사협회의 제안을 바탕으로 현재 다수의 광역·기초 지자체에서 이러한 형태의 협의체가 운영 중이다.

'8월 고령확진자 치료제 투여율 18.7%..처방 기관 확대'(상보)'8월 고령확진자 치료제 투여율 18.7%..처방 기관 확대'(상보)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