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KOTRA "한국, 중국 패싱하라"..미국 직수출 강화 제언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72

한국은 중국과 베트남에 중간재를 공급해 미국으로 간접 수출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미국으로 직접 수출하는 비율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우방국 중심의 이른바 '프렌드 쇼어링'(friend-shoring) 정책을 내세움에 따라 첨단기술 제품을 중심으로 미국 시장에 직접 공급하는 게 한국의 안정적인 수출 방안이란 설명이다. KOTRA 워싱턴무역관은 17일(현지시간) '미국 프렌드 쇼어링 정책 심층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중국과 베트남 등으로 우리 중간재를 공급한 뒤 미국 등으로 간접 수출을 하는 범아시아 제조업 분업 모델이 지속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제안했다. 보고서는 "미국의 첨단기술 수출시장 규모는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지만 전 업종이 고르게 성장하고 있고 기술 집약적 제품 비중이 높아 부가가치 측면에서 중국 시장보다 더 우월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의 첨단기술 제품은 중국에서 15.9%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미국에선 4.2%로 6위에 그치고 있다"며 "미국 시장으로 한국의 기술 수출 역량을 재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이런 전환을 '피벗 투 아메리카(Pivot to America)'라고 정의했다. 이와함께 보고서는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 비중을 줄이고 다른 나라 중심으로 무역구도를 재편하려는 점도 '피벗 투 아메리카'를 해야할 이유로 꼽았다. KOTRA 워싱턴무역관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의 상품 교역 증가세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둔화됐다. 이후 코로나19 위기를 거치면서 세계 평균 성장률을 하회했다. 실제 글로벌 무역 회복 기간인 2020~2021년에 중국의 대미 수출은 16.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 세계 대미 수출 증가율은 21.5%였다.

KOTRA '한국, 중국 패싱하라'..미국 직수출 강화 제언KOTRA '한국, 중국 패싱하라'..미국 직수출 강화 제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