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실내에 들어온 에어컨 실외기'..화재 위험 높아

울트라맨8

Lv 116

22.08.15

view_cnt

854

폭염 속 에어컨 이용이 늘면서, 실외기 과열로 인한 화재가 잇따르고 있는데요. 공동주택에서는 에어컨 실외기를 실내에 설치해야 하는데, 규정이 허술해 오히려 화재 위험이 높아졌습니다. 【 기자 】 집 안에 까맣게 탄 에어컨 실외기와 생활용품들이 나뒹굽니다. 실내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가 과열되면서 화재가 발생한 겁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이렇게 최근 5년간 발생한 에어컨 관련 화재는 1,100여 건. 불은 대부분 실내에 있던 에어컨 실외기에서 시작됐습니다. 에어컨 실외기가 실내에 설치돼 있는 오피스텔을 들여다봤습니다. ▶ 스탠딩 : 구영슬 - "에어컨을 켜서 실내에 있는 실외기를 작동시켜 봤습니다. 30분이 지난 뒤 실외기 온도를 측정해봤는데요. 이렇게 무려 50도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풍이 잘 되는 실외에 비해 온도가 쉽게 올라 화재위험이 높은 겁니다. 현행법에 따르면, 지난 2006년부터 공동주택에서는 미관상 문제와 낙하 위험 등을 줄이기 위해 에어컨 실외기를 실내에 설치해야 합니다. 문제는, 이로 인해 실외기 과열로 인한 화재위험이 높다는 겁니다. 국토부에서 실외기 설치 공간에 대한 세부기준을 내놓았지만, 정작 열기가 빠져나갈 환기나 통풍창의 크기 등에 관한 규정은 없습니다. 게다가 에어컨 실외기는 소방 설비가 아니기 때문에 소방법에도 실외기 설치나 관리에 대한 기준이 없습니다. ▶ 인터뷰 : 이재규 / 광주 서부소방서 - "(실외기실 같은 경우) 장소가 비교적 협소하며, 세탁기, 빨랫감, 일상용품 등이 적재돼 있는 경우가 많아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쉽게 축적되고 먼지가 쌓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화재가 삽시간에 확대될 수 있습니다." 미관상 이유로 건물 안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가 안전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실내에 들어온 에어컨 실외기'..화재 위험 높아

'실내에 들어온 에어컨 실외기'..화재 위험 높아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1km당 공사비 388억원..중국·네팔, 히말라야 관통철도 확정

중국과 네팔이 히말라야 산맥을 관통하는 국제철도 건설에 동의했다. 왕이(王毅)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지난 10일 칭다오에서 카드가 올리 네팔 외교장관과 회담을 갖고 “중국은 장차 네팔에 주는 원조를 사용한 중국·네팔 국제 철도 타당성 연구를 지지하고, 올해 안에 전문가를 파견해 측량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왕이 부장은 11일엔 “양국은 수준 높은

울트라맨8|22.08.1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7
22.08.15
자유주제

'노팅엄 이적설' 황의조 佛에 남을까, 브레스투아 이적료 66억 두 번째 제안

프랑스 리그 1 스타드 브레스투아가 황의조(30·보르도) 영입을 위해 두 번째 제안을 했다. 지난 14일(이하 한국시각) 프랑스 스포츠 전문지 'le10sport'는 일간지 '르 텔레그램(Le Telegramme)'의 기사를 인용해 '브레스투아가 황의조 영입을 위해 보르도에 이적료 300만유로(약 40억원)를 제안했다. 이후 브레스투아는 500만유로(약

울트라맨8|22.08.1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8
22.08.15
자유주제

50년간 차곡차곡 식량 챙긴 日..추락하는 자급률 쳐다만 본 韓

지난해 한국 곡물 자급률은 역대 최저인 20%까지 떨어졌다. 1970년(80%) 대비 4분의 1 수준이다. 특히 쌀을 제외한 밀·옥수수는 자급률이 1%가 채 안 된다. 이상기후가 일상화되면 한국의 식량안보가 더 위기에 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1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 따르면 한국은 연간 곡물 수요량 2104만t 중 76.6%인 16

울트라맨8|22.08.1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70
22.08.15
자유주제

"6990원 치킨 응원합니다" 고물가에 소비자가 변했다

지난 13일 오전 11시, 서울 송파구 홈플러스 잠실점의 한 코너에 방문객들이 길게 줄을 섰다. 목을 빼고 기다리는 건 ‘당당치킨’. 한 마리 6990원짜리 후라이드 치킨으로 프랜차이즈 치킨 가격의 3분의 1 수준이다. 줄을 서 있던 김모(42)씨는 “벌써 세 번째 재구매다. 물가가 너무 비싼데 집에서 튀기는 값보다 싸게 살 수 있고 맛도 괜찮아서 또 사러

울트라맨8|22.08.1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1
22.08.15
자유주제

이상기후 덮쳐..내년 2차 식량위기

사상 최악의 집중호우가 최근 한반도를 강타하면서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위기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올여름 유럽 지역의 가뭄과 무더위를 비롯한 이상기후 영향으로 내년 전 세계 밀 생산량은 크게 줄어들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최근 정점을 찍고 하락한 밀 가격이 조만간 다시 치솟을 수 있다는 의미다. 밀(2020년 기준 1인당 31.2㎏)은 쌀(

울트라맨8|22.08.1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5
22.08.15
자유주제

"4억 주담대, 月 155만원 냈는데.." 밤잠 못 이루는 영끌족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6%대 재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오르고 있어서다.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아 집을 산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받은 사람)의 이자 상환 부담이 더 커질 전망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 12일

울트라맨8|22.08.1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72
22.08.15
자유주제

'원전강국' 본궤도..감세는 巨野 반대 넘어야

윤석열 정부는 출범 후 원전 강국 재건, 법인세·소득세·종합부동산세 등 감세, 재정건전화 등 주요 경제 분야 국정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 다만 세제 개편 등 법 개정을 수반하는 일부 과제는 국회 논의 과정에서 야당의 반발을 넘어서는 것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14일 본지가 단독 입수한 한국수력원자력의 ‘2022년 상반기 원자력 발전실적 분석과

울트라맨8|22.08.1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6
22.08.15
자유주제

역대 최장기간 공석인 복지부 장관..연금개혁은 첫발도 못 떼

윤석열 정부가 주요 추진 과제로 내건 연금·노동·교육·공공기관 등 4대 부문 구조개혁이 곳곳에서 암초를 만나고 있다. 대통령이 직접 강조하고 나선 연금·노동·교육개혁은 소관 부처의 인사 공백이나 추진 과정에서의 반발 등으로 진도를 나가지 못하고 있다. 공공기관 개혁이 그나마 속도를 내고 있지만 노동이사제 도입 등이 변수가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연금개

울트라맨8|22.08.1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24
22.08.15
자유주제

"호텔 할인율이 70%".. 20년째 반복된 '먹튀 참사' 공식

온라인 호텔 예약 대행업체 ‘에바종’이 약속된 숙박권을 지급하지 않는 등 ‘먹튀’ 조짐을 보이자 소비자 주의보가 내려졌다. 지난해 머지포인트 사태와 지난 5월 암호화폐 테라·루나 사태에 이어 또 다른 ‘먹튀 참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지나치게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팔거나 실현 불가능한 수익률을 약속하는 업체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지적이

울트라맨8|22.08.1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38
22.08.15
자유주제

금감원 "돈 내준 은행 잘못" vs 은행 "현행법 따라 송금"

은행들의 내부통제 문제인가, 아니면 국가가 만든 '내부통제 시스템'의 문제인가. 최근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거액의 외환송금이 이뤄지면서 금융사들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불법 환치기' 정황이 있는데도 제대로 살피지 않고 돈을 내줬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검찰 등 사법기관에서는 가상자산 형태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외환을 송금한 행위를 불법 환치

울트라맨8|22.08.1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1
22.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