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중국 국영항공사·인터넷 기업들도 미국증시 자진상폐 가능성"

울트라맨8

Lv 116

22.08.16

view_cnt

1,138

중국 국영기업 5곳이 뉴욕증시 자진 상장폐지를 발표한 이후 중국 국영 항공사들과 주요 인터넷 기업들도 미국 증시 자진 상폐를 곧 발표할 수 있다는 관측이 시장에서 제기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덴마크 삭소은행의 중화권 시장 전략가인 레드먼드 웡은 미·중 간 대립 격화로 중국이 미국 규제당국에 양보할 가능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망했다. 특히 중국 동방항공과 남방항공이 "곧" 미국 증시 자진상폐 결정을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동방항공과 남방항공은 중국 국무원의 국유자산 감독관리위원회(SASAC)의 통제를 받고 있으며, 항공사 특성상 앞서 지난 12일 중국 국영 석유회사인 중국석유화공그룹(시노펙)과 자회사인 상하이석유화공(시노펙 상하이), 중국석유(페트로차이나), 중국알루미늄, 중국생명 등 5개 기업은 공시를 통해 뉴욕증시에 자진 상폐를 통보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 5개 기업 중 4개도 SASAC의 관할 아래 있다. 동방항공과 남방항공은 1997년 미국 증시 기업공개(IPO)를 통해 2억2천700만달러(약 2천975억원), 6억3천200만달러(약 8천282억원)를 각각 조달했다. 두 항공사 모두 홍콩과 중국 증시에도 상장돼 있다. 삭소은행의 웡 전략가는 이어 수많은 중국 개인들과 기업·기관들에 대해 막대한 양의 민감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중국 인터넷·플랫폼 기업들도 미국 증시를 떠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규제당국의 잠재적 퇴출 명단에 들어있는 알리바바와 핀둬둬, JD닷컴(징둥·京東), 바이두, 소후닷컴, 웨이보, 비리비리, 아이치이(iQiyi), KE홀딩스, 텐센트 뮤직엔터테인먼트 그룹을 자진 상폐 후보로 지목했다. 미국은 오랫동안 회계 감독기구인 상장기업회계감독위원회(PCAOB)가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을 조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지만, 중국은 주권을 내세워 이들 기업이 PCAOB의 감사에 직접 응하는 것을 제한해왔다. 결국 미국은 2020년 말 자국의 회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외국 기업을 증시에서 퇴출하도록 규정한 '외국회사문책법'을 도입, 자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273개사의 퇴출을 예고했다. 사실상 중국 회사들을 겨냥해 제정된 이 법은 PCAOB의 회계감사를 3년 연속 통과하지 못한 외국 기업을 미국 증시에서 퇴출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중국 국영항공사·인터넷 기업들도 미국증시 자진상폐 가능성'

'중국 국영항공사·인터넷 기업들도 미국증시 자진상폐 가능성'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변호사모임, '로톡 이용 방해' 변협 회장 등 경찰 고소

변호사들이 법률플랫폼 로톡 이용을 금지해온 대한변호사협회(변협) 간부들을 업무방해 등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부당한 회원 징계에 반대하는 변호사 모임'은 16일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법률플랫폼 이용을 이유로 회원들을 징계하고 직업 활동을 부당하게 제한한 이종엽 변협 회장, 김정욱 서울지방변호사회 회장 등 협회 집행부 6인을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92
22.08.16
자유주제

尹 대통령 국정수행, 응답자 2명 중 1명 '현재보다 못할 것'[

오는 17일 취임 100일을 맞는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수행 전망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 가량이 "현재보다 못할 것"이라고 답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16일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1일부터 12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22명을 대상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수행 전망'에 대해 물은 결과, '현재보다 잘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22
22.08.16
자유주제

2023년도 수능시험 18일부터 원서접수..전북 1만7천여명 응시 예상

오는 11월17일 치러지는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원서접수가 시작된다. 전라북도교육청(교육감 서거석)은 오는 18일부터 9월2일까지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를 접수한다고 밝혔다. 접수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토요일과 공휴일은 접수하지 않는다. 졸업예정자는 재학 중인 고등학교에서 일괄 접수하며, 졸업자는 출신 고등학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2
22.08.16
자유주제

세차

오래간만에 세차하러 왔어요

레니르|22.08.1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943
22.08.16
자유주제

출고 4달만에 해먹은 X4 덴트시공 후기

활기찬 연휴를 시작하는 아침에 비극은 시작되었습니다. 주차 출차하다 오른쪽 위치한 기둥을 짓눌러 애기 머리둘레 크기로 움푹 들어가버렸습니다.ㅠ 신이여 어찌 저에게 이런 시련을- 출차하며 외친 하이빅스비라는 멘트가 당신께는 그리도 분노하실 일이었나이까- 라는 생각에 어안이 벙벙해졌드랬습니다. 사실 출차하며 오른쪽 왈로 트는게 너무 빨랐던 100%

thumbnail
박카포카|22.08.16
like-count4
commnet-count6
view-count1,107
22.08.16
자유주제

연예인 빌딩 28억→450억? "꼬마빌딩 투자 주의해야" 일부 투자 성공 사례만 부각

유명 스포츠 스타 겸 연예인 서장훈씨가 22년 전 약 28억 원에 매입한 빌딩 시세가 지금은 45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며 일각에서 상업용 빌딩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소규모 빌딩에 대한 수요가 예전과 같지 않아 투자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15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장훈씨가 소유한 서울 서초구 서초동 빌딩의 가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0
22.08.16
자유주제

전체뉴스 지역별 뉴스 투자뉴스 핫이슈 전문가 컬럼 정부 정책자료 분양 캐스트 지방 아파트 원정 쇼핑도 급감..1년7개월만에 최저

금리인상과 집값 하락 우려가 커지면서 부동산 투자 수요가 크게 위축됐다. 거주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의 주택을 사들이는 원정 쇼핑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거주자의 서울 외 지역 아파트 매입 건수는 1950건으로 집계됐다. 전국 전체 거래량(2만8147건)의 6.9%로,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4
22.08.16
자유주제

'세리에A에서도 피지컬 압도' 김민재, 나폴리 데뷔전 평점 7점

김민재가 세리에A 데뷔전에서 승리를 거뒀다. 나폴리는 16일 오전(한국시간) 이탈리아 베로나에서 열린 2022-23시즌 세리에A 1라운드에서 베로나에 5-2로 이겼다. 김민재는 이날 경기에서 풀타임 활약하며 팀 승리를 함께했다. 후스코어드닷컴은 김민재의 베로나전 활약에 대해 평점 7점을 부여했다. 김민재는 세리에A 무대에서도 피지컬에 강점을 보이며 무난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1
22.08.16
자유주제

국립공원이 알려주는 산악사고 막는 법 '2006년 설악산 장수대 폭우'

설악산 장수대 일대가 폭탄을 맞은 것처럼 부서진 사례가 있다. 2006년 7월 중순, 사흘 동안 465㎜의 물 폭탄을 쏟아 부은 태풍 에위니아가 주인공이다. 오색약수터, 설악동, 장수대, 백담 지역 등 설악산 전체를 강타했다. 호우는 장수대 주변 야영장의 야영객 100여 명을 한순간에 수재민으로 만들었다. 한계령 도로가 끊어져 여기저기 침수된 차량과 계곡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3
22.08.16
자유주제

푸틴, 북한과 밀착..우크라戰 지원 받기 위한 노림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에게 '조국 해방의 날'(광복) 77주년을 맞아 축전을 보내면서 협력 강화를 부각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북한의 지원을 받으려 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15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면에서 "양국은 공동의 노력으로 포괄적이고 건설적인 양국 관계를 계속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1
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