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 HMM 민영화 한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44

정부가 국내 최대 컨테이너(사진)선사인 HMM의 공공지분을 단계적으로 매각해 민영화를 추진한다. 윤석열 정부가 HMM에 대한 중장기 민영화 구상을 공식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2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는 전날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HMM 민영화 추진을 공식화한 내용을 포함한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해수부는 해운시장을 민간 중심으로 전환하고 공공부문의 역할을 재정립하기로 했다. 2016년 한진해운 파산 후 이어진 정부 주도 재건에서 시장 중심 성장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를 위해 우선 지난해 7조3000억 원대 영업이익을 낸 HMM은 경영 정상화 성과를 바탕으로 경영권을 민간에 중장기적으로 이양하기 위한 여건을 조성할 방침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사전 브리핑에서 “HMM이 흑자가 계속 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와 공공기관이 HMM을 계속 가져갈 수는 없다”고 말했다. HMM은 정부 구조조정의 성공 사례로 평가받지만 해수부는 그간 민영화에 신중한 태도를 취해왔다. 조 장관은 5월 기자간담회에서만 해도 “당장 (HMM의) 민영화 등에 대해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말한 바 있다. HMM의 경영 정상화 작업이 순항하며 매각과 관련해 좀 더 진전된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은 다만 “영구채(원금을 상환하지 않고 일정 이자를 영구히 지급하는 채권)를 주식으로 전환하게 되면 76% 정도가 공공소유 지분이 되기 때문에 민간이 추후 경영권을 확보하려면 상당한 금액이 필요하다”고 말해 단계적 민영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HMM의 공공지분을 순차적으로 매각해 경영권을 민간에 이양한다는 뜻이다. 올 상반기 기준 KDB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HMM 주식을 각각 20.69%, 19.96% 보유하고 있다. 두 기관이 갖고 있는 HMM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면 두 기관 지분율은 70%를 웃돈다.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 HMM 민영화 한다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 HMM 민영화 한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