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마동석 주먹' 빨리 정주행 하세요..디즈니플러스, 구독료 38% 인상

울트라맨8

Lv 116

22.08.12

view_cnt

665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디즈니플러스가 연내 구독료 인상을 예고하면서 구독자 확장 대신 수익에 집중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1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디즈니플러스는 전날 분기 실적을 공개하면서 구독료 인상 등을 골자로 하는 새로운 전략을 발표했다. 디즈니플러스는 미국 기준 현재 8달러인 월 이용료를 오는 12월 8일부터 11달러로 인상할 예정이다. 구독자가 기존 이용 요금인 8달러만 낼 경우 영상을 시청하면서 나오는 광고를 함께 봐야 한다. 인상된 가격으로 시청하는 경우에는 광고가 재생되지 않는다. 디즈니플러스의 이번 구독료 인상은 지난해 초 월 8달러로 가격을 올린 이후 약 1년 6개월 만이다. 디즈니플러스는 지난 2019년 구독료 월 7달러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OTT시장에서 디즈니플러스를 필두로 플랫폼들이 구독료를 연이어 인상하면서 구독자 확장 대신 수익 창출에 집중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부분 플랫폼들이 최근 구독자 감소 문제를 겪고 있는 만큼 이에 연연하지 않고 대신 이용료를 인상해 수익을 늘린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디즈니플러스, 넷플릭스, 워너브로스 등 플랫폼들은 가격을 인상하거나 영상 중간에 광고를 넣는 방식 등을 도입하고 있다. OTT시장 가격 인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신규 구독자 감소 등으로 인한 국내시장 정체가 지목됐다. 올해 2분기 디즈니플러스의 신규 가입자 1440만 명 중 미국과 캐나다 가입자는 10만명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나머지 중 800만여 명은 인도가 차지했고 약 600만명은 다른 나라에서 가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술·미디어·통신 리서치 회사 라이트셰드 파트너스 소속 애널리스트 리치 그린필드는 "디즈니플러스는 국내시장에서 끝을 향해 가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에서는 디즈니플러스 등의 구독료 인상과 광고 도입 등이 더 높은 수익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 같은 인상이 구독자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러나 OTT 플랫폼들은 현재 구독자들에게 제공되는 영상 콘텐츠의 양과 질을 고려했을 때 가격 인상은 당연하다는 반응이다. 밥 샤펙 디즈니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전략 수정이 디즈니플러스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마동석 주먹' 빨리 정주행 하세요..디즈니플러스, 구독료 38% 인상

'마동석 주먹' 빨리 정주행 하세요..디즈니플러스, 구독료 38% 인상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차갑게 식어가는 포항시·시민단체-포스코 관계

포스코지주사(포스코홀딩스) 본사의 경북 포항 이전 결정으로 한동안 온기가 돌았던 포항시·시민단체와 포스코 사이가 다시 차갑게 식어가고 있다. 포스코 지주사·미래기술연구원 포항이전 범시민대책위원회(범대위)는 12일 출근시간대에 포항시내 주요거점에서 포스코 지주사 이전 합의사항 이행을 촉구하고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 퇴진을 촉구하는 1인 릴레이 시위를 벌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2
22.08.12
자유주제

월·화·수에 단 '8800원'만 썼습니다..못믿겠다고요?

20·30대가 ‘플렉스’ 대신 무지출·무소비 챌린지로 돌아섰다. 소비자물가가 치솟자 지갑을 닫고 ‘짠테크(짠돌이+재테크)’에 나서면서다. 치킨이 2만원에 달하고 커피·햄버거 가격 등이 잇따라 오르지만 요지부동인 월급에 소비를 줄여서라도 돈을 모아 미래를 준비한다는 심산이다. MZ세대 사이에서는 ‘명품 하울’ 채널 대신 월급 200만원으로 4년 동안 1억을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3
22.08.12
자유주제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 HMM 민영화 한다

정부가 국내 최대 컨테이너(사진)선사인 HMM의 공공지분을 단계적으로 매각해 민영화를 추진한다. 윤석열 정부가 HMM에 대한 중장기 민영화 구상을 공식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2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는 전날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HMM 민영화 추진을 공식화한 내용을 포함한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해수부는 해운시장을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6
22.08.12
자유주제

'러 옹호' 중국에 등돌리는 발트3국, 中 주도 협의체 탈퇴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가 중국 주도 협의체 ‘16+1’에서 탈퇴했다고 1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이로써 발트3국(에스토니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 모두 해당 협의체를 떠나게 됐다. 전일 에스토니아 외교부는 성명을 통해 “중국과 중·동유럽 협의체인 ‘16+1’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면서 “에스토니아는 인권 등에 기반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38
22.08.12
자유주제

한국항공우주(KAI)에 웃는 외국인 ..올해 수익률만 70% 넘어

외국인투자자가 올해 들어 지분율을 5%포인트(P) 넘게 높이며 과감한 투자를 한 국내 기업은 20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권 지분을 인수해 최대주주로 올라서거나 2대 주주 등 주요 주주가 된 곳은 제외하고 순수 투자 목적으로 지분을 늘린 곳들이다. 외국인들이 투자를 많이 늘린 기업 중에서는 올해 들어서만 주가가 70% 넘게 오른 곳도 있다. 외국인이 베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2
22.08.12
자유주제

전통주 범위 재편..온라인 주류 판매 전면 허용될까?

온라인 주류 판매를 허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주류업계는 정부가 최근 전통주 관련 법 개정을 예고하자 이번 기회에 아예 전통주 개념부터 재정립해 온라인 주류 판매를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류업계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주요 소비 채널이 온라인으로 옮겨가는 상황인데다 온라인 주류 판매 시스템도 이미 갖춰진 만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8
22.08.12
자유주제

'기준금리 69.5%'로 올린 이 나라.."물물 교환해요" 시민들 거리로

1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이날 기준금리를 9.5%p 인상한 69.5%로 제시했다. 7월 말 기준금리를 8%p 올린 데 이어 2주 만에 다시 대폭 인상에 나선 것이다. 중앙은행은 성명에서 "금융 불안정성이 기대 인플레이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7월 물가 상승률이 가팔라졌다"고 금리인상 배경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20
22.08.12
자유주제

국회 국토위원 3명 중 1명, 다주택자·농지 보유 등 이해충돌 우려 제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회의원 30명 중 10명이 이해충돌 소지가 있다는 시민단체의 재산 분석 결과가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2일 서울 동대문구 혜화동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동산 정책과 관련된 국토위·기획재정위·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소속 의원들의 부동산 보유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8
22.08.12
자유주제

지친 국민은 '리셋'버튼 눌러..'관리형 여당'부터 돼야

국민의힘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 만 사흘도 안 돼 휘청이고 있다. 직이 박탈된 이준석 전 대표가 당과 전멸전을 벌일 기세로 비대위 전환 의결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법원에 낸 것은 차라리 '예고된 외부 악재'에 가깝다. 오히려 비대위원장 인선, 비대위의 역할론, 조기 전당대회 개최 시기, 실패한 지도부 주역의 비대위 재합류 여부, 국회의원의 수해(水害)현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9
22.08.12
자유주제

3년 만에 관세사 81명 추가합격..산업인력공단 소송전 휩싸이나

지난 2019년에 치러졌던 36회 관세사 2차 시험의 추가합격자가 지난 5일 발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이 3년 만에 합격자를 추가 공고한 건데 이에 대한 손해배상까지 진행될 것으로 보여 파장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박연신 기자 연결합니다. 3년 만에 추가 합격자가 나왔다는 것은 굉장히 황당한 일인데 어떤 일인지 다시 짚어주시죠.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2
22.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