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푸틴, 서방 보란듯.."동맹에 첨단 무기 공급 준비 돼 있다"

울트라맨8

Lv 116

22.08.16

view_cnt

663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최근 몇 년간 수출이 부진했던 러시아산 무기를 전 세계 동맹국에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며 직접 홍보에 나섰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성능이 떨어지는 구식 소련제 무기를 사용한다는 사실이 국제사회에 노출되면서 러시아군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자 푸틴 대통령이 ‘구제’에 나선 것이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전시회 ‘육군-2022’ 포럼 개막 축사에서 이같이 밝히며 동맹국에 러시아산 첨단 무기를 판매하고 군사 기술 개발 협력을 함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군사 전문가들은 러시아산 무기를 신뢰성과 품질, 고효율성 측면에서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소형 무기부터 장갑차, 포병, 전투기, 드론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무기를 공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거의 모든 현대식 무기가 실제 전투 작전에서 한 번 이상 사용됐다고 주장했다. 특히 푸틴 대통령은 고정밀 타격 무기와 로봇이 현대식 무기에 포함돼 있다며 “전술적·기술적 측면에서 외국산 무기보다 훨씬 우수하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이 이날 언급한 동맹국은 중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였으며, 그는 “역사적으로 강력하고, 우호적이고 진정으로 신뢰하는 동맹국과 관계를 소중히 여기고 있다”며 이러한 이유로 러시아산 무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소위 말하는 헤게모니(패권)에 굴복하지 않는 국가들”이라며 치켜세웠다. 러시아의 연간 무기 수출액 규모는 약 150억달러로,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큰 시장이다.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인도, 중국, 이집트, 알제리 등 4개국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러시아 무기 수출액의 73%를 담당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러시아의 무기 수출 규모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금액이 아닌 무기 성능과 중고품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SIPRI의 TIV(Trend Indicator Value) 지수에 따르면, 2019년 러시아의 무기 수출 규모는 52억3000만 TIV, 2020년에는 32억 TIV로 급감했다. 서방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내 작은 규모의 적에 맞서 싸우고 있는 것이 푸틴 대통령의 홍보 효과를 약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퇴역 미 장군인 벤 호지스는 미 국방부 관리들의 평가를 인용해 러시아의 일부 정밀 유도 미사일이 60%의 높은 실패율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현지매체 모스크바타임스에 따르면 세르게이 체메조프 러시아 국영 방산업체 ‘로스텍’ 회장은 우크라이나에서의 군사 활동이 러시아 무기 수출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올해 로스텍은 1조루블(약 21조3600억원)이 넘는 규모의 무기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며 “이는 지난 10년간 일부 연간 수치를 초과한 금액”이라고 밝혔다.
푸틴, 서방 보란듯..'동맹에 첨단 무기 공급 준비 돼 있다'

푸틴, 서방 보란듯..'동맹에 첨단 무기 공급 준비 돼 있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머스크 CEO "상하이 기가팩토리3, 첫 100만대 돌파"

테슬라의 중국 상하이 공장 ‘기가팩토리3’이 100만대 생산을 돌파했다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밝혔다. 14일(이하 현지시간)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이날 올린 트윗에서 “기가팩토리3에서 100만번째 전기차를 출고한 것을 자축한다”며 “테슬라 전체적으로는 이제 300만대 돌파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캘리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8
22.08.16
자유주제

케냐 대선 루토 부통령 勝..야당 지도자 패배에 '대혼란'

일주일 전 치러진 케냐 대통령 선거 결과 윌리엄 루토(55) 현 부통령이 승리했다고 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했다. 그러나 선거관리 위원 7명 중 4명은 결과에 반발, 결과 조작 의혹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10년 만의 정권교체를 염원해온 시민들도 거리로 나와 분노를 표출, 전역이 혼란에 빠진 것으로 전해진다. ◇50.49% 득표…오딩가 48.95% 그쳐 AF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8
22.08.16
자유주제

전기차 뜨자 배터리 소재도 훨훨…결국 실적 버팀목은 미래 먹거리

국내 주요 화학기업이 올해 2분기에 대체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든 가운데 전지 소재 등 미래 사업에 선제적으로 뛰어든 업체들은 비교적 양호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하반기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주요 기업은 기존 주력 사업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해 사업 구조 재편에 나서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9
22.08.16
자유주제

美 만화 '피너츠' 그린 찰스 슐츠,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 북돋다

미국에서 흔히 ‘레드 스테이트(red state)’라고 불리는 공화당 우세주에서는 조 바이든이 이끄는 연방 행정부와 끊임없는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주 정부와 연방 정부 사이의 갈등은 트럼프 행정부 때도 다르지 않았다. 물론 그때는 ‘블루 스테이트(blue state)’라 불리는 진보 성향의 (혹은 민주당을 지지하는) 주들이 연방 정부의 결정에 반대하는 일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6
22.08.16
자유주제

재임 중 기업가치 가장 높인 CEO는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국내 500대 기업에서 취임 이후 현재까지 시가총액을 가장 많이 끌어올린 대표이사(CEO)는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국내 500대 기업 상장 기업 CEO 398명을 대상으로 대표이사 취임일부터 지난 12일까지 해당 기업 재임기간 동안 시가총액의 변화를 분석, 16일 그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 결과 시가총액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1
22.08.16
자유주제

억만장자 조지 소로스,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 팔고 테슬라·포드 담았다

13일(현지 시각)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소로스 펀드는 지난 6월말 기준 테슬라 2만9883주, 포드 2950만주를 신규 매입했다고 공시했다. 소로스 펀드가 테슬라에 투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소로스는 그동안 리비안, 루시드 등 전기차 관련 스타트업에만 투자를 해왔다. 반면 소로스 펀드는 기존에 보유 중이던 리비안 주식은 일부 처분했다.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05
22.08.16
자유주제

"이젠 3번 검사하세요" FDA 권고 확대..SD바이오센서 등 수혜 볼까

1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에 코로나19 진단키트를 공급하는 곳은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씨젠(096530) 휴마시스(205470) 셀트리온(068270) 등이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앞으로 진단키트 매출은 지역별로 편차를 보일 것으로 봤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에서는 견조한 실적이 유지되지만, 개발도상국 등은 점차 실적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18
22.08.16
자유주제

상반기 전기차 시장점유율 8.4%… 중국산 전기 상용차 '급증'

중국산 전기 상용차(버스·화물차)가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2022년 상반기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자동차 내수 판매는 대수기준으로는 2014년 이후 가장 낮았으나 금액기준으로는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자동차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0
22.08.16
자유주제

美·中, 자국산 전기차만 보조금 지급…韓은 중국산만 배불려

15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유럽 국가들은 전기차 보조금 지급을 축소하거나 폐지하고 있다. 영국은 최근 2011년부터 시행해온 전기차 보조금 지급을 종료했다. 5000만 원 이하 전기차를 구매할 때 최대 240만 원을 주던 보조금을 없앴다. ‘전기차 천국’인 노르웨이도 지난달 전기차에 주는 혜택을 대폭 줄이기로 했다. 독일도 2023년부터 보조금 지원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9
22.08.16
자유주제

7월 자동차 수출 50억 달러 넘어서, 친환경차 확대에 역대 최대

올해 7월 자동차 수출이 처음으로 50억 달러를 넘어서며 월별 기준 역대 최고기록을 갈아치웠다. 친환경 자동차 수출이 5만 대를 넘어서면서 최고기록을 세우는데 힘을 보탰다. ▲ 올해 7월 자동차 수출이 처음으로 50억 달러를 넘어서며 월별 기준 역대 최고기록을 갈아치웠다. 사진은 항구에서 수출선박에 오를 준비를 하고 있는 완성차 모습. <연합뉴스>

GoFoward|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37
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