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아무리 다이어트를 해도 살이 빠지지 않는다면?..'렙틴 저항성'부터 개선해야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76

다이어트를 해도 살이 잘 빠지지 않고, 혹독한 다이어트가 끝나면 오히려 살이 더 찐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다. 남들보다 유독 살 빼기가 힘든 이유는 ‘체중조절 시스템’이 고장났기 때문이다.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인해 체중조절 시스템이 망가지면 체중에 관여하는 호르몬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뇌가 정한 체중의 기준점인 세트포인트(Set Point)가 상향 조정된다. 예를 들어 내 목표 몸무게는 50kg이지만 뇌가 기억하는 몸무게는 55kg인 것. 이렇게 되면 뇌가 기억하는 몸무게보다 감소할 경우 예전 몸무게로 돌아가기 위해 섭취한 음식을 최대한 흡수하려고 하고, 이러한 이유로 살을 빼기가 더 어려워진다. 즉, 다이어트를 아무리 열심히 해도 몸이 도와주지 않는다. 그렇다면 고장난 체중조절 시스템을 되돌리고 세트포인트를 낮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세트포인트 높이는 주범, 렙틴 저항성 렙틴은 밥을 먹을 때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식욕 억제 호르몬’으로, 뇌에서 음식을 그만 먹으라는 신호를 전달해 음식 섭취를 멈추게 한다. 몸에 지방이 늘어나면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의 분비도 늘어난다. 이렇게 되면 몸에 지방이 충분하다는 정보를 전달받은 뇌는 체지방 감소를 위해 식욕을 떨어뜨리고 체내 대사를 늘린다. 반대로 몸에 지방이 줄어들면 렙틴의 분비가 줄고, 식욕이 높아지며 체지방을 늘리려고 한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우리 몸은 일정한 세트포인트를 유지한다. 그렇다면 지방세포가 많은 비만인은 왜 식욕억제에 어려움을 겪는 걸까. 가공식품이나 고탄수화물의 과도한 섭취 및 음주, 스트레스, 과식 등의 생활습관으로 인해 렙틴 호르몬의 기능이 망가졌기 때문이다. 렙틴 호르몬의 기능이 고장나면 지방세포가 늘어나 렙틴이 증가하더라도 이 신호가 뇌의 시상하부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렙틴 신호를 제대로 받지 못한 뇌는 아직 지방이 부족하다고 착각하게 되고 계속해서 더 먹으라는 신호를 보낸다. 이것이 바로 ‘렙틴 저항성’이다. 렙틴 저항성이 생기면 식욕이 상승하고 신진대사가 떨어지며, 지방은 축적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따라서 다이어트 효과를 제대로 누리려면 렙틴 저항성부터 개선해야 한다. 렙틴 저항성을 개선하면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이 느껴지고, 세트포인트도 잘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이어트가 한결 수월해진다.

아무리 다이어트를 해도 살이 빠지지 않는다면?..'렙틴 저항성'부터 개선해야아무리 다이어트를 해도 살이 빠지지 않는다면?..'렙틴 저항성'부터 개선해야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