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호우특보 해제됐지만.."도로 잠기고 산사태로 흙더미" 황보혜경 입력 2022. 08. 16. 12:10 댓글 0개

울트라맨8

Lv 116

22.08.16

view_cnt

857

[앵커] 보신 것처럼 빗방울이 다소 약해지면서 내륙 지방의 호우특보는 모두 해제됐지만, 곳곳에서 침수 피해가 잇따랐습니다. [앵커] 특히 비가 많이 왔던 전북과 충남 지역에서는도로 곳곳이 물에 잠긴 데다, 약해진 지반 탓에 산사태가 발생하면서 마을이 온통 흙더미가 됐습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비 피해 상황 확인하겠습니다. 사회1부 황보혜경 기자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십보백보어서 오십시오. [앵커] 일단 밤사이 비가 많이 왔던 곳이죠. [기자] 밤사이 충남과 전북에는시간당 60㎜가 넘는 강한 비가 내렸습니다. 이 정도 비가 한 시간 가까이만 내려도 시설물 피해나 저지대 침수, 하천 범람 가능성이 커지는데요. 우선 YTN 취재진이 직접 가서 촬영한 영상부터 보시겠습니다. 우선 오늘 새벽 5시쯤 전북 전주시 폭우 현장입니다. 굵은 장대비가 쉴 새 없이 쏟아져 내리고 있습니다. 저것자 폭우로 전주천 징검다리는 출입을 통제된 상황인데요. 지금 도로 화면이 나가고 있는데 한눈에 보기에도 장대비가 쉴 새 없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죠. 이렇게 또 전주천 물이 불어나면서 일대에는 모두 차단봉이 내려가는 등 출입을 통제하고 있는 그런 상황입니다. 또 이런 하천 같은 경우에는 무리하게 건너다가 사고가 날 위험이 있는 만큼 더더욱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차들도 다 속도를 줄이면서 안전하게 운행을 하고 있죠. 이어서 다음 영상도 보겠습니다. 1시간 반쯤 뒤입니다. 6시 반쯤 날이 밝으면서 비는 모두 그쳤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전주천 모습입니다. 지금 물이 굉장히 많이 불어나 있죠. 강물에 쓰레기도 떠다니고 있습니다. [앵커] 바로 옆에는 산책로인 것 같아요. [기자] 네, 산책로도 잠겼고요. 또 차도도 일부 침수된 상황입니다. 지금 황토색 흙탕물이 떠다니고 있는데 보시는 곳이 바로 차도입니다. [앵커] 여기는 아마 교통이 통제된 모양이네요. 차들이 하나도 안 다니네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어디가 도로인지 분간도 되지 않고 하부 도로도 일부 침수된 상황입니다. 다음 영상도 보시겠습니다. 오전에 저희 취재진이 나가서 직접 현장을 생중계하기도 했던 곳입니다. 충남 청양군 장평면 분향리에 있는 양계장입니다. 양계장이 한마디로 난장판이 됐습니다. 산사태가 나면서 온통 진흙으로 뒤덮인 모습인데요. 산비탈도 깎여 내려가면서 지금 황토색 흙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죠. 사람도 제대로 걷기 힘들 정도로 진흙이 바닥에 가득합니다. 나무도 밑동만 남았거나, 바닥에 쓰러져 있고요. 이렇게 걷기 힘을 정도로 흙이 가득합니다. 또 양계장 주변은 쏟아져 내린 토사와 각종 집기들로 뒤덮이면서 어떻게 복구해야 하나 막막한 상황이라고 하는데요. 온통 찌그러진 온풍기, 쓰러진 난방유탱크도 있고요. 이렇게 복구를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하나 현장에서는 한숨만 나오고 있는 그런 상황입니다. [앵커] 저희 취재진이 촬영한 영상 함께 보셨고요. 시청자 제보 영상에서도 피해 상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을 것 같습니다. 하나하나 짚어주실까요. [기자] 시청자분들께서 YTN으로 보내주신 폭우 피해 영상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오늘 아침 7시 10분쯤에 촬영한 영상부터 보시죠. 대전 서구 용문동 유등천 모습입니다. 강물이 온통 흙탕물이죠. 지금 자전거 도로까지도 물이 올라와 있는 상황인데요. 자전거를 타고 출근하다가 찍은 영상입니다. 지금 보시는 곳이 자전거도로이고요. 길게 영상 윗부분에 나와 있는 부분이 바로 다리인데요. 침수돼서 어디가 다리인지도 분간이 잘 안 됩니다. [앵커] 가드레일만 간신히 보이네요. [기자] 맞습니다. 가드레일만 보이고 있고요. 다리에는 또 건초더미들이 이렇게 가려져서 걸려있는 그런 모습인데 무리하게 건너다가 사고가 날 수 있는 만큼 통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고요. 부근에는 아파트 단지가 있어서 더더욱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다음 영상도 살펴보겠습니다. 오늘(16일) 새벽 5시 55분에 촬영해서 보내주신 영상입니다. 경북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에 있는 마트 주차장입니다. 한쪽에 있는 배수로에서 물이 역류하고 있는 모습이 보이시죠. 오늘 새벽 6시쯤 경북 칠곡군에는 시간당 30mm에 달하는 폭우가 내렸습니다. 비 피해가 보통 이렇게 시간당 300mm부터 시작한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주차장이 역류하면서 차량을 급히 이동시켰다고 하면서 보내주신 제보영상입니다. 밤사이 상황도 살펴보겠습니다. 다음 영상을 보시면 어젯밤(15일) 23시 55분쯤, 자정 무렵에 찍은 영상입니다. 여기가 도로인데요. 마치 수영장을 방불케할 만큼 도로에 물이 가득합니다. 지금 제보자가 SUV 차량을 타고 있는데 SUV 차량 바퀴 중반까지 물이 잠기는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여기는 청주시 북대동 삼거리 번화가 일대입니다. 아직 가게 안쪽으로 물이 침수된 것 같은 모습은 보이지 않는데 도로가 이렇게 침수되면서 운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그런 상황입니다. 비슷한 시각 대전 중구 태평동 유등천 일대 아파트 모습도 살펴보겠습니다. 여기는 지금 천둥 번개가 치면서 얼마큼 강하게 비가 왔는지 알 수 있는 그런 영상입니다. 거센 빗줄기도 쉴 새 없이 쏟아져 내리고 있고요. 밤새 이렇게 천둥번개가 치면서 시청자분들께서 잠을 쉽게 이루지 못했겠구나 싶은 그런 영상입니다. 이렇게 폭우로 지반이 약해진 탓에 산사태로 인한 피해도 더더욱 심각해질 수 있는 그런 상황인데요. 이렇게 지금 시청자분들께서 보내주신 제보 영상 함께 살펴봤습니다. [앵커] 이번에 워낙 비가 많이 내리기도 했고 장기간 오면서 산사태도 많이 있었던 것 같아요. [기자] 네, 앞서 산사태 피해를 입은 양계장 모습 전해드렸는데요. 폭우가 집중된 충남권에서 산사태 제보도 잇따랐습니다. 영상을 준비했는데요. 함께 보시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시청자분들께서 YTN으로 보내주신 영상입니다. 충남 부여군 은산면 정골마을 모습입니다. 지금 우체국 택배 차량인데요. 택배 차량까지도 쓸려온 토사와 나무들, 또 집기들이 가득합니다. 지금 이렇게 지붕도 무너져서 트럭을 덮친 상황이고요. 바닥에도 이렇게 쓸려온 토사들이 즐비한 상황인데요. [앵커] 운전자가 타고 있었던 건 아니겠죠? [기자] 아직 인명 피해는 확인되지는 않았고요. 지금 이렇게 주민이 직접 땅에 묻힌 상수도관을 파고 있는 그런 모습입니다. 산사태로 흙더미가 상수도관까지 막아 버리면서 물이 나오지 않는 상황인데요. 제보자는 복구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주민들이 이렇게 직접 나와서 공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산사태 영상도 함께 보시죠. 마찬가지로 충남 부여군 은산면 가곡리 마을입니다. 지금 이곳이 집인데요. 어디가 안이고 밖인지 잘 분간이 가지 않죠. 다용도실인데 내부가 이렇게 흙으로 가득합니다. 이렇게 마당까지도 바닥에 가득한 나뭇가지들이 보이고요. 방금 우사도 이렇게 바로 산 앞에 있어서 하마터면 소들도 덮칠 뻔한 상황이었다고 합니다. 이게 지금 어디부터 어디까지 치워야 할지 주민들은 막막한 상황인데 지붕도 땅에 떨어져서 이렇게 형편없이 찌그러져 있고요. 내부에 온갖 집기들이 가득해서 하루빨리 복구가 필요한 그런 상황입니다. 지금 충청권과 전라권 지역에는 산사태 위기경보가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돼서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데요. 산사태 위험 지역 주민들은 긴급재난문자와 재난방송에 더더욱 주의를 기울이셔야겠습니다. [앵커] 저희가 제보영상으로 본 피해 상황들 전해 드렸는데 얼마나 막막하실까요? 하루빨리 피해 복구가 이루어져야겠고요. 현재 전국적인 피해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이번 수해로 전국에서 인명 피해와 시설물 피해가 잇따랐습니다. 지난 8일부터 내린 집중호우로 인명피해는 사망 14명, 실종 6명에 달합니다. 시설물 피해도 컸는데요, 수도권과 강원, 충남북, 전북 등지에서 만 건을 웃도는 시설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농작물 침수 피해 규모는 1,754㏊에 이르고요. 가축 폐사는 8만 천여 마리, 산사태는 291건으로 조사됐습니다. 수해를 입은 곳이 워낙 많은 데다, 비가 계속 내렸던 탓에 복구는 더디기만 한데요. 한덕수 국무총리는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기 위한 절차를 조속히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호우특보 해제됐지만..'도로 잠기고 산사태로 흙더미'

호우특보 해제됐지만..'도로 잠기고 산사태로 흙더미'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블랙이글스 필리핀서 에어쇼..FA-50 경공격기 수출 박차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가 필리핀 세자르 바사 공군기지에서 필리핀 공군 창군 75주년 기념과 양국 간 우호를 증진하기 위한 에어쇼를 열었다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16일 밝혔다. 이는 필리핀에서 30여년 만에 열린 에어쇼로, 블랙이글스가 운용하는 T-50B의 이번 비행은 FA-50 경공격기 필리핀 추가 수출 활동의 일환이다. KAI는 블랙이글스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26
22.08.16
자유주제

재유행 정점 24만명으로 상향 하루 사망자 최대 140명 예상

정부가 국내 코로나19 재유행 정점 규모 예측을 하루 확진자 최대 24만 명으로 다시 높여 잡았다. 전문가들은 이른 추석과 초·중·고교 개학 등 여러 변수 탓에 확진자 증가세가 정점을 찍어도 빨리 꺾이지 않은 채 하루 10만 명 안팎으로 ‘긴 꼬리’를 형성하는 유행 양상이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16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정례 브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95
22.08.16
자유주제

'4기 신도시' 88만호 짓는다..고밀·압축개발 추진

앞으로 5년간 수도권과 지방 거점 등에 신규택지 조성을 통해 총 88만호의 주택이 공급된다. 택지조성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공공기관 추진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가 간소화되고 기존 국공유지 개발 부지에 대한 고밀 개발이 추가로 검토된다. 또 소규모 정비사업 연접 단지 간의 통합개발이 허용되고, 도시형생활주택의 총세대수가 300세대에서 500세대로 늘어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19
22.08.16
자유주제

"일부 스포츠 티셔츠, 물·땀에 젖으면 색상 묻어날수도..유의해야"

기능성 스포츠 의류 일부 제품이 물이나 땀에 젖으면 색상이 다른 옷에 묻어나올 수 있어 사용상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12개 브랜드의 스포츠 티셔츠에 대한 품질과 안전성 등을 시험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16일 밝혔다. 시험대상 제품은 나이키(품번 CZ1220-010)·뉴발란스(NBNEC21063-00)·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3
22.08.16
자유주제

"양치질 싫어하는 내 아이 이렇게"..오은영 토크콘서트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오는 17일 오후 1시 서울 명동 포스트 타워에서 '우리 아이 치아 건강'을 주제로 토크 콘서트를 연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 지역인 광주·세종 지역 보건교사와 학부모가 참석한다.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은 영구 치아 배열이 완성되는 시기이자 구강 보건교육을 실시했을 때 효과가 높은 초등학교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8
22.08.16
자유주제

이런 돌봄, 엄마들 우왕좌왕하지 않아 좋겠네

한국의 공론장은 다이내믹합니다. 매체도 많고, 의제도 다양하며 논의가 이뤄지는 속도도 빠릅니다. 하지만 많은 논의가 대안 모색 없이 종결됩니다. 소셜 코리아는 이런 상황을 바꿔 '대안 담론'을 주류화하고자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근거에 기반한 문제 지적과 분석 ▲문제를 다루는 현 정책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거쳐 ▲실현 가능한 정의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합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0
22.08.16
자유주제

공공만 가능했던 역세권 주택 용적률 500%..민간에도 푼다

공공 도심복합사업에만 제공하던 용적률 상향 등의 혜택을 민간에도 허용하는 '민간 도심복합사업'이 도입된다. 그동안 공공이 주도한 도심복합사업은 강력한 인센티브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의 공공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등으로 인해 뚜렷한 성과를 내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민간에도 동일한 혜택을 부여해 주택공급 활성화에 나서겠다는 의도다. ━ 역세권 주택 용적률 최대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21
22.08.16
자유주제

주택인허가 원스톱 '신통기획' 전국 확대..'주택공급 촉진지역' 검토

정부가 주택사업 인허가 걸림돌로 작용했던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특정 지역에 대한 '주택공급 촉진 제도' 도입을 검토한다. 국토교통부는 16일 발표된 주택공급 및 주거안정 대책에서 하반기 국회 입법 및 지방자치단체와 협의를 통해 이 같은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공공·민간에 통합심의 전면도입…소규모 정비엔 금융·세제 혜택 우선 국토부는 분야별로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8
22.08.16
자유주제

GTX 등 초역세권 콤팩트시티 짓는다..창릉·왕숙부터 시범적용

정부가 2023년까지 15만가구 규모의 신규 공공택지 후보지를 발굴한다. 신도시가 조성되더라도 장기간 불편한 교통을 견뎌야 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규 택지 선정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지방광역철도 등 신설·연장과 연계해 조성키로 했다. 특히 철도역부터 500m~1㎞로 인접한 역세권을 중심으로 '콤팩트시티(압축도시)'를 만든다. 16일 국토교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402
22.08.16
자유주제

정수장 485곳 중 1곳서 깔따구 유충.."감시항목 지정"

환경부가 전국 485곳의 정수장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벌인 결과 1곳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창원과 수원에서 발견된 유충의 경우 시설 노후화 등이 원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16일 경상남도 창원시와 경기도 수원시의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됨에 따라 지난 7월19일부터 8월8일까지 전국 485곳의 정수장을 대상으로 위생관리실태를 특

울트라맨8|22.08.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4
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