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기댈 곳 없는 민생..112 '자살 신고' 10만 건 넘었다

울트라맨8

Lv 116

22.08.16

view_cnt

858

지난해 경찰에 접수된 자살 신고가 역대 처음으로 10만 건을 넘어섰다는 '암울한' 통계가 나왔다. 16일 정우택 국민의힘 의원실이 경찰청에서 받아 공개한 '자살 추정 112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경찰이 접수한 극단적 선택 신고 건수는 10만7511건에 달했다. 이는 5년 전인 2017년(6만8427건)보다 57.1% 증가한 수치다. 10만 건을 넘은 건 집계 이래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접수된 신고 건수도 6만 4378건으로, 올해 전체 신고 건수도 10만 건을 넘길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5년간 극단적 선택 추정 신고는 꾸준히 증가했다. 2017년 6만 8427건에서 2018년 8만 7084건, 2019년 9만 308건, 2020년 9만 5016건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이 이같은 증가세의 주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2021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자 중 심리부검을 진행한 103명 가운데 59명(57.3%)이 사망 전까지 경제적 상황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부채(44.1%)로 스트레스를 경험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수입 감소(20.3%), 지속적 빈곤(16.9%) 순이었다. 심리부검이란 사망자 가족, 친구 등을 심층 면담해 사망자의 극단적 선택을 유발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원인을 규명하는 과정을 말한다. 정우택 의원은 "지난 몇 년 동안 민생이 극단적으로 어려웠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은 보건복지부와 함께 자살예방시스템을 점검, 개선하고 서민에 대한 경제적 회복 지원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보건복지부가 이달 초 발표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건통계 2022'에 따르면 한국의 자살 사망률은 2019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25.4명을 기록,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댈 곳 없는 민생..112 '자살 신고' 10만 건 넘었다

기댈 곳 없는 민생..112 '자살 신고' 10만 건 넘었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中전문가 "대만 등 中 핵심이익 도발자 제재 일상화해야"

에드 마키 미국 상원의원이 이끈 미국 의회 대표단의 대만 방문으로 대만해 긴장이 다시 고조된 가운데 중국 전문가들이 핵심이익을 침해한 인사들에 대한 제재를 일상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은 대만, 홍콩, 신장, 티베트, 남중국해 등을 핵심이익으로 간주하고 있다. 우신보 푸단대 국제관계연구소 소장은 15일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이달 초 대만을 방문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38
22.08.16
자유주제

BA.5 국내감염 검출률 91.5%..'켄타우로스' 지난주 31건 추가 검출

현재 코로나19 재유행을 주도하고 있는 오미크론의 세부계통(하위) 변이 'BA.5'의 8월 2주차(8월 7일~13일) 국내 검출률이 91.5%로 집계됐다. 16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BA.5의 국내 검출률은 8월 1주 75.2%보다 16.3%p(포인트) 상승했고 해외유입 검출률은 80.4%로 전주 78.7%보다 소폭 올랐다. 국내감염과 해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9
22.08.16
자유주제

'배수시설' 의무화 前 반지하주택 24만호 현황 파악 난항

강제배수시설 설치가 법적으로 의무화되기 전인 1992년 이전 지어진 반지하 주택에 대한 현황 파악이 제대로 안 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6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반지하 주택의 침수 피해가 잇따르자 지난 1992년 정부는 반지하에 강제배수시설 설치를 의무화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하층이 공공하수도보다 깊을 때 자연 배수가 안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87
22.08.16
자유주제

조계종 노조 "승려 집단폭행은 계획적 범죄"

전국민주연합노조 조계종 지부(조계종 노조)가 최근 봉은사 앞에서 일어난 스님들의 노조원 집단폭행에 대해 “계획적으로 이뤄진 심각한 반불교적 작태”라며 경찰의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조계종 민주노조는 16일 오전 10시30분 서울 강남구 삼성동 봉은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혜와 자비를 수행하는 불교에서 일어나서는 안 될 사전에 계획된 폭력이 자행됐다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0
22.08.16
자유주제

'서해 피격' 수사 2라운드 시작..검찰, 기록 삭제 배경 조준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을 둘러싼 기록 삭제·조작 의혹 등을 수사 중인 검찰이 피고발인들의 자택과 휴대전화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기관이 아닌 개인에 대한 전방위 압수수색이 이뤄지면서, 검찰 수사가 기록 삭제의 배경을 밝히기 위한 '2라운드'로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이희동 부장검사) 이날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6
22.08.16
자유주제

美 양적긴축 '9월 속도조절' 기대감에.. 뉴욕증시 상승세

미국 경기침체 우려가 불거지며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긴축 속도 조절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Fed가 6월부터 시작한 양적긴축은 코로나19 초창기 시행됐던 양적완화와 반대로 시장 유동성을 축소해 사실상 기준금리를 올리는 효과가 있는 정책으로, 당초 Fed는 9월부터 양적긴축의 속도를 두 배로 올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속도 조절론은 각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68
22.08.16
자유주제

"우크라 민간인 수천명, 러 구금 시설서 구타·전기고문 시달려"

수천명에 달하는 우크라이나 민간인들이 러시아 감옥에 갇혀 구타와 전기고문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가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러시아군에 끌려갔다가 최근 풀려난 자동차 정비공 바실리(37) 등 우크라이나 현지 민간인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바실리는 지난 봄 우크라이나 북부 하르키우 동네 거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6
22.08.16
자유주제

'강간미수 유죄' 이만우 前의원, 피해자에 3000만원 배상

강간미수 혐의로 대법원에서 유죄가 확정된 이만우(71) 전 새누리당(국민의힘) 의원이 피해자에게 수천만원을 배상하라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32단독(유영일 판사)은 “이 전 의원이 피해자 A씨에게 3000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출신인 이 전 의원은 2017년 11월 대학교수 시절부터 알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0
22.08.16
자유주제

태백시가 가족 전용 공공화장실을 폐쇄한 까닭은

강원 태백시 구문소 관광단지 화장실 내 가족 전용실의 폐쇄가 1년째 계속되고 있다. 구문소 관광단지 주차장을 야영장으로 이용하면서 가족 전용실을 개인 목욕탕 등으로 사용하는 얌체 캠핑족 때문이다. 구문소 관광단지 주차장은 마을 행사인 구문소 용 축제 기간을 제외하고는 이용 차량이 거의 없는 곳이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9
22.08.16
자유주제

美 첼시마켓은 '플립4 전초기지' 뉴요커들 발걸음이 끊이질 않네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남서쪽 첼시마켓. 주말을 즐기려는 뉴요커들과 관광객들로 건물 곳곳이 북적였다. 특히 최근 미국 보건당국이 코로나19와 관련해 권고했던 사회적 거리두기와 격리 등의 규제조치마저 없애기로 하면서 거리 전체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전으로 돌아간 듯 했다. 버려진 고가철도를 공원으로 탈바꿈해 뉴욕의 대표적인 명소가 된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15
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