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정보) 가솔린과 디젤의 차이!?

BMW 로고 이미지
매애애앵구Lv 76
조회 수1,610

오랫동안 겟차 회원님들의 차량 구입 고민에서 많이 나온 고민들을 보니 가솔린이냐 디젤이냐 많이 고민을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짧지만 가솔린과 디젤 차이에 대해 써봤습니다. 가솔린과 디젤 모두 구입 고려중인분들 참고 해주세요 ^^ 먼저 가솔린과 디젤은 인화성과 발화 방식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디젤: 압축된 공기에 연료를 안개처럼 분사해 자체적인 폭발 (자연착화) 가솔린: 공기와 연료를 섞은 혼합기에 인위적으로 불꽃을 터뜨려 폭발 (불꽃점화) 왜 가솔린과 디젤의 연료 분사 방식이 다를까? 디젤은 착화점이 가솔린에 비해 낮아 혼합기방식을 이용할경우 압축행정에서 폭발이 일어나 노킹이 생길수 있기때문에 압축이 끝난 고온의 공기에 연료를 분사해 착화를 일으키는 자연착화 방식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에 비해 휘발유는 인화점은 굉장히 낮으나 착화점은 디젤에비해 100도 이상 높기때문에 디젤엔진과 같이 자착화방식을 이용할 경우 폭발이 일어나지 않거나 폭발 타이밍이 지연돼 출력의 손실이 생길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확히 폭발 타이밍 조절이 가능한 점화 플러그 방식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가솔린의 특징! 가솔린은 디젤 엔진과 비교하였을때 불이 천천히 붙어 그만큼 소음과 진동이 크지 않고 엔진 회전도 부드럽게 이뤄집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소음과 진동을 중시하는 고급차량들은 가솔린 엔진을 탑재합니다. 가솔린은 폭발력과 압축하는 힘이 디젤에 비해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연료가 폭발할때 피스톤을 밀어내는 힘도 디젤에 비해 부족합니다. 그러나 그만큼 엔진을 빨리 돌릴 수 있어 속도를 높이는데 유리하고 토크는 낮지만 마력이 높은 특성을 갖게 됩니다. 가장 좋은건 디젤에 비해 부품이 적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가장 좋다는것!? 가솔린의 단점은 열효울이 높지 않다는것입니다. 디젤의 열효율은 40\% 수준을 웃돌지만 가솔린은 35~38\%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열효율을 끌어 올리기 위해 많은 제조사들이 개발중이지만 아직은 디젤의 열효율을 잡기 위해선 많은 연료양이 더 든다고 합니다. 따라서 그만큼 연료 소모량도 많아지고 연비가 하락하게 됩니다. 디젤엔진의 특징 ! 디젤엔진은 엔진 내부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장치 없이 압축한 공기에 연료를 주입해 스스로 폭발하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이를 압축착화방식이라고 부른다. 이 때문에 스스로 불이 붙는 온도가 350도 수준인 경유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가솔린 엔진의 경우 스스로 폭발하는 현상을 억제시키기 위해 엔진의 압축비율을 10:1 수준에서 결정하며. 디젤엔진은 자연적인 폭발을 유도하기 위해 입축비율을 20:1까지 증가시킵니다. 또한 가솔린 엔진은 연료와 공기의 혼합 비율을 11~14:1 수준에서 결정하지만 디젤은 30:1 이상 높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만큼 적은 연료를 사용해도 큰 폭발력을 만들어낼 수 있고 . 그만큼 열 효율이 높고 연비가 좋습니다. 보다 큰 힘으로 압축하고 폭발하기 때문에 엔진에서 발생하는 회전력(토크) 도 좋아집니다. 과거부터 버스,트럭,SUV가 디젤 엔진을 쓴 위 이유입니다. 지금은 기술의 발전으로 승용차에도 많이 쓰이고 있죠^^ 현재의 디젤 엔진 효율은 가솔린 하이브리드와 비교할 정도로 많이 높아졌다고 합니다. But.. 고압축을 바탕으로 하는 자연 착화 방식이기에 엔진의 내구성도 뒷받침 되어야하며 이와 같은 이유로 같은 배기량의 가솔린 엔진보다 부피도 크고 무거우며 같은 모델이라도 디젤 차량이 비싼 이유가 위의 이유 때문이기도 합니다. 또한 큰 힘으로 압축,회전하기 때문에 그만큼 가솔린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크고 높은 엔진 회전수를 사용하는데에 한계가 있는겁니다. 디젤차량을 타보시면 rpm게이지가 6000까지 있는거 보셨을거에요 또한 Nox나 PM같은 배출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점이 큰 문제죠 독성 배출가스 절감을 위해 다양한 후처리 장치들이 탑재되어 배출가스를 감소 시켜주지만 엔진의 출력과 연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또한 이러한 후처리장치들은 단가가 비싸서 고장나면 수리 비용이.. 끔찍하네요 많은 분들이 경유가 휘발유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디젤 차량이 더 경제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차 값과 기름값을 생각했을 때 디젤 차량이 가솔린 차량보다 약 300만 원 정도는 더 비싸기 때문에 최소 3년 이상은 타고 다녀야 디젤 차량이 가솔린 차량보다 경제적이라는 결과가 나온다고 합니다. 또한, 일부 디젤 차량의 경우 대기오염 물질을 많이 배출한다는 이유로 환경개선부담금을 1년에 2번 납부해야 합니다. 연간 주행거리가 1만5000㎞ 내외이고 주로 시내나 저속주행을 많이 하는 소비자라면 가솔린 모델, 연간 주행거리가 2만㎞ 이상에 고속주행을 많이하는 패턴이라면 연비에 초점을 두고 차를 살펴보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댓글 8

BMW 로고 이미지리얼오너 로고 이미지HYUNDAI 로고 이미지
골드문트Lv 75

디젤 압축착화방식 가솔린 불꽃점화방식 ^^

올리vLv 49

오오 자세해서 좋으네요~감사합니당

AUDI 로고 이미지BENZ 로고 이미지
장세진Lv 105

와우~~ 이건 컬럼 수준이네요~~^^ 일반게시판에서 자꾸 뒤로 밀리는게 아깝네요~~ 공지 게시판으로 고고~~^^

BENZ 로고 이미지
인생제2막Lv 72

좋은정보입니다&^^ 좋아요 꾹꾹 !!!

박새로이Lv 74

고민하시는 분들이 좋아하실만한 정보에요^^

트레비앙Lv 3

저도 고민했던 부분입니다 320d 320i 비교 시 20d 가 토크가 더 좋았는데 나중에 무슨 일이 생길지 몰라서 20i 로 기울었네요

탈퇴자Lv 21

와~우, 잘 읽고 갑니다.^^

한군76Lv 1

이글 읽고나서 저도 생각이 굳혀졌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