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美 만화 '피너츠' 그린 찰스 슐츠,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 북돋다

울트라맨8

Lv 116

22.08.16

view_cnt

677

미국에서 흔히 ‘레드 스테이트(red state)’라고 불리는 공화당 우세주에서는 조 바이든이 이끄는 연방 행정부와 끊임없는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주 정부와 연방 정부 사이의 갈등은 트럼프 행정부 때도 다르지 않았다. 물론 그때는 ‘블루 스테이트(blue state)’라 불리는 진보 성향의 (혹은 민주당을 지지하는) 주들이 연방 정부의 결정에 반대하는 일이 많았지만, 기본적으로 남부를 중심으로 한 레드 스테이트에서는 연방 정부의 힘을 최소화하고 주의 자치권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하다. 최근에는 공화당 소속의 주지사가 이끄는 플로리다주에서 미국 농무부(우리로 치면 농림축산식품부)의 정책에 반대해서 각급 학교들에 “농무부가 내려보낸 가이드라인을 무시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우리식으로 말하면 지자체와 정부가 노골적으로 대립하는 모양새인데, 도대체 연방 정부가 무슨 가이드라인을 강요했기에 이런 일이 생겼을까? 문제의 핵심은 ‘타이틀 나인(IX)’이라 불리는 연방법이다. 1972년에 제정된 이 법은 미국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는 학교들은 교내에서 성차별을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 법을 성소수자(LGBTQ) 학생들이 학교에서 동등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해석했고, 급식 등으로 농무부의 지원을 받는 학교들에 가이드라인을 내린 것. 하지만 플로리다를 비롯한 20개의 레드 스테이트에서는 이 가이드라인이 법적 근거가 없다며 법원에 제소한 것이다. 이 싸움은 현재 진행 중이지만 흥미로운 게 있다. 문제의 핵심이 되는 ‘타이틀 나인’은 원래 여학생들이 학교에서 체육활동을 할 때 남학생들과 다른 대우를 받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법이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아니, 정확하게는 이 법이 만들어진 1970년대에도) 여학생들의 교내 운동은 권장되지 않았다. 체육시간에 하는 활동이야 별 차이가 없었지만 미식축구와 야구, 하키 등의 스포츠가 활성화된 미국에서 이런 종목들은 남학생들의 전유물처럼 여겨졌고, 여학생들은 기껏해야 치어리더 정도의 활동에 그치는 경우가 흔했다. 그 결과 여학생들의 교내 운동경기 참여율은 아주 저조했고, 이는 각종 체육활동에 관한 관심에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에서는 1960년대 흑인 인권운동에 이어 1970년대에는 여성운동이 크게 일어나고 있었고, 이 문제가 지적되면서 연방 정부가 타이틀 나인을 통과시켜 각급 학교에서 운영하는 스포츠 팀에서 여학생들에게 동등한 권리를 보장하게 한 것이다. 법조문 자체는 짧지만 그 효력은 컸다. 가령 어떤 학교가 남학생들만 참여하는 미식축구팀에만 학교의 체육예산을 쓰고 있으면 여학생들이 할 수 있는 스포츠에도 동일한 예산을 쓰도록 했고, 주말 저녁처럼 온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볼 수 있는 황금시간대를 남학생들만 참여하는 스포츠팀의 경기가 독차지할 경우 이를 시정해야 했다. 하지만 많은 진보적인 법들이 그렇듯, 이 법도 보수적인 대중의 관심을 끌지 못했고 지역에 따라서는 이에 저항하는 일도 흔했다고 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요즘 공화당 우세주에서 이 법을 성소수자 학생들의 권리 확보에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충분히 상상 가능한 일이다.) 그런데 뜻하지 않는 곳에서 이 법을 지지하는 사람이 나타났다. 우리에게는 ‘스누피’로 더 잘 알려진 만화 피너츠(Peanuts)를 그린 찰스 슐츠(Charles Schulz)였다. 이를 자세하게 소개한 미국 공영라디오(NPR)의 기사에 따르면, 슐츠는 여학생과 여성들의 스포츠를 열정적으로 지지했다고 한다. 그는 왜 그런 관심을 갖게 되었을까? 슐츠의 아내에 따르면, 테니스 선수로 당시 최고의 여성 스포츠 스타였던 빌리 진 킹을 만나면서부터였던 것 같다고 한다. 당시 킹은 여성 스포츠 재단(Women’s Sports Foundation)을 세우고 여학생들의 스포츠 참여를 북돋우려고 노력했지만 이렇다 할 반응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었다.
[박상현의 일상 속 문화사] 美 만화 '피너츠' 그린 찰스 슐츠,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 북돋다

[박상현의 일상 속 문화사] 美 만화 '피너츠' 그린 찰스 슐츠,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 북돋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재임 중 기업가치 가장 높인 CEO는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국내 500대 기업에서 취임 이후 현재까지 시가총액을 가장 많이 끌어올린 대표이사(CEO)는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국내 500대 기업 상장 기업 CEO 398명을 대상으로 대표이사 취임일부터 지난 12일까지 해당 기업 재임기간 동안 시가총액의 변화를 분석, 16일 그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 결과 시가총액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1
22.08.16
자유주제

억만장자 조지 소로스,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 팔고 테슬라·포드 담았다

13일(현지 시각)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소로스 펀드는 지난 6월말 기준 테슬라 2만9883주, 포드 2950만주를 신규 매입했다고 공시했다. 소로스 펀드가 테슬라에 투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소로스는 그동안 리비안, 루시드 등 전기차 관련 스타트업에만 투자를 해왔다. 반면 소로스 펀드는 기존에 보유 중이던 리비안 주식은 일부 처분했다.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05
22.08.16
자유주제

"이젠 3번 검사하세요" FDA 권고 확대..SD바이오센서 등 수혜 볼까

1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에 코로나19 진단키트를 공급하는 곳은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씨젠(096530) 휴마시스(205470) 셀트리온(068270) 등이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앞으로 진단키트 매출은 지역별로 편차를 보일 것으로 봤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에서는 견조한 실적이 유지되지만, 개발도상국 등은 점차 실적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18
22.08.16
자유주제

상반기 전기차 시장점유율 8.4%… 중국산 전기 상용차 '급증'

중국산 전기 상용차(버스·화물차)가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2022년 상반기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자동차 내수 판매는 대수기준으로는 2014년 이후 가장 낮았으나 금액기준으로는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자동차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0
22.08.16
자유주제

美·中, 자국산 전기차만 보조금 지급…韓은 중국산만 배불려

15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유럽 국가들은 전기차 보조금 지급을 축소하거나 폐지하고 있다. 영국은 최근 2011년부터 시행해온 전기차 보조금 지급을 종료했다. 5000만 원 이하 전기차를 구매할 때 최대 240만 원을 주던 보조금을 없앴다. ‘전기차 천국’인 노르웨이도 지난달 전기차에 주는 혜택을 대폭 줄이기로 했다. 독일도 2023년부터 보조금 지원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9
22.08.16
자유주제

7월 자동차 수출 50억 달러 넘어서, 친환경차 확대에 역대 최대

올해 7월 자동차 수출이 처음으로 50억 달러를 넘어서며 월별 기준 역대 최고기록을 갈아치웠다. 친환경 자동차 수출이 5만 대를 넘어서면서 최고기록을 세우는데 힘을 보탰다. ▲ 올해 7월 자동차 수출이 처음으로 50억 달러를 넘어서며 월별 기준 역대 최고기록을 갈아치웠다. 사진은 항구에서 수출선박에 오를 준비를 하고 있는 완성차 모습. <연합뉴스>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37
22.08.16
자유주제

머스크 "테슬라 누적 300만대 생산…상하이서만 100만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테슬라의 전기차 누적 생산량이 300만 대를 넘어섰다.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만 100만 대를 생산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여전히 생산 확대가 부진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머스크는 14일(현지시간) 트위터로 “테슬라의 전기차 생산량이 300만 대를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2019년 가동을 시작한 상하이 공장에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2
22.08.16
자유주제

CATL 6배' 2.4만개 특허의 산실…LG엔솔 '꿈의 배터리' 수년내 상용화

5일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LG에너지솔루션 기술연구원. 정문에 들어서자 공원을 연상하게 하는 푸른 나무와 연못을 마주 보고 일렬로 들어선 건물들이 한눈에 들어왔다. 본관과 연결된 연구동 내부는 원통형·파우치형 등 전기차 배터리의 종류와 주요 고객사별로 분류된 연구실로 구성됐다. 성인의 키를 훌쩍 넘는 대형 설비들로 가득 찬 각 연구실 안에서는 청바지와 반팔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2
22.08.16
자유주제

전기차 30만 시대’ … 국산 전기차 ‘눈길

전기차 30만 시대’ … 국산 전기차 ‘눈길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39
22.08.16
자유주제

폭우 내린 중부의 편의점에서 불티난 생필품은..슬리퍼·양초·속옷·양말

중부 지역에 집중호우가 쏟아진 8일 이후 편의점에선 예상 밖의 물건들이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도로가 유실되고 정전 피해까지 잇따른 상황에 슬리퍼, 양초, 양말과 속옷 등 비상시 써야 할 생활필수품 매출이 껑충 뛴 것이다. 15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편의점 점주는 "지난주 집중호우로 슬리퍼, 수건, 양초 등이 다 팔렸다"며 "평소 고객이 많이 찾지 않는 비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6
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